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VC 기반 다시점 컬러 영상 및 깊이 정보 맵 부호화 방법

        유선미(Sunmi Yoo),남정학(Junghak Nam),임웅(Woong Lim),심동규(Donggyu Sim),정원식(Won-sik Cheong),허남호(Namho Hur)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9 No.2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정보 맵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다시점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 맵 압축 방법을 통하여, 컬러 영상과 깊이영상이 각각 동일시점 내에서 화면 간 참조를 수행함은 물론, 확장 시점의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 맵이 이웃한 시점의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 맵을 각각 참조하는 시점 간 참조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2시점의 경우 컬러 영상은 각 시점의 영상을 시점간 부호화 하지 않은 영상에 비하여 약 55%의 부호화 이득이 있었으며 깊이 정보 맵은 약 12%의 부호화 이득이 있었다. 3시점의 경우에는 컬러 영상에 대하여 바깥 시점은 화면 간 예측 부호화를 하지 않은 영상에 비해 54%, 중간 시점은 56%의 비트를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3시점의 깊이 정보 맵에 대하여 예측 부호화를 하지 않은 영상에 비해 약 11%의 바깥 시점 부호화 성능과 13%의 중간 시점 부호화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fficiently encode multi-view color videos and depth maps. The proposed coding method for multi-view color videos and depth maps can improve the coding efficiency by additional inter-view prediction, as well as inter-frame prediction. By means of the proposed method, we achieved the coding gain of approximately 55% for 2-view color videos and approximately 12% for 2-view depth maps. For 3-view case, we found that the proposed system yields 54% of coding gain from outer view color videos and 56% of coding gain from center view color videos, respectively. Moreover, for 3-view depth map case, approximately 11% of coding gain from outer view and 13% of coding gain from center view are obtained with the proposed coder, respectively.

      • KCI등재

        국내에서 시행한 소아청소년 비만 중재의 효과: 기존 메타분석 활용

        김설혜 ( Seolhye Kim ),성은주 ( Eunju Sung ),남지현 ( Jihyun Nam ),유선미 ( Sunmi Yoo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소아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보건의료문제 중의 하나이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에 앞서 그동안 국내에서 시행된 소아 및 청소년 대상의 비만 중재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을 모아 서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만 중재 효과의 근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소아 및 청소년의 학교 기반 비만 예방 중재 또는 프로그램을 다룬 메타분석과 체계적 종설을 찾기 위해 2019년 4월까지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포함된 논문의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1) 비만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중재연구를 이용한 체계적 종설이나 메타분석일 것, 2) 2세 이상 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일 것, 3)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일 것. 연구에 포함된 메타분석의 주요 결과, 연구의 장점 및 단점, 시사점을 요약하고 효과적인 비만중재 연구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주요결과: 최종적으로 8편의 메타분석 논문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8편의 논문 중 6편의 연구에서 비만 중재는 유의한 BMI 개선효과를 보였다. 운동에 식사, 행동 수정, 부모 교육 등 다른 방법을 복합한 경우 중재효과가 큰 것으로 보이나 결과가 일정하지는 않았다. 운동 중재는 중-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을 30분-1시간 지속하고 주당 3-4회 이상 실시할 때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메타분석에 포함된 중재연구들은 30명 미만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6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지속된 단기간의 중재였으며 대부분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에 따른 중재연구로 근거의 강도가 낮은 편이었다. 결론: 국내에서 출간된 연구의 근거수준이 미약하여 소아 청소년 비만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적절한 연구방법에 따라 계획된 비만예방 및 중재 연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We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s for pediatric obesity in an evidence-based manner by reviewing existing meta-analyses in Korea. Methods: Korea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until April 2019.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concerning the intervention of obesity; (2) children or adolescents (between 2 and 18 years of age) as subjects; (3)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Each study was evaluated via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for quality assessment.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strengths, limitations, implications of each study. Results: Our final analysis included 8 meta-analyses. Main intervention was exercise primarily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resulted in moderate improvement of body mass index of subjects in 6 studies (75%).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exercise and diet,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seemed to be effective, but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with medium to high intensity, lasting 30 minutes to 1 hour, 3-4 times per week were effective. However, evidence from the current study was insufficient due to the low quality of included studies; most of them were conducted with small numbers of participants less than 30 people during a short period of less than 6 months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nclusion: Insufficient evidence from existing meta-analyses of intervention studies has made it difficult to characterize effective interventional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Large, well-designed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pediatric obesity before future meta-analysis.

      • KCI등재

        학교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박은옥,유선미,조홍준,이원영,전경자 韓國學校保健學會 200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8 No.2

        Purposes : This review is design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education in Korea, to identify problems within the curriculum,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health education in Korea. Results : Korean schools currently lack a regular standardiz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ubjects realted to health educatiion are presently taught in other disciplin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home management, biology, and other related subjects. The Korean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uffers from many significant problems, including a lack of educational goals for health education, absence of designated time for health education, a lack of continuity between contents, knowledge-oriented health education, and an overall disconnect with the needs of the students. Other problems include an exclusion of health education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no designated times for health education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a lack of health teachers in schools. Conclusion : To improve health education in schools, standar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be sequential, comprehensive, and skill-based. Health education needsto be a essential subject, health teachers need to be trained, and provided with technic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