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뉴스미디어의 기후변화 보도 내용분석: 신문·방송·인터넷뉴스의 프레이밍, 효능감 정보 제시를 중심으로

        유명순 ( Myoungsoon You ),윤혜정 ( Hyejeong Yoon ),천진희 ( Jinhee Chun ),주영기 ( Youngkee J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3

        국내 신문(6), 지상파TV(3), 케이블방송(2), 인터넷뉴스 채널(2)이 기후변화를 어떻게 프레이밍하는지, 그리고 효능감 정보는 얼마나 제공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의 현황과 여파의 심각성에 초점을 맞춘 `진단` 프레임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의 측면에 치중하는 `예후` 프레임의 분석을 위해 각 5개 문항을 개발, 예(1)/아니오(0)코딩을 통한 기사별 점수를 산정하였다. 효능감 정보는 문제 해결을 위한 특정 주체 혹은 정책 등의 가능성이나 능력이 전달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전체 334건의 다매체 기사를 분석한 결과, 진단 혹은 예후라는 특정 프레임의 선호 현상 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매체별로는 지상파 TV와 인터넷 뉴스채널에서 예후 프레임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감 정보를 제시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KBS를 보수언론으로 분류할 경우, 보수성향의 언론이 예후 프레임을 선호하는 현상도 확인되었다. 미디어 유형과 정치성향이 기후변화 보도에 미치는 영향을 해외 연구와 비교해 논하고, 위험거버넌스의 차원에서 기후변화 보도에 대한 지속적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News coverage of climate change has rarely been examined with multiple types of Korean news media. We examined 334 “climate change” news stories by news six newspapers, three broadcasting TVs, two cable TVs, and two internet news channels. These media were categorized into progressive, conservative, and moderate and their coverag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framing and efficacy information. Five questions for each frame were developed and each news story was coded into yes(1) or no(0) in regard to each question for framing. Sum of the coding scores represented the degrees of diagnostic/ prognostic framing for each news stories. In general, the Korean news media preferred neither diagnostic nor prognostic framing. When the news coverage was examined in terms of news media types, however, broadcasting TV and the internet news channels displayed a distinctive preference for prognostic framing. When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was considered as a conservative news medium, the Korean conservative news media favored prognostic frame and they provided more efficacy information in the climate change news coverag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arlier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lighit of coping with the global environmental risk.

      • KCI등재후보
      • 우리나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 보건학·사회과학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유명순(You, Myoungsoon),조원섭(Cho, Wonsup)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연구목적: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와 조직, 나아가 한국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해칠수 있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직무 스트레스 연구를 학문 분야별로 살펴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이 제시한 연구 분야 대분류 기준에 따라 보건학 분야 학술지게재 논문 176 편과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 219 편, 총 395 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해 이경묵(2008)과 유명순(2010)이 제시한 논문 분류 틀을 참고•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내용은 크게 (1) 연구 구조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론의 세 가지 측면이다. (1)에서는 게재 시기, 저자 소속 분야, 발표 학술지, 연구 종류, 연구설계, (2)에서는 핵심어, 근거 이론, 주요 변수, 분석 수준, 연구 대상자, 연구 목적 및 시각, 연구 함의, (3)에서는 측정 도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종류, 자료 수집 범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직무 스트레스 연구 논문은 1990대 이후 뚜렷한 양적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논문의 저자 소속 분야와 학문 분야를 비교한 결과 학제간 연구가 본격적이지 않은것을 알 수 있었다.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연구의 대부분이 현황 조사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척도인 분석 수준의 경우에도 대상 논문의 82%가 '개인'을 분석 단위로 삼고 있어서 편중을 보였다.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인과적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논문의 비중은 사회과학이 75.8% 보건학이 46%로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학 논문에 비해 보건학 분야 게재 논문에서 질환, 장애, 통증 등 신체적 건강 상태가 직무 스트레스의 중요 변수로 더 많이 확인된 것 역시 또 다른 차이점이었다. 그러나 두 분야 공히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이나 이직 의도 등 직무 태도의 주요 영향요인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끝으로, 연구 주제와 대상이 다양하지 못했고 연구 방법론 제고를 다룬 논문이 드물었으며 직무 스트레스 예방 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실무 현안을 연구하려는 시도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첫째, 이론의 명료성, 검증 가능성, 포괄성 및 창의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 이론 개선, 둘째, 이론과 자료의 수준을 보다 잘 합치시키려는 노력과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려는 시도, 셋째, 학문 분야별로 빈번히 적용되는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비교 평가, 넷째, 현행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질 평가 등을 향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 학제간 공동 노력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oblem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job stress published in Korea. Methods: A total 395 articles(176 public health, 219 social science) selected from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gistered Journals' were reviewed. The papers were classified by criteria, focusing on research frameworks, topics and methodologies. Result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articles since the 1990s. However,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overed: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about the factors relating to job stress, the paucity of attention to sophisticated methodologi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strong measurement tools, and incoherence among the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or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efforts to (1) encourag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study on job stress, (2)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investigations (3) to initiate new approaches such as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ve research, and (4) to improve methodological rigor,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2017 년 살충제 검출 계란의 사례를 통해서 본 보건당국과 언론의 위험소통

