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Heckman Selection Model에 의한 생업융자금수급자의 사업소득 결정요인 분석

        원종욱(Jong Wook Won) 한국사회보장학회 1999 사회보장연구 Vol.15 No.2

        The microcredit program is designed to improve self-reliance of the poor families that could create incomes through starting small businesses. Since annually available fund for the microcredit is very limited, screening qualified candidat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paper analyze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incomes of the microecredit recipients through econometric test on the recipients tracking survey data. The Heckman Selection Model is used in the econometric analysis because the sample consists of recipients who invested loans to the businesses and who misused loan to other purposes than businesses. First equation of the Heckman Selection Model tests the probability of misusing the microcredit by the recipients. The first test shows that recipients who have prior experience in running similar businesses have less probability of misusing the loan. The second equation of the Heckman seletion model estimates business incomes of the recipients. The second test shows that numbers of consulting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business owners of similar type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usiness incomes. It is recommended that more detailed application form for the microcredit should be developed to include former experience, skills, and readiness for starting specific business, By doing so, loans from the microcredit program are more effectively distributed to the more qualified recipients.

      • KCI등재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원종욱(Won, Jong-W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5 No.-

        보호의무(안전배려의무)는 계약당사자의 일방이 상대방의 생명 · 신체 · 소유권 및 기타 재산적 이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할 주의의무를 말한다. 이러한 보호의무를 채무의 하나로 인정할 것인가는 피해자 보호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즉 보호의무를 채무로 보아 그 위반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면, 불법행위책임으로 구성할 경우보다 입증책임과 소멸시효기간에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현재의 다수설은 보호의무를 채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판례도 1994년 숙박업자의 투숙객 보호의무 위반을 인정하고 계약책임으로 구성한 이래,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경향이다. 독일은 독일민법전 제618조에 안전배려의무를 명문화하고 이를 위반 시에는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묻고 있다. 프랑스는 1911년 파기원의 판례를 통해 운송계약에서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래 의료계약 등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고, 일본은 1975년 최고재판소가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주류적인 경향이고, 도급계약과 공무원의 고용관계에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는 법무부가 2004년도와 2011년도에 민법의 고용계약 규정에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를 신설하는 개정시안을 마련하였지만 입법화되지는 못했다. 이와 같이 외국과 우리는 피해자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보호의무를 명문화 하였거나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에 보호의무에 대한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의 현황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보호의무의 입법화 필요성을 논구하자고 한다. By ‘the duty to protect’ (The duty to consider the safety), it means the duty to be cautious by caring so that one side of the parties concerned in the contract does not encroach upon the life, the body, the ownership rights, and the other property profits of the counterpart. Whether or not to recognize such a protection duty as one of the liabilities has the big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Or, in other words, if one sees the duty to protect as a liability and organizes the violation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non-fulfillment of the liability, it becomes more advantageous with regard to the burden of proof and with regard to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than the case of organizing into the illegal act responsibility. It has been seen that the current, many theories have been including the duty to protect in the scope of the liability. And the judicial precedents had recognized the violation of the duty to protect the guests on the part of the lodging businessmen in 1994. And, ever since the contract responsibility was organized, the dominant tendency has been to see it as the responsibility resulting from the non-fulfillment of the liability. Germany has stipulated the duty to consider the safety in Article 618 of the German Civil Code. When this has been violated, it has been holding the violator responsible for the non-fulfillment of the liability. Ever since it had recognized the duty to consider the safety in the transportation contract through the judicial precedent of the Court of Cassation in 1911, France has been expansively applying this to the medical contracts and others of the like. And, in Japan, ever since the Highest Court recognized the duty to consider the safety in 1975, the mainstream tendency has been the organization of the responsibility resulting from the non-fulfillment of a liability. And this has been applied to the subcontracts and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too. Meanwhile, in 2004 and in 2011, although the Ministry of Justice had prepared the revised tentative plans that newly established ‘the duty to consider the safety of the employers’ in the employment contract regulations of the civil law, they were not legalized. As such,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n Korea, the duty to protect was stipulated in order to protect the victims more closely or there were the attempts at the stipulations. As such, it is intended to take a look once again into the legislation cases of the foreign countries regarding the duty to protect and our present situation. And it is intended to discuss the need for the legalization of the duty to protect.

