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태산의 평화사상

        원영상 ( Won Yong-s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본 논문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의 평화사상을 논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소태산의 평화사상의 근본을 그의 깨달음의 내용인 일원상의 진리에 있다고 보고,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우주만유의 본원, 제불제성의 심인, 그리고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보고 있는 일원상 진리의 근원성이다. 즉, 모든 진리적 근원을 일원상의 진리로 상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세계 모든 현상이 서로 소통된다는 원융회통성이다. 일원상 진리가 내포하는 불이(不二)의 세계에서는 이원적 대립이 지양(止揚)된다는 점이다. 셋째, 일원상의 진리가 현실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인 원만성이다. 즉, 모든 존재가 부처와 같이 완전한 존재자로 구현되고, 동시에 모든 존재로부터 존중받고 갈등이 사라진 평화세계를 말한다. 이러한 깨달음의 내용은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를 조직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인간과 사회의 고통의 원인인 근대문명의 한계를 목격한 소태산은, 이 교단을 통해 그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제의 핵심을 전통의 해체와 자기 분열적 증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바로잡아 줄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기 위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종교적 방식의 평화 건설을 지향한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중도와 중용, 상생과 조화, 관용과 섭취불사로 살펴볼 수 있다. 중도는 깨달음에서 나온 원만행이며, 중용은 무념과 무착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솔성(率性)을 말한다. 사회적 현실에서는 민주성과 공공성으로 나타난다. 상생과 조화는 사회적 연기론에 입각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절대적인 은혜의 윤리적 관계를 말한다. 이는 구조적인 폭력에 대응 가능한 테제라고 할 수 있다. 관용과 섭취불사는 무한절대의 진리앞에서의 신앙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자대비심에서 발현된, 모든 존재를 포섭하는 구제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그의 제자들이자 교단의 지도자들인 송규, 김대거, 이광정 등에게 계승되어 교단의 주요 지침이 되었다. 송규의 삼동윤리 사상, 김대거의 세계평화의 삼대요소, 이광정의 6가지 통일대도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에 기반한 이러한 사상들이 세계 보편적 가치나 윤리로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ualization of peace of Jung-Bin Park,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The author argues that the basis of Jung-Bin Park`s peace lies in the truth of Il-Won-Sang (One Circle Image), which is the content of his enlightenment. The first point is the nature of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seal of all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In other words, all truth is symbolized by the truth of Il-Won-Sang. The second point is the nature of existence as being interfused and interconnected in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It means that dualistic opposition is rejected in the world of non-duality which the Il-Won-Sang truth contains. The third point is the nature of being perfect, the state in which the Il-Won-Sang truth is presented concretely in rea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eaceful world where all existence is realized as being perfect like buddhas, and at the same time, is revered by all beings so that conflicts have disappeared. These contents of his enlightenment became the ideological bases for organiz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Won-Buddhism. Also, Jung-Bin Park, who observed the limit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were the causes of sufferings for humanity and society, wanted to suggest solutions through this Order. Understanding the key was the destruction of traditions and symptoms based on division, he put forth the slogan of,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ct spiritual civilization. He aimed for peace building in a religious way. The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can be explained as the Middle Way and the Mea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The Middle Way is a perfect practice which comes from enlightenment. The Mean is commanding the nature which appears in the state of no-thought and non-attachment. In social realities it is presented as the character of democracy and public concer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means the ethical relation of absolute grac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dependent origination,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It can be said to confront structural violence.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are the faith activities toward a truthful world. In other words, they can be seen as practices of salvation to embrace all living beings which comes from the mind of great compassion and great loving-kindness. This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was passed down to his disciples and, also, leaders of the Order―Gyu Song, Dae-Geo Kim, Gwang-Jeong Lee and so on―and became principal guidelines in the Order. Gyu Song`s ideology of the Ethics of the Three fold Unity, Dae-Geo Kim`s three great principles for world peace, and Gwang-Jeong Lee`s 6 great ways of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r are the main representatives. More profound studies are required so that these ideologies, based on Jung-Bin Park`s ideology of peace, can be settled into the world`s universal values and ethics.

