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내채권시장의 동조화와 외국인의 투자 행태에 관한 연구

        원승연 ( Seung Yeon Won ) 한국금융학회 2006 金融學會誌 Vol.1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의 투자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채권시장 동조화 전달경로로서의 역할을 검증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있다. 국내채권시장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투자자들은 주식시장과 달리 채권시장에서 동조화의 전달경로로서 기능하지 못하였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해외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이러한 외국인 투자자의 행태가 채권시장 전체에 영향을 줄 정도로 크지는 않았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외 금리차를 이용한 차익거래를 실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외국인 투자자의 차익거래에 의한 시장 교란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되었다.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던 채권시장에 대한 분석, 특히 외국인의 국내채권시장에서의 투자 행태를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차익거래 분석의 경우 자료상의 제한으로 엄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는데, 이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foreign investors` behavior and influence in Korean local bond market, with the empirical test whether the foreigners played a role as a transmission channel of bond market integration. Based on the empirical test of Korean local bond market,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s : First, the foreigners did not play a role as a transmission channel of bond market integration, unlikely their influence in the stock market. Though they sensitively responded to foreign factors such as US TB rate and interest rate gap between US rate and Korean rate, their trading volumes were not large to give the influence on local bond market. Second, it is estimated that foreigners have been executing the arbitrage trading in spot market, while the interest rate gap was in high level. However, the volumes were not large to disturb the local market, eith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is the first analysis on foreigners` behavior in Korean local bond marke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nalysis of bond market which is less advanced, compared to the study of stock market. However, this study needs to be compensated by additional study because the analysis of arbitrage trading is not rigid empirical test owing to the lack of data.

      • KCI등재

        회사채 시장의 특성과 신용스프레드의 결정 요인

        원승연 ( Seung Yeon Won ),이건범 ( Keon Beom Lee ) 한국금융연구원 2007 금융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최근 신용스프레드의 지속적인 하락에 대한 구조모형의 설명력 한계를 보완하는 데 그 목적을 갖고 있다. 구조모형은 신용스프레드를 신용위험 및 기업 고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 모형에 의한 신용스프레드 추정치는 실제 신용스프레드와 상당한 괴리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신용스프레드의 결정 요인으로서 채권시장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지적하고, 이러한 채권시장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구조모형에 의한 신용스프레드의 설명력 괴리를 축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회사채 신용스프레드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채권의 유동성 및 회사채 수급 요인 등 회사채 시장의 고유한 특성이 신용스프레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들 채권시장의 특성을 추가한 모형은 기존의 구조모형에 비하여 신용스프레드를 보다 잘 설명하였다. 둘째, 최근 한국에서 신용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하락한 원인은,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같은 기업의 신용위험 하락보다는 회사채의 상대적 공급 부족이나 금융기관의 투자방식 전환과 같은 채권시장의 특성 변화였다. This paper aims to compensate for the limited explanatory power of the structural model for a persistent fall in credit spread in Korea. The structural model focuses on credit risk and firm-specific attributes, but these determinants do not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credit spread. In our model, we consider bond market`s specific factors to account for credit spread change. In this way, our model can reduce the limited explanatory power of previous models. We summarize some of the major findings below. At first, our results suggest that bond market`s specific factors, such as the liquidity of individual bonds and supply and demand for corporate bonds,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f credit spread. As we expand our model to include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the discrepancies in real credit spread appear to be much more robust than previous models would suggest. Secondly, this paper concludes that credit risk, such as improvements in capital structure, is not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fall in credit spread. Rather, bond market`s specific factors such as a relative supply shortage of corporate bonds and the change in investment strategy of financial institutions can explain this trend.

      • KCI등재

        헤지펀드의 투자 효과와 활용 방안

        원승연(Seung Yeon Won) 한국증권학회 2014 한국증권학회지 Vol.43 No.3

        이 논문은 국내의 자산수익률이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자산시장 환경에서, 대체자산으로서의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 필요성과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헤지펀드 도입은 포트폴리오 다변화효과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VaR 값을 통해 투자위험을 측정할 때, 헤지펀드 수익률의 비정규성은 헤지펀드를 포함한 포트폴리오 전체 수익률 하락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헤지펀드 편입으로 인한 위험 증가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헤지펀드 편입 비중에 대한 제약을 전제로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투자자의 포트폴리오운용성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헤지펀드에 대한 막연한 투자위험을 강조하는 데에서 벗어나 그 수익-위험 구조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을 지적하였고, 국내 자산수익률 하락에 대응하는 방안의 하나로서 헤지펀드 투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korean long-term investors should invest in hedge funds, under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mestic asset markets where the rates of returns are decreasing in the long run.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how for long-term investors to invest in hedge funds. According to the empirical tests, hedge funds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performance of total portfolio including hedge funds by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while they would increase the downside risk of the portfolio because the non-normal distribution of hedge fund returns may increase the fat-tail risk of portfolio. However, allocating the hedge funds as one of alternative assets in portfolio, the negative effect of increased portfolio risk is estimated not be bigger than the positive one from its diversification effect. The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the risk of hedge funds was not bigger than other alternative investment assets such as private equity funds. In results,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long-term investors should invest in hedge funds for advancing the portfolio expected returns, with constraint of limiting the maximum allocation ratio in portfolio.