      • KCI등재

        농촌지역상품 활성화를 위한 라이브 커머스 유형별 브랜드 스토리텔링 디자인 방향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김세웅 ( Kim Se-wo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하는 소비 시장의 패러다임에 맞춰 라이브커머스 기반 농촌지역상품의 판매촉진 전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브랜드 스토리텔링 및 라이브커머스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따른 유형과 농촌지역상품 브랜드스토리텔링 표현방식 요소를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 데이터를 통해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유형 별 브랜드 스토리텔링 방식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각 플랫폼 유형이 지닌 특성에 따라 소비자들이 원하는 스토리텔링 표현방식에 대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농촌지역상품 특성에 맞는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을 선택하고,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인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상품 판매 촉진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니즈와 감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방안의 판매 전략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seek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sales of rural products based on live commerce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the changing consumer marketing around non-face-to-face services. It conducted a surve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local brand storytelling and live commerce and deriving both types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live commerce and elements in expressive methods for the brand storytelling of rural products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e analysis results of preferences for brand storytelling methods by type of the live commerce platform through the response data have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xpressive methods for storytelling that consumers wa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tform type. Accordingly, it could confirm the influence of brand storytelling, which is a method of selecting a live commerce platform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products and delivering it to consumers, on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selling the product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study on sales strategies that can meet consumers’ desired needs and emotions should b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fields as their needs for non-face-to-face services expand.