      • 기후위기시대 원불교의 역할

        원영상(Yong Sang 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1

        본 논문은 인류가 처한 심각한 위기 상황인 기후문제에 대한 원불교의 활동과 이를 뒷받침하는 교의적 기반에 관한 연구다.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2018년 195개국이 승인한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에서 지구 온난화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이 위기에 대해 종교는 안타깝게도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은 어떤 작은 힘이라도 나서서 힘을 합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대불교, 참여불교, 대중불교로서의 원불교는 이웃종교들처럼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해야 인류 문명이 지속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불교 또한 자발적 조직을 통해 기후・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2010년 4대강 문제에 심각함을 느낀 원불교인들이 결성한 원불교환경연대가 그 주체이다. 원불교환경연대는 인간 안보를 위해 성주군 소성리에 불법으로 반입된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철폐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빛원자력발전소가 있는 영광군에서도 탈핵순례를 통한 탈원전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양 지역은 원불교의 핵심 성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5개교단 환경단체들의 연대체인 종교환경회의에 적극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다. 2020년에는 유교까지 포함한 6대종단 ‘종교인 기후위기 비상행동’ 선언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원불교 환경운동의 교의적 기반은 천지・부모・동포・법률의 사은(四恩) 가운데 천지은(天地恩)이다. 2000년 서울에서 공식적인 교단 대표 환경단체로서 ‘원불교 천지보은회’가 창립되기도 했다. 원불교의 신앙 대상인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은 바로 이 사은에 의해 전개된다. 사은의 존재론은 불법의 연기(緣起)사상에 근거해 있다. 이에 따라 천지의 도(道)에 순응하며, 자연을 보존하고, 자연과 공존하는 것이 바로 원불교 환경운동의 이념이다. 이러한 원불교 환경운동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공존과 공생의 의식을 더욱 확대시키는 것과 소비자본주의의 배격과 지구적 정의론의 확장이 필요하다. 원불교의 입장에서 자신의 종교적 가치가 세계 보편의 가치와 소통되기 위해서라도 원불교환경운동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activities of Won Buddhism about climate issues, the serious crisis, and the dogmatic foundation which supported thes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warns the dangers of global warming in 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 approved by 195 countries in 2018. Unfortunately, this crisis historically or practically proved that religions cannot be a main agent of solving the problem. Nevertheless, we cannot help bringing even small powers together in this situation. Won Buddhism as modern, engaged, and popular Buddhism thinks that human civilization can continue only when solving the common problems of mankind. Therefore, Buddhism also began to deal with climatic and environmental issues actively through voluntary organizations. The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Won Buddhism organized by Won Buddhists who felt the seriousness of the four-river project in 2010 is the main agent. The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Won Buddhism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a movement for the abolition of THAAD carried in Soeong-ri, Seongju-gu for human security. It has continued to develop a movement for nuclear power phase-out in Yeonggwang-gun with Hanbit Nuclear Power Plant through post-nuclear pilgrimages. The key sacred places of Won Buddhism are also located in these both areas. Besides, it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religious environmental conferences, an alliance system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of 5 religious bodies. It led religious persons' emergency action of the climate crisis declaration by 6 great religious bodies incliding Confucianism. The dogmatic found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is beneficence of Heaven and Earth (天地恩) among fourfold beneficence (四恩) of heaven and earth, parents, compatriots, and laws. In 2000, Won Buddhism Heaven and Earth Requital Society was established as the environmental body which officially represented the religious body in Seoul. Phenomena of Law-body buddha and a great-circle (法身佛 一圓相), the subject of belief of Won Buddhism, is developed by fourfold beneficence. Ontology of this fourfold beneficence is based on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thought of the Buddhist Law. Accordingly, ideology of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is to adapt yourself to the Way (道) of Heaven and Earth, preserve the nature, and coexist with it. In order to expand horizon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the expansion of awareness of co-existence and the global theory of justice and the rejection of consumer capitalism are required. It can be found that role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are very important to make religious value of Won Buddhism communicate with global valve of universality.