        유명순(Myoungsoon You),강승연(Seungyeon Kang),박이스리(Esuri Park),이민정(Minjung Lee),이유진(Yujin Lee)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2017 보건학논집 Vol.54 No.2

        Objectives:We aim to evaluate the responses of health authorities and the news media to the ‘Pesticide detected eggs’ which were first identified in August 2017 in South Korea. Among multiple tasks for effective risk and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was our special focus. Accuracy and consistency in information provision, top leaders’ accountabl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he efforts to create collaborations among governmental agencies were analyzed for the diagnosis of the governmental agencies’ communication. Media’s two key functions (i.e. agenda-setting and surveillance) as well as outrage characteristics in the news articles of the contaminated eggs were also analyzed. Methods: Press releases and FAQ information, available at two web sites of Korean FDA and MAFRA,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News articles of the event from 10 Korean domestic newspapers and 2 British press during mid of July to early September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 media’s responses. A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ding schemes that the authors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 of the media’s functions in a crisis. Results: Risk related messages released by governmental agencies were poorly prepared. Top leaders failed to deliver the public their willingness to take accountability in managing the situation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mong inter-agencies as well as health authority and the expert groups was not promptly functioning. While the news media’s agenda was timely setting, its role of surveillance of emerging risks was not appropriately taken. Compared to the UK news articles, those by Korean domestic media were more representing conflicts and used more negative tones in the stories, which could increase public outrage of the event. Conclusion: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four agendas for improving risk communication capacities of key actors in risk governance (i.e. health authorities, news media, and the civic society).

      • KCI등재

        감정 촉발 요인-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의 상호작용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명순(Myoungsoon You),주영기(Youngkee Ju)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2