      • KCI등재

        사용자 정보인지 향상을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조윤성 ( Cho Yun-sung ),김세웅 ( Kim Se-wo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스마트 미디어의 확산과 기술의 발전은 정보화 사회로의 빠른 변화를 이끌었다. 수많은 정보가 생성되는 빅데이터 환경 속에서 정보를 개개인의 성향이나 취향에 따라 수집하고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큐레이션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방대한 콘텐츠 환경 속에서 사용자의 정보인지 향상을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큐레이션 서비스와 정보인지 등 용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큐레이션 서비스의 시각적 구성요소(UI, 텍스트, 동적요소, 레이아웃)와 정보의 인지적 단계(가시성, 주목성, 정확성, 조형성)을 도출하여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큐레이션 서비스 유형 분석을 위해 미디어 및 디자인의 실무 전문가를 실증적인 인터뷰를 통해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각 유형에 따라 시각적 구성요소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의 인지를 돕기 위해서는 각 큐레이션 서비스 유형에 맞는 시각화 방안을 구축해야 하며, 다원화 된 미래 콘텐츠 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지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spread of smart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ve led to rapid chang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curation servic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it according to individual tendencies or preferences in a big data environment in which a lot of information is generated is being under the spotlight. This study is about curation service designs for improvement of user’s awareness of information in an environment with massive content, and i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erminologies such as curation services, awareness of information, etc.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o derive the visual components(UI, text, dynamic element and layout) of the curation services and the cognitive stage(visibility, attractiveness, accuracy and formativeness) of information and then applied them to this study. Moreover, it has aimed to analyze the types of curation services based on the derived factors. Also, it has analyzed the types and examples through empirical interviews with experts having practical knowledge on media and design,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isual components of each type. In order to help users per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visualization measure suitable for each type of curation services and to continue researches on service designs based on user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in an environment that is composed of various cont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인지적 어포던스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러닝 콘텐츠 유형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러닝 콘텐츠의 학습 몰입도를 높이고 비대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비대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현실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의 러닝콘텐츠에 인지적 어포던스의 요소를 적용하여 비대면 러닝 콘텐츠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첫 번째 방법으로 선행연구 및 문헌적 자료를 살펴보고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러닝 콘텐츠 유형(증강현실, 라이프로깅, 거울세계, 가상세계)과 인지적 어포던스 요소(감각적, 유희적, 안정적, 기능적)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메타버스 러닝 콘텐츠 유형별 인지적 어포던스 요소 선호도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 각 유형에 따라 메타버스 기반 러닝 콘텐츠 제작 시 우선되어야 할 인지적 어포던스 요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대면 교육환경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재감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및 가상 환경의 요소를 접목시켜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ways to increase both learning immersion in learning content and non-face-to-face learning effects as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services increas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learning content with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affordance elements to learning content based on metaverse that provides users with a reality-like experience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s follows. First, it derived the types of metaverse-based learning content (augmented reality, lifelogging, mirror world, and virtual world) and cognitive affordance elements (sensible, playful, stable, and functional)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nd bibliographic data. And, it could obtain response data on preferences for cognitive affordance elements by type of metaverse-based learning content derived from a survey and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affordance element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production of metaverse-based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each typ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Various studies on the grafting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and virtual environments that can provide users with realistic experiences should continue to be carried out because there are the growing needs of learners for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OTT 서비스의 콘텐츠 유형별 정보인지 디자인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5G 네트워크의 발전은 실시간 스트리밍이라는 OTT 서비스의 강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빠르게 성장하는 OTT시장의 패러다임에 맞춰 지속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성을 높이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UI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OTT 서비스의 개념과 콘텐츠 유형(VOD 콘텐츠, 방송사 콘텐츠, 사용자 생산 콘텐츠)을 분류하고 정보인지 디자인의 요인을 가시성, 조형성, 주목성, 정확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여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OTT 서비스를 사용 중인 20-30대 남녀 57명에게 각 OTT 서비스 유형별 정보디자인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유형이 지닌 콘텐츠적 특성에 따라 UI디자인 설계에서 콘텐츠의 배열 및 시각정보의 인지 등의 정보인지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가 유형마다 다르게 나타났으며,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디자인 요인의 순서에 따라 설계되어야 함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빠르게 확산 중인 OTT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UI 디자인의 중요성을 모색하였다는 데 연구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OTT 서비스 디자인 개발의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5G networks available for us anytime, anywhere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the live streaming OTT servi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fficient UI design so that the usability of an OTT service can continue to be improved and users can conveniently use the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the fast-growing OTT marke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ategorize the concept of the OTT service and content types (VOD content, content of broadcasting companies, and user generated content) and to derive four factors for the design of information awareness such as visibility, formativeness, attention, and accurac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it conducted a survey with 57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using an OTT service on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of information design for each type of that service. The analysis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wareness’s design factor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designing UI desig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that each type has, and it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not onl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an OTT service, which are rapidly spreading in recent years, but also explored the importance of UI desig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that service in the future.

      • KCI등재

        사물인터넷(IoT)환경을 위한 스마트홈 UX디자인 활용방안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언제 어디서나 연결 가능한 융합미디어로의 발전을 이끌었다. 네트워크의 확장은 사람과 기기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사람과 기술, 공간까지 연결 가능한 사물인터넷(IoT)은 사용자에게 즉각적이고 다양한 정보전달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해주었으며, 사용자와 기기간의 소통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UX 디자인은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나 경험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여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같이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기기들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환경에서 스마트홈 특성에 따른 UX 디자인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향후 사물인터넷(IoT)환경에서 사용자의 경험과 사용성을 높여 줄 수 있는 UX 디자인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과 그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as led development into media convergence which can be connected anytime and anywhere. Expansion of network made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devices possible and provided various technologies and services. Internet of the Things(IoT) which can connect humans, technologies, and spaces has been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in which instant and diverse information can delivered to users. At the time when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devices is important, UX design has a growing role as a tool to realize what users exactly feel and experienc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UX design through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e Things(IoT) in which various media devices are connected by network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constant necessity of UX design research to increase users` experience and feasibility and its application plan in the future Internet of the Things(IoT) environment.