      • KCI등재

        원불교의 탈불교화 과정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는 원불교 교단의 정체성은 물론 원불교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원불교교헌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논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이 과정 속에서 필자는 원불교의 역사를 통해 왜 원불교가 탈불교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물론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에 의해 세워진 불법연구회가 전통적인 불법을 계승하고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관을 제시한 다음, 초기 교서인 『』불교정전(佛敎正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 교단, 즉 불법연구회는 불교 결사운동의 현대적인 활동임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1948년 원불교의 교명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불교와의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1962년 발포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교단 스스로 제출한, 불교와의 관계를 단절하기 위한 정부청원을 계기로 탈불교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원불교교헌」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난 불교에 대한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단의 출발과 함께 제정된 초기 교헌으로부터 현재의 교헌까지는 불교의 진리관과 세계관을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강조한 연원불(淵源佛) 조항은 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도 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원불교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원불교의 탈불교화에 대한 의식은 일련의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것이며, 불교와 원불교의 내적 일치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교조 및 교단의 입장으로부터도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cid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Order but also the orient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Won-Buddhism. Recently it is also emerging up as a heart issue among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such perspective, I tried to elucidate why Won-Buddhism walked a path of de-Buddhistiz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on-Buddhism. This presentation of an issu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established by Sotaesan Park Jungbin`s enlightenmen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Buddhadharma. Accordingly I suggested the Buddhist view of Sotaesan Park Jungbin first, and then analyze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as a scripture of early times. And I suggested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an early Order, was modern activities of the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Nevertheless, after the title of Won-Buddhism has changed in 1948, the Order`s keeping distance from Buddhism had appeared. Especially in order not to be restricted by The Buddhist Property Management Law declared in 1962, the Order itself presented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to sever the relation with Buddhism. From such incident the de-Buddhistization accelerated. As well, it examined the Order`s perspective on Buddhism which was reveal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the early Constitution,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with the Order`s founding, to the present Constitution, the Won-Buddhist Order has inherited the truth view and the world view of Buddhism. Especially the article of The Buddha of an Original Guide shows this point very well. Moreover, in 1990`s the Supreme Dharma Council, the Won-Buddhist highest resolution organization, elucidated clearly the Won-Buddhist standpoint about the relation with Buddhism. Accordingly, the recent Won-Buddhist awareness about the de-Buddhistizatio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torical process, and devi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Order which officially declared the un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 KCI등재후보