      • KCI등재

        자산운용업의 발전과 그 기능에 대한 연구 - 한국의 채권형 펀드를 대상으로

        원승연(Seung Yeon Won) 한국경제발전학회 2008 經濟發展硏究 Vol.14 No.1

          본 논문은 한국의 채권형 펀드를 분석대상으로 자산운용업의 금융중개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자산운용업의 기능을 기존 금융중개기관에 대한 이론에 입각하여, 첫째, 투자자에 대한 편익 제공 기능, 둘째, 자본시장의 자금공급자로서의 기능, 셋째, 금융안정화 수단으로서의 기능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분석기간 동안 한국의 채권형 펀드는 금융중개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채권형 펀드는 시장 대비 낮은 운용성과를 보였다. 둘째, 채권형 펀드의 풀링(pooling) 기능과 장기적 자금으로의 전환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었다. 셋째, 채권형 펀드는 기관투자자로서 채권시장의 가격안정성에 기여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BR>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자산운용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는 자산운용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산운용업의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정책을 수립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본 연구 결과는 펀드의 기본적인 기능인 ‘자금의 풀링(pooling)’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valuates the function of bond funds as financial intermediaries in Korea. Based on the economic literature relating to the financial intermediaries, we classified the function of asset management sector into three categories; first, function for benefit of fund investors, second, function as the suppliers of cash flows in capital market, third, function as financial market stabilizer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bond funds did not effectively do jobs as financial intermediaries in Korean capital market. First, the performance of bond funds was lower than the performance of markets. Second, owing to the lack of pooling effects, bond funds failed to transfer investor"s cash into long-term funds. Third, bond funds did not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price volatility in capital market.<BR>  This study gives the implication to the government policy for asset management sector. For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ector, the policy should be focused on advancing the function of funds as financial intermediaries.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oling effects of funds should be recovered for the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ector.

      • KCI등재

        스왑 스프레드 역전 현상과 채권시장의 효율성 -현물 매수 차익거래의 역할을 중심으로-

        원승연 ( Seung Yeon Won ),한상범 ( Sang Buhm Hahn ) 보험연구원 2009 보험금융연구 Vol.20 No.3

        본 논문은 분계점 회귀 모형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을 이용하여 한국의 금리스왑 시장에서 스왑 스프레드가 음(-)이 되는 역전 현상이 장기간 지속된 원인 중 하나가 이를 상쇄할만한 차익거래가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스프레드 역전 현상의 지속 자체가 한국의 채권 및 금리스왑 시장에서의 시장 효율성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차익거래가 거래 비용 또는 기타 제약 요인으로 인하여 실행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외적 요인으로 국내 채권시장의 왜곡 발생이 빈번해지는 환경에서, 정책 당국이 시장 스스로가 왜곡현상을 수정할 기능을 발휘하도록 채권 및 금리스왑 시장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규제 완화를 실시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sistence of negative swap spread in Korea is partly attributed to the lack of arbitrage trading which may counteract the negative swap spread, using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However, according to the empirical test, the negative swap spread is not the proof that there is no market efficiency in Korean bond and interest rate swap market. Rather, it may be inferred that the transaction cost or some constraints against arbitrage trading set the limit to the arbitrage trading so that it could not be executed fully enough to decrease the negative swap sprea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dvance the market system as well as deregulate the bond market for enhancing the market capabilities to correct the bias from outside shock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채권시장 개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원승연(Seung Yeon Won) 한국경제발전학회 2005 經濟發展硏究 Vol.11 No.2