      • KCI등재

        메타버스 환경에서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BX디자인 연구

        원종욱 ( Won Jo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현실을 초월하는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장하며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빠르게 발전되고 확산되는 메타버스 환경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치소비 패러다임에 맞춰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브랜딩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타버스 환경을 살펴보고 메타버스 브랜딩에 있어 경험적 가치요인과 BX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MZ세대(20-30대) 남녀 78명에게 설문 조사를 통해 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버스 환경에 있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가치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가치요인에 맞는 BX디자인 요소와 제작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니즈와 브랜드 및 기업에게 요구하는 가치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점차 확대되는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를 촉진시키고 브랜드의 인식과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브랜딩 디자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며, 사용자 경험 및 가치를 중심으로 디자인 연구가 모색되어야 한다. The metaverse, a virtual world that transcends reality, has been receiving widespread attention as a new media paradigm while it continues to grow in a variety of industries. This study aims to derive an effective branding design method based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a paradigm shift towards value conscious consumption, focusing on the rapidly developing and spreading metaverse environment. It first examined the paradigm environment in the metaverse through theoretical review, derived branding-based experiential value factors and BX design elements, and conducted a survey on 78 men and women of Generation MZ to understand their preferences. The analysis results have made it possible to confirm both the experiential value factors consumers prefer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the BX design elements and the direction of production suitable for each value factor.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 values they demand from brands and companies are rapidly changing. Therefore, based on the expanding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new method for branding design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consumers' purchase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enhance their awareness and image of brand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a way to conduct a study on design, focusing on user experience and value.

      • KCI등재

        국민연금제도의 수용성제고를 위한 기초연금제도 도입방안

        원종욱(Jong Wook W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05 한국사회정책 Vol.12 No.1

        국민연금제도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두가지의 접근이 필요하다. 먼저, 자영업자의 과소 소득보고를 줄일 수 있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 조세당국은 보험사나 자동차 판매상 등과 같은 자영업자들과 관계하는 기업들이 대금의 프리미엄을 지불에 앞서 공제하는 것이다. 두 번째, 조세수입에 기반한 기초연금제도의 도입이다. 다만 이 제도의 재정적 소요를 줄이기 위해 자산조사를 통해 수급자를 제한하여야 한다. 두 방안 중 첫째 안이 우선 도입되고 후자는 이후 도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mong other issues, imposing fair premium, based on real income, to the self-employed is the main issue in stabilizing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t is well-known fact that self-employed are under-reporting their income and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has limited authority and capacity to resolve problem. I proposed two measures that could lessen the effect of income under-reporting by the self-employed. One measure is to put more responsibility on the well established businesses to keep track of busines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s, self-employed or small businesses. In many occasions, well-established firms and businesses hire individuals purely on performance basis, such as, saleswomen of insurance industry and used car dealers. Unless their incomes are high enough to have official record on taxing system it is very hard to figure out their incomes. Therefore, NPC(National Pension Corporation) or National Tax Service mandate well-established businesses having monetary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or small businesses to deduct premiums of these individuals before payment. Then NPC keeps tracks of premium deductions to determine returns in case of over-collection. The other measure to mitigate problem of evasion of premium by the self-employed is to introduce tax-based basic pension. This measure could be favored by the general public but it will be very costly for government to maintain. This will solve problem of premium evasion by the self-employed and reduce complaints and conflicts between NPC and the self-employe. Overall, basic pension financed by tax is favorable option to gain support of national pension system from the general public besides high price tag. To minimize financial burden on general revenue system, measures of means-testing should be implemented. Also, basic pension amount should be differentiated by the coverage duration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wo measure proposed in this paper could be put into action simultaneously or the first measure should be introduced first to monitor the policy effect and then decide to introduce the basic pens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