        소태산 박중빈의 재가주의 불교운동과 민족주의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이 글은 불법연구회를 창건한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운동이 당시 불교개혁론의 실천적인 완성이라는 점을 고찰하는 가운데 불교개혁의 중심이념이 재가주의 불교 운동임과 동시에 불법의 사회화·대중화와 민족주의의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기존의 불교개혁론이, 개혁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개혁의 지향점에서 미완이었음을 논하였으며, 이에 반하여 소태산의 개혁은 불교 전통의 말법(末法)적 역사관 하에 대승불교의 민중불교 운동의 이념에 바탕한 재가주의 불교운동을 통한 개혁이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혁의 이념을 통합적인 관점, 근대적 상황의 수용과 조화를 위한 중용의 철학, 불법의 실천지향에서 찾았다. 특히 후자는 소태산의 재가주의 불교운동의 특징으로 보고 그 중심에 「불교 대중화의 대요」를 놓았다. 또한 소태산의 민족주의 의식에 있어서는 일제에 의한 그의 구금의 경험에서 반외세에 대한 민족적 저항의식이 발현되어 있음과 동시에 민족불교론의 입장에서 조선에 대한 희망적 전망과 이원대립을 지향한 열린 민족주의에 대한 지향점을 밝혔다. 더불어 소태산의 재가주의 불교운동은 불법의 대중화와 사회화를 기반으로 한 민족적 역량의 강화를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불법연구회 또한 이러한 면에서 근대적 민족주의의 근간인 평등적 시민관의 고취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음을 논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buddhism movement of secularism by Sotaesan Park Jungbin(1891~1943), who created The Society to Study Buddhism, which performed the accomplishment of practice on the reformism of buddhism in modern time of Korea. Therefore, it is studied that the kernel of ideology on that movement was the buddhism movement of secularism, which also was to strengthen capability of nation through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For this discussion, the writer of this paper analyzed that the theories on the reformism of buddhism in modern time reached the limits in the subject and the direction of reformism. On the contrary, the writer tried to prove that the reformism by Sotaesan was connected with historical consciousness on eschatology of buddhism, and he made practice on the reformism of buddhism through the Buddhism movement of secularism. The writer cleared that he had resistant consciousness to resist the power of a foreign country in Sotaesan`s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through his painful experience at prison, and he made the people of Korea hopeful and had open nationalism against a dual opposition from standpoint of national buddhism. Therefore, the buddhism movement of secularism by Sotaesan was to strengthen capability of nation through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The Society to Study Buddhism also acted to inspire citizen`s consciousness on equality that was the basis of modern nationalism.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의 군국주의 -니치렌주의(日蓮主義)를 중심으로-

        원영상 ( Won Yong-sa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본 논문은 중세 일본불교의 조사들 가운데 가장 독특한 니치렌(日蓮)의 가르침을 근대적으로 해석한 니치렌주의(日蓮主義)와 군국주의의 관계 연구이다. 봉건제가 해체되고, 전제국가의 형태를 띤 근대 일본은 전통과 서구화의 갈등, 획일적 자본주의화 등으로 사회적 혼란에 처해 있었다.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국가체제 속에서 국체론(國體論)을 통해 군민일치(君民一致), 애국주의, 외국종교의 배격 등 국수(國粹)적이고 배타적인 국민성이 형성되어 간다. 특히 일본이 부국강병 정책에 기반하여 승리한 청일 및 러일전쟁으로 국가주의가 절정에 달할 때,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와 혼다 닛쇼(本多日生)의 니치렌주의는 각광을 받는다. 니치렌주의와 군국주의는 두 가지 큰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는 일본주의이다. 신의 자손인 천황을 중심으로 일본이 세계의 중심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제국주의다. 다나카는 천황가의 조상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와 석가모니, 전륜성왕과 천황이 같은 뿌리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일본은 세계를 영적으로 통일할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의 언설과 그가 조직한 국주회(国柱会)는 사회사상가, 군인, 정치가들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 심지어 1940년대에 이시하라 칸지(石原莞爾)와 같은 군인은 최후의 전쟁을 통해 일본을 중심으로 세계가 통일되고, 현인신인 천황이 세계의 천황이 되어야 한다고까지 주장한다. 이러한 니치렌주의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제정일치를 의미하는 법국명합(法国冥合)의 파행이며, 천황숭배에 입각한 민족주의의 한계다. 불법을 통해 중생의 고통을 제거해야 한다는 니치렌의 가르침을 부정한 것이다. 다음은 악한 자의 마음을 바르게 가르쳐 인도하는 절복(折伏)을 전쟁과 같은 비인도적 방식에 적용한 것이다. 불교의 불살생의 가르침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종교가 자발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받을 때, 이처럼 비참한 결과가 발생한다. 오늘날 니치렌주의가 다시 주목되어야 할 이유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종교가 어떻게 중도를 지킬 것인가 하는 문제 때문이다. 특히 니치렌 계통의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는 현실을 놓고 볼 때, 과거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반성이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ism and Nichirensyugi that modernly interprets the lesson of Nichiren who is the most unique in great masters of medieval Japanese Buddhism. After the feudalism was broken down, the modern Japan in the form of autocracy was facing the period of social chaos lik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zation, and capitalization. In the national system with the pinnacle of Japanese emperor, the nationalistic and exclusive national character is formed such as the military and civilian unity, patriotism, and rejection of foreign religions through Kokutairon. Especially, when the nationalism reaches the climax by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based on its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 