        일반인 위험 인식의 주요인으로 알려진 감정 촉발 요인이 개인의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과 상호작용을 통해 위험 인식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이 위험 인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지도 알아보았다. 전국 단위 면대면 설문 조사(N = 1,000)를 통해 네 가지 식품 관련 위해 요소와 화장품 부작용에 대한 위험 인식과 응답자들의 정보 처리 성향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 위해 요소가 갖고 있는 감정 촉발 요인으로는 낯섦, 신뢰 상실, 어린이에 미치는 영향, 참사 가능성, 공포의 다섯 가지가 조사되었다. 설문 분석결과 , 학교 식당 노로 바이러스, 믹스커피 봉지의 오용, 화장품 부작용의 세 경우에서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이 강할수록 위험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스프 내 발암 물질도 같은 양상이 거의 유의수준에 가까운 정도로 목격되었다.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은 감정 촉발 요인과 상호작용의 사례도 발견되었다. 전체 25가지 상호작용 가능 사례 중 11가지 경우에서 이 두 변인의 상호작용이 위험 인식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방향은 공포를 유발하는 감정 촉발 요인의 경우엔 위험 인식을 낮추는 쪽으로, 분노를 유발하는 감정 촉발 요인의 경우엔 반대로 위험 인식을 높이는 쪽으로 관련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의 주효과와 조절 효과의 다중적 방향성이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d how outrage factor, known as a kind of influences on risk perception, interacts with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in guiding risk perception. Whether systematic processing has a main effect on risk perception was also examined. A nationwide person-to-person survey (N=1,000) was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ordinary people’s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and their risk perception on four types of food risk and side effect of cosmetics. Familiarity, trust, effect on children, catastrophic potential, and dread are examined as the outrage factors. As a result, the greater systematic processing, the higher risk perception in the case of Norovirus in school cafeteria, misuse of plastic coffee bags, and side effect of cosmetics. The association between heuristic processing and risk perception almost reached a significant level in the case of Benzopyrene in noodle soup. In guiding risk perception, systematic processing showed an interaction with outrage factor, as well. A total of 11 interactions out of 25 cas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perception. A more intensive systematic processing reduced outrage effect on risk perception in the case of dread-eliciting outrage factors, while it increased outrage effect when it comes to anger-eliciting outrage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e main effect of systematic processing and its two-way interaction with outrage factor in guiding risk percep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병원종사자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영향요인

        윤혜정 ( Hyejung Yoon ),유명순 ( Myoungsoon You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9 병원경영학회지 Vol.24 No.2

        Purpose / Approach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ts antecedents by using survey data of 1,498 professional employees in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Findings : Among job-related, organization-related, and socialization-related factors of professional employees, the socialization factors have a strong effect on individualʼs overall and the four sub-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l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prominent in the public hospital,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s more powerful in the private hospital.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Organizational vision salience in public hospital has negative effe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ttraction-to-public-service dimension.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and its effect size are different according to hospital type and each sub-dimension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individual’s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hospitals could be enhanc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their organization, and various organization-related factors. Fur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in hospital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의료사고 피해 유가족의 울분과 사회적 고통 : 사회적 불공정은 어떻게 상실의 고통을 심화시키는가?

        권시정(Sijoung Kwon),유명순(Myoungsoon You),이현정(Hyeon Jung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4

        본 연구는 의료사고로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고통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실의 고통과의료소송 과정에서 겪는 사회적 고통인 울분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의료사고 피해 유가족들은 사망의 원인 규명, 책임소재를 둘러싼 의료소송의 절차와 결과가 불공정하고부당하다고 인식하나, 이 과정에서 겪는 고통에 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자료수집을 위해 의료사고로 자녀와 사별한 후 의료소송을 경험한 부모 7인에게 FGI를 2차례 실시하였다. FGI는 1회당약 4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NVivo 12를 활용해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 코딩을 진행하고 자료를분석했다. 연구 결과, 상실의 고통과 울분에 대한 ‘감정적 경험’, ‘감정의 강도에 대한 영향 요소’, ‘상황적 조건과 대처 전략’,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라는 네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자녀 사별로 인한 상실의 고통과 의료소송 과정에서 나타난 울분의 특징을 살펴본 후, 의료사고 피해 유가족의 고통 완화를 위한 사회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uffering from loss and the social suffering, in other words, embitterment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medical litigation of the bereaved who have lost children due to medical malpractice. The bereaved assume that medical litigation investigating possible causes of death and determining those responsible for the death is unfair and unjust. However,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ir suffering resulting from the litigation. To collect the data, two instances of four-hou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same group of seven parents who had lost their children due to medical malpractice and had undergone medical litigation. We used NVivo12 to analyze the data by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We derived four main themes from the analysis: ‘emotional experience’, ‘influential elements of emotional intensity’, ‘situational conditions and coping strategies’, and ‘emotional change over time’. In conclusion, we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the suffering from loss and embitterment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medical litigation. We also suggested social measures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berea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