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이 교사의 상호소통방식에 미치는 영향

        유경은(Yoo, Kyoung-Eun),천승현(Cheon, Sung-Hyeon),송용관(Song, Yong-Gwan),김보람(Kim, Bo-Ram)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cedence factor of the influences on the teache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yles (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For this way,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yles and students pro and antisocial behaviors. In the study,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 correlational and regression analyses, students prosocial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and negatively with teachers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Whereas students antisocial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and negatively with autonomy 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rosocial behavior was a very well predictor of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than their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while students antisocial behavior was a stronger predictor of teachers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than their autonomy communication style in the physical education filed. In conclusion, students pro and antisocial behaviors play important role to promote their teache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yle. In overall, through this verific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image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for whom physical education prep students.

      • KCI등재

        체육교사의 유연한 소통방식이 소진과 교수 그릿에 미치는 영향: 군집으로 보는 교사 개인의 유형 분석

        유경은(Yoo, Kyoung Eun),천승현(Cheon, Sung Hyeon),이윤희(Lee, Yun Hee),송용관(Song, Yong G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4

        목적: 이 연구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소통방식에 대한 체육교사의 혜택 및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교사의 소통방식, 교수 그릿과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소재 초·중·고등학교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일차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차적 분석으로 심층 집단 인터뷰를 통해 결과에 대한 객관화 및 정당화시킬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의 소통방식 스타일에 따라 군집으로 구분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체육교사의 소통방식에 따라 4가지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자율성지지 소통방식이 높은 2군집과 4군집은 자율성지지 소통방식이 평균보다 낮은 1군집, 3군집에 비해 소진이 낮고 그릿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 자율성지지 소통방식은 교사의 소진에 부적 상관 및 영향력을 미치며, 교수 그릿에는 정적 상관 및 영향력을 미쳤다. 셋째 반대로 통제적 소통방식은 그릿에 부적상관, 소진에는 정적상관 및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교사가 학생들을 대할 때 자율성지지 소통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통제적 소통방식의 사용을 감소 할 때 교사는 교육활동에 대한 소진을 덜 느끼며 교수 그릿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nefit and efficacy for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using autonomy support opposed to regulative mode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communication styles (autonomy supportive style and controlling style) and two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teacher grit and burn-out) were investigated through combined research strategy using both qualitative (cross-sectional) and quantitative (in-depth interview)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ver the course semester. Additionally, an in-depth interview among PE teachers was made to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 survey’s results with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eacher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including the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PE teacher communication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PE teachers in group 2 and group 4 were more autonomy supportive toward their students and revealed the higher level of grit and the lower level of burn-out compared to those in group 1 and group 3. Second, teacher autonomy-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burn-ou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rit in PE instruction. Finally,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teacher burn-ou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grit in PE context. Conclusion: When instructors were relatively more autonomy-supportive and less controlling toward their students, they experienced less burn-out and were at higher level of grit in teaching students in PE context.

      • KCI등재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유소년들의 또래동기분위기, 스포츠우정과 내적동기의 관계

        천승현(Cheon, Sung Hyeon),임창하(Lim, Chang-Ha),유경은(Yoo, Kyoung-Eun),주우영(Joo, Woo Young),송용관(Song, Yong-G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2