Nichirensyugi by Tanak Chigaku and Honda Nisshyō gets the limelight. The Nichirensyugi and militarism show th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Japan-centrism. Focusing on the Japanese emperor who is a descendant of God, Japan should become the central nation of the world in the imperialism. According to Tanak, the Japanese emperor has the same root with Amaterasu Ōmikami who is the ancestral god of the emperor’s family, Buddha, and Chakravartin, and Japan has a mission to spiritually unify the world. His statements and Kokutyūkai that he organized had huge influences on social thinkers, soldiers, and politicians. And even in the 1940s, the soldiers like Ishihra Kanji argue that the world should be unified focusing on Japan through the final war, and the Japanese emperor who is the emperor god should become the emperor of the world. This Nichirensyugi has largely two limitations. First, it is the lameness of Hōkokumyōgō meaning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nd the limitation of nationalism based on the emperor worship. It denies Nichiren’s lesson in which the pains of mankind should be removed through Buddhism. Next, the Shakubuku that correctly teaches and leads the heart of wicked persons, is applied to the inhumane method like war. It completely denies the Buddhist lesson of no destruction of life. Such a miserable result could happen like this when a religion is voluntarily controlled by a state, Today, the Nichirensyugi should be reviewed once again because it is the matter of how a religion take the middle course in the relation with state.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the Nichiren-like religion participates in politics, there should be realistic analysis and introspection on the past.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선조왕손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국내 연구는 양은용에 2002년에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독자적인 연구와 더불어 일본 내 몇 사람의 연구가 있었지만 현재까지는 답보상태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하는 한편, 새로운 측면을 열어 가기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는 임진왜란이라고 하는 전쟁에 투영된 불교의 보편정신에 입각한 평화적역할, 둘째는 동아시아에서의 불교적 이념 공동체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탐구되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먼저 역사적인 사료의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일연상인과 선조와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임해군의 자녀라고 하는 면은 일본과 한국의 자료 차이로 인해 향후 좀 더 고증 가능한 자료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연상인의 행장에서는 가토 키요마사(加藤淸正)와의 관계, 수학과정, 신지대론(身池對論)에 의한 삶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어 일연상인의 일생의 큰 전환점인 신지대론의 구체적인 역사와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는 일련종(日蓮宗) 불수불시파(不受不施派)의 역사에 깊이 개입되어 있는 일연상인을 통해 종교와 국가권력의 관계를 깊이 들여다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기에 일본에 끌려온 일요상인(日遙上人)의 행장을 살펴보고 이 둘의 관계와 의미를 짚어보았다. 특히 지금도 남아 있는 일요상인과 부친과의 서간을 통해 한 인간의 고통스런 운명과 불법을 통한 인간정신의 승화를 살펴보았다. 향후 사료발굴을 통해 임진왜란기에 일어난 많은 피랍인들의 운명과 삶을 정리하고, 역사적 입장에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도에 의지한 삶을 살다간 일연상인과 일요상인의 행적은 한일 간의 새로운 역사적 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커다란 지향점을 암시하고 있다고 본다. The Study in Korea on Nichien Shonin(日延上人) was first performed by Yang Eunyong in 2002. Though since then there were a few people``s studies including his research, up to now the study on him is at a standstill. This paper integrates together such studies,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try to open a new aspect.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idea in mind of, firstly, the peaceful role based on the universal ideology through the war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of Buddhist ideology in East Asia. For such goal, I first tried to re-investigate the historical materials. According to them, I reflected on the relation of Nichien Shonin and King Seonjo(宣祖). As for the aspect of he is offspring of Prince Imhaegun(臨海 君), we need more henceforth to secure materials for historical evidenc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materials between from Korea and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his life caused by relation with Gato Kiyomasa(加藤淸正),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inchitairon(身池對論), for his personal history. Subsequently, I investigated the detailed history of