        이 연구는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청소년들의 또래동기분위기, 스포츠 우정과 내적동기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또래동기분위기 내 과제중심 동기분위기와 자아중심 동기분위기가 내적동기, 긍정적 우정과 부정적 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또래동기분위기 하위요인인 과제중심 동기분위기와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모두 내적동기와 정적 상관 및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제중심 동기분위기는 긍정적 우정과 정적 상관 및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부정적 우정과는 부적 상관 및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해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부정적 우정과 부적상관 및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중심 동기분위기가 긍정적인 우정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부정적 우정을 예방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긍정적인 스포츠 우정을 위해서 동료 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교육 현장에 시사해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sport friendship, intrinsic motivation and peer motivational climate in the sport setting. Method: Students (n=560) aged 9-1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leted the pack of questionnaires to sport friendship, intrinsic motivation and peer motivational climate. For the analyses, the SPSS and Amos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Results: Results showed that peer-created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friendship. Whereas peer-created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was weak-but-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negatively with friendship. Conclusion: In overall, the findings showed that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created by peers in the youth sport contex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tudents’ motivation and sport friendship, while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created by peers was able to be harmful of students’ motivation and friendship among peers themselves. More detail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체육교사와 동료들에 의해 조성된 동기분위기가 학습자의 동기와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승현(Cheon, Sung Hyeon),김지현(Kim, Ji Hyun),유경은(Yoo Kyoung Eun),김승재(Kim, Seung Jae),송용관(Song, Yong G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성취목표이론과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시된 교사와 동료가 조성하는 동기분위기가 학생들의 동기(심리적 욕구만족과 욕구좌절), 도덕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경기도에 재학중인 중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자율성지지, 동료의 또래동기분위기, 심리적 욕구만족, 욕구좌절과 도덕적 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동료의 과제중심 동기분위기 요인은 심리적 욕구만족 및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교사의 통제적 방식과 동료의 자아중심 동기분위기 요인은 심리적 욕구좌절 및 반사회적 행동과 정적 상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도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동료의 과제중심 동기분위기는 심리적 욕구만족과 친사회적 행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심리적 욕구좌절과 반사회적 행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요타자에 의해서 조성되는 긍정적인 동기분위기(자율성지지, 과제중심 동기분위기)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과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지만, 부정적인 동기분위기(통제적,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심리적 욕구좌절과 반사회적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교사와 동료와 같은 주요타자는 학습자들의 동기뿐 아니라 도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Objective: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nd Achievement Goal Theory (AG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eacher- (i.e., autonomous support vs. controlling) and peer-created motivational climates (i.e.,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climates) were related to students’ brighter and darker side of motivation—namely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nd moral behavior (i.e.,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in physical education (PE) setting. Method: Students (n=403)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perceptions of teacher autonomy support, peer motivational climat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nd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in PE context. Results: As results, teacher autonomy support had a meaningful direct relation with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nd pro-social behavior. Peer task-involving also had a positive direct relation with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On the contrary, teacher control had a direct relation with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but not with anti-social behaviors, while ego-involving had a meaningful direct relation with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and anti-social behavior. Those findings reflected that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peer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positively predicted brighter sides of motivation and outcome, whereas teacher control and peer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negatively predicted darker sides of motivation and outcomes. Conclusion: In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peer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are strong predictors of brighter side of motivation, which in turn better predicts positive outcomes, whereas teacher control and peer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are strong predictors of darker side of motivation, which in turn better predicts negative outcomes in PE context.

      • KCI등재

        방과 후 체육수업에서 심리기술훈련의 적용이 학생들의 학습기능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

        송용관(Song, Yong Gwan),천승현(Cheon, Sung Hyeon),김병준(Kim, Byoung-Jun),김승재(Kim Seung Jae),유경은(Yoo Kyoung E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3

        최근 체육교육 현장에서 심리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과 후 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의 효과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심리기술훈련을 받은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 받은 학생들은 2주 동안 주 5회 하루 2시간씩 방과 후 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심상학습을 처치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심상능력, 인지전략과 수행에서 보다 큰 향상을 보였다. 이는 심리기술훈련을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기능과 수행의 향상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효과적인 방과 후 체육수업을 위해 심리기술훈련의 적용은 심리적으로 불안과 걱정을 느끼는 학생들을 비롯한 운동능력이 떨어지거나 체육수업에 흥미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수행향상과 긍정적인 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으로 심리기술훈련은 체육현장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on students" positive functioning and performance in a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Method: In the experimental design,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the intervention group (n=15) or the non-treatment group (n=14).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on students" positive functioning and performance. Results: Two-way repeated-measure ANOVA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showed greater overall imagery ability, greater cognitive strategies, and performance (grades) than did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any programs. Conclusion: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llowed them to develop their imagery abilities vividly to capture the process of performing and playing, and this acquired skills helped them more significantly have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in terms of their positive functioning and performance.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여성의 과민성 장증후군에서 생리주기에 따른 장 증상의 변화

        유경 ( You Kyoung Cho ),정성애 ( Sung Ae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최영주 ( Young Ju Choi ),김희선 ( Hee Sun Kim ),이종수 ( Jong Su Lee ),김성은 ( Seong Eun Kim ),김도영 ( Doe Young Kim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1

        목적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과민성 장증후군과 생리통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생리주기에 따른 장 증상의 변화와 생리 관련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37명의 의과대학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과민성 장증후군 여부와 생리주기에 따른 장 증상의 변화, 생리통의 유무를 확인하고 생리 관련 증상을 점수화 하였다. 17명의 지원자에게 60일 간의 배변 일지, 생리기간와 생리통 여부를 기록하고 생리기간과 비생리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wel symptom changes and dysmenorrhea in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ccording to the menstrual cycle. Methods: Two hundred thirty-seven female medical students filled up q