and the result of the Shinchitairon(身池對論) which was a great turning point in NichienShonin``s life. I mean that the study examined deeply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tate``s power through Nichien Shonin who was deeply involved in the history of Huzuhuseha(不受不施派) in the School of Nichirenshu(日蓮宗). Lastly,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y of Superior person Nichiyo Shonin(日遙上人) who was brought by force to Japan at the same period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meaning. Peculiarly this study investigated his painful destiny as one human and his will toward the Buddhadharma through letters shared between Nichiyo Shonin and his father which remained still until now. Henceforth it is need to arrange and evaluate new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destinies and the lives of many kidnapped people which occurred at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rough discovering the historical sources. From such aspect the life histories of Nichien Shonin and Nichiyo Shonin which led the lives dependent on the Buddhist path suggest the great direct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에 나타난 구조 고찰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불법연구회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태산에 의한 개혁불교로서의 지향점을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현실에 입각한 불법의 원융성 회복, 둘째, 불법에 입각한 제 사상의 포용 정신, 셋째, 불법에 기반한 사회개혁을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 위에 소태산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 또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불보(佛寶)와 법신불 일원상과의 관계이다. 한국의 불교는 사찰에 전통적으로 유래된 불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왔다. 근대의 여러 불교개혁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신화화된 불상은 불법의 진의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불심(佛心)의 상징으로 법신불 일원상을 봉안함으로써 불법의 근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는 법보(法寶)로서 『정전(正典)』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정전』의 원텍스트는 소태산이 친히 감수한 『불교정전(佛敎正典)』이다. 원불교의 핵심경전인 『정전』은 대승불교의 경전관에 의거하고 있다. 소태산 또한 시기상응의 정신에 입각하여 대중을 중시하는 경전관을 피력하고 있다. 셋째는 승보(僧寶)의 의미를 확대하여 승가의 사회화를 지향한 것이다. 즉, 재가와 출가를 동등하게 보고, 차별없이 교단의 운영자로 참여시킨 것과 이러한 평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승가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는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했던 세계관이다. 이처럼 소태산의 불교개혁은 불법의 근원에 입각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불법승 삼보를 해체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삼보로 재구성한 것이다. 소태산의 사후, 개명된 현재의 원불교의 성격 또한 이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by launche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who founde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1924 that has been changed to Won-Buddhism in 1948. This writer think that Sotaesan presented 3 parts as the intention points of Buddhism reform by himself. Firstly, unifying material and spirit, politics and religion, monk and layman, life and practice etc., secondly, all-embracing of religious thoughts in the world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irdly, social reform based on the thoughts of Buddhism. The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launched by Sotaesan who reformed traditional Buddhism world, consists of 3 structural elements too. Firstly, it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k-ya Buddha whose another name is Il-Won(One Circle) in Won-Buddhism. The statues of the Buddha was worshiped as the great object of devotion in most of Korean temples. Sotaesan thought many statues of the Buddha treated as myths should be simplified for catching the true teachings of Buddha as like Buddhism reformers asserted in modern times. He enshrined Dharmak-ya-Buddha instead of Buddhist image to reveal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a. Secondly, Sotaesan completed Jeongjeon(正典) as the text of Buddha- Dharma. It contains the teachings of Buddha and Sotaesan. And Jeongjeon as Won-Buddhist core scripture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Mah.y.na Buddhism. He preached that the teachings in scriptures should be kept up with the times and be angled towards viewers of the public. Thirdly, Sotaesan planed to make traditional Samgha in Buddhism open to society. He put this plan into practice through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t was equally open to both monks and laymen. This system is from Mah.y.na Buddhism that criticized Samgha of the established order. He has broken up three treasures, that is, Buddha, Dharma, and Samgha in traditional Buddhism and reconstructed these to modern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Today Won- Buddhists well maintain the heritage of the teachings of Sotaesan an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 KCI등재