      • KCI등재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에 있어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혈당 및 DNA 손상 개선효과

        유경(Park Yoo Kyoung),김정신(Kim Jung-Shin),전은재(Jeon Eun-Jae),강명희(Kang Myung-Hee)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최근 당뇨환자에게서 산화적 손상이 증가됨이 보고되면서 항산화식품의 섭취를 통한 DNA 손상 개선노력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다. 차가버섯을 비롯한 여러 가지 버섯류에 항산화활성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 (STZ) 유발 당뇨쥐를 사용하여 차가버섯에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 억제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이런 항산화효과가 당뇨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4주령, 110 ± 6 g) 32마리를 대조군, 당뇨군, 저농도 차가버섯투여군 (0.5 g/kg BW) 및 고동도 차가버섯투여군 (5 g/kg BW) 등 4군으로 나누어 동물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꼬리 정맥에 STZ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4주간 사육하였다. 4주 후에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혈장 glucose, 혈장 총항산화능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수준 및 α-tocopherol 수준, 적혈구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glutathione peroxidase(GSH-Px)의 활성도, 그리고 임파구 및 간조직의 DNA 손상 정도를 comet assay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혈당이 상승하고 (p < 0.05) 혈장 TRAP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p < 0.05) 임파구의 DNA 손상은 증가하였고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당뇨군에 비해 저농도 및 고농도 차가버섯 투여군들에서 혈당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혈장 TRAP 수준과 α-tocopherol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당뇨군에 비해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tail length로 본 임파구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당뇨군과 차가버섯 투여군들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을 고농도 (5 g/kg BW)로 4주 동안 당뇨유발 흰쥐에게 투여하였을 때 혈당강하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당뇨로 인해 유발된 DNA 손상정도가 정상수준까지 뚜렷하게 감소함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차가버섯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당뇨환자의 DNA손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ushrooms have become a largely untapped source of powerful new pharmaceutical products that poses anti-inflammatory, and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mushroom may be partly explained by protecting cellular components against free radic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haga mushroom against diabetes, via the mitig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reduction of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Rats were rendered diabetic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TZ through tail at a dose of 50 mg/kg. Animals were allocated into four groups with 8 rats each. The control and diabetic control group were fed with standard rat feed. The other diabeic groups, the low chaga extract group and the high chaga extract group were fed ad libitum using 0.5 g/kg and 5 g/kg of chaga mushroom extract, respectively, for 4 weeks. The blood glucose levels in the two chaga extract group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supplementation. Leukocyte DNA damage, expressed as tail length,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chaga extract group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p > 0.05). Plasma level of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was tend to be higher in the high chaga extract group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group.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two groups did not differ. Although we did not obtain beneficial effect on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chaga mushroom extracts may initially act on protecting endogenous DNA damage in the short-term experiment. (Korean J Nutr 2009; 42(1): 5 ~ 13)

      • KCI등재
      • KCI등재

        직장인 남성에서 식이 요오드섭취량과 불현성 갑상선기능이상과의 연관성

        김은혜(Kim Eun Hye),최태인(Choi Tae-in),유경(Park Yoo Kyoung) 韓國營養學會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3

        The prevalence rate of thyroid dysfunction (hypothyroidism and hyperthyroidism) has increased within the Korean population and seems to be affected by iodine dietary habits. Some studies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thyroid dysfunction increase both in the area of iodine deficiency and excess. In this study, we tried to discover the difference in iodine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parameters between male subjects with or without subclinical thyroid dysfunction. A total of 5,249 subjects (Euthyroid: 4706, SubHypo: 454, SubHyper: 89) were used in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body fat, visceral fat, waist circumference, SBP, DBP,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G, fasting serum glucose, HbA1c, alcohol intak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in both age and smoking status. Through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iodine intake per day was estimated. The average iodine intake was similar (SubHypo 392.9 ± 279.0 ㎍, Euthyroid 376.5 ± 281.7 ㎍, SubHyper 357.3 ± 253.8 ㎍) among groups. The main source of iodine intake was eggs (52.8%, 54.2%, 52.4%) followed by milk (16.3%, 15.8%, 17.8%), then sea mustard & sea tangle (12.4%, 11.9%, 11.6%).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subclinical hyperthyroidism was higher in subjects whose intake was higher than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cess consumption of iodine intake may act as one of the risk factors regarding thyroid dysfunction in Korea. Therefore, an adequate amount of iodine intake i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subclinical thyroid dysfunction and clinical thyroid dys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