        광복 후 분단체제에 대한 원불교의 대응과정 연구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8 No.-

        해방 후 한국사회는 외세에 의해 분단되었다. 일제시대에 태동된 원불교는 한국 민족의 이러한 분단의 고통을 분담하면서 성장하여 왔다. 이에 본 논문은 분단체제에 대한 현재까지의 원불교의 대응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분단의 현실에 대해서는 주로 백낙청과 이종석의 분단체제론과 분단구조론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분단문제를 풀어가는 방법으로 시민참여가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종교계 또한 이러한 현실 위에 대북한 교류의 장을 넓히고 있으며, 원불교도 여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분단체제에 대한 원불교의 대응양상에 대해서는 먼저 광복 후의 과제와 당시 최고 지도자였던 정산 송규의 「건국론」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그 내용 가운데 민주국 건설과 중도주의 운용은 현 시점에서도 한반도의 통일방식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분단체제의 고착화에 대한 대응과 분단 회복운동에 대한 참여를 다루었다. 전자는 반공을 국시로 삼아 분단이 고착화된 시기의 원불교의 대응을 논한 것이다. 비록 이념적인 측면에서 통일의 당위성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원불교의 사회적 역할은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80년대 후반 노태우 정부의 등장과 함께 의등장과 함께 원불교도 북방 및 북한교화의 정책을 수립한 것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한국사회 내 분단회복 운동에의 동참을 조명한 것이다. 북한과의 학문적 협력, 청년들의 통일 운동, 원불교 사회단체들의 통일 활동, 원불교 지도자에 의한 통일의 사명고취 등 다양한 통일논의와 활동은 원불교가 분단회복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원불교의 통일운동은 종교적 이념과 통일이념의 조화, 시민사회의 역량강화, 실질적인 교육, 교류, 협력 사업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결론으로써 제시하였다. Korea is separated by foreign powers after her independence in 1945. Wonbuddhism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Japanese and has expanded after that time, has shared Korea`s deepest sympathy.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process of Wonbuddhism`s policy in response to the system of Korea`s division until now. First of all, this writer has analyzed both the theory of division system suggested by Nak-Cheong Baek and the theory of division structure by Jong-Seok Lee. They all pointed out it is important that Korean citizens are engaged and involved in solving of division problem. The Korean religious circles are promoting religious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onbuddhism also is getting in on the acts. The process of Wonbuddhism`s policies in response to the division system firstly is studied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founding the State written by Wonbuddhism`s principal leader Gyu Song in 1945. This book is an analysis of Korean policy issues after Korea`s independence. Both building up a democratized country and proceeding on the principle of middle-of-the-roadism have implications for the method to unify divided Korean peninsula in the present. Secondly, Wonbuddhism`s policies and the reunification movements in response to the fixation of the division system are treated. The former was focused on them when the government took an anticommunist line and therefore the system of the divided Korea became permanent. Although the believers of Wonbuddhism knew the appropriateness of reunification in respect of history, the social role of Wonbuddhism did not play a large factor in reunification movements. Meanwhile, Wonbuddhism formulated the policy of missionary work to countries in the Communist bloc and North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Tae-Woo No`s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The latter is focused on joining in reunification movements in Korea until now. We can see that Wonbuddhism are taking an active part in solving division problem, especially in acade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reunification movements by the young and social groups of Wonbuddhism, infusing the calling of reunification into the hearts of believers by readers of Wonbuddhism. This writer made a conclusion that the unification movement hereafter of Wonbuddhism should be pursued the harmony between religious and reunification ideology, social-empowerment by citizens, education for reunific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