        외환위기 이후 자본시장이 개방된 이래, 외국인투자자들과 관련하여 여러 연구 결과가 있었으나, 그 대부분은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자들의 행태와 채권 시장의 국내외 자금흐름을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식시장의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달리,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 비중은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시장에 대한 영향력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채권시장에 투자할 여건이 점차 호전되고 있으며, 국내투자자들의 해외채권 투자 확대도 확인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국내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 모두 투자시 국내외 금리차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의 채권시장이 점점 더 해외시장이나 외국인투자자의 영향에 더욱 민감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 변화는 국내채권시장이 대외적인 요인에 더욱 민감하게 변동하여, 결국 대외적 변수가 국내채권시장을 교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 점에서 본 논문은 이러한 채권시장의 변화에 대응한 충분한 정책적 대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JEL : G1) Since having opened up its capital markets, though there has been many published studies foreign investor activities in Korea, most of them were dealing with the Korean equity market in general. This paper focused upon foreign investor activity and their influence to the Korean bond marke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unlike most of the conclusions from equity research, foreign investor activity in the Korean bond market has been a mere trifle. However, Recently,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growth in such foreign investor influence has been noted in the Korean bond market, which can induce increased uncertainty and distortion for the local bond market. For instance, interest rate parity between UD bonds and Korean local bonds has influence on the position of both of domestic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This means that Korean local bond market is more vulnerable to foreign factors and investors than before. Thus, we suggest, in terms of financial policy, that greate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foreign investor activities and factors in the Korean bond market.

      • KCI등재

        금융투자상품 시장에서의 금융소비자 보호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

        원승연 ( Seung Yeon Won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1

        이 논문은 금융소비자의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고려하여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금융소비자는 정보를 인식하고 활용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합리성을 갖는 존재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소비자는 금융회사와 동등한 주체가 아닌 상대적으로 보호를 받아야 할 주체로 인정되어야 하며, 이에 상응한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금융감독원의 민원 및 분쟁 자료와 소송사례를 이용하여 금융투자상품 시장에서의 금융소비자 문제를 분석한 결과, 그 문제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한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은 제한된 합리성을 갖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서 금융회사가 실질적으로 이해가능한 정보를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금융자문 및 판매 과정에서 고객인지의무, 적합성 원칙, 적절성 원칙을 준수하도록 해야함을 강조한다. 이와 동시에 금융거래 관련 법적 체계에 사회법의 원칙을 준용하여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금융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조치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on the bounded rationality of financial consumers in Korea. Previously, the financial consumer was normally regarded as the entity to be rational so that he would do financial activities rationally on condition that full information was given to him. Therefore, regarding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financial policy and regulation concentrate on decreasing the asymmetric information between financial companies and financial consumers, by enforcing financial companies to supply more information and transparency to financial consumers. However, the recent studies show that a financial consumer may have the bounded rationality which means that financial consumers have limitation on recognizing and utilizing the information rationally. According to them, the financial consumer with bounded rationality may not make optimal decisions on trading financial services even if he get the full information on the financial product and service. Especially,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re too complicated for financial consumers to rationally understand and make decision on the products. In that sense, it is expected that financial consumers in the area of trading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re more damaged by their bounded rationality. This paper shows some cases that the financial consumers were damaged in trading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of Korea, by using the complaints and disputes data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well as three case stud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laints and disputes of financial consumers, the ratio of complaints and disputes regarding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is rapidly increasing. Second, by analyzing three cases including sales of equity linked securities, funds managing derivative products and foreign exchange swap trading, we find that many financial consumers, due to their bounded rationality, were much damaged in trading with financial companies. There are many examples that financial consumers bought the complicated products without properly understanding their risk and character even if they were formally delivered the full information by the financial companies. Third, the current system f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does not enough respond to the problem coming from the consumer`s bounded rationality. Up to now, the bounded rationality of financial consumer were less considered in the jurisdiction of the court and financial regulation and supervision. To protect financial consumers having bounded rationality in financial marke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rinciple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financial consulting should be applied to financial regulation and making jurisdiction. First,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should be regulated more concretely. The financial regulation should require that the financial companies have obligation to deliver the information in simple and understandable way how financial consumers fully recognize. Second, regarding financial consulting with financial consumer, three rules, which is ``know your customer``, suitability, and appropriateness, should be also kept by financial companies. The rule, ``know your customer`` means that financial companies should gather and know sufficient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before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he suitability requires financial companies to ensure that any product or service which they offer to consumer is in line with the need of consumers. The appropriateness is the required principle when financial companies sell the product or service without offering or recommending it to consumer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legal system f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needs to adopt some principle of the social law system so far as we admit the concept that financial consumers is intelligently inferior to financial companies.

      • KCI등재

        펀드의 거래비용과 운용성과

        원승연 ( Seung Yeon Won ),한상범 ( Sang Buhm Hahn ) 한국금융연구원 2011 韓國經濟의 分析 Vol.17 No.2

        이 연구는 펀드의 거래비용을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으로 구분하고 펀드 거래비용이 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펀드를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펀드보수는 운용성과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펀드보수 중에서 판매보수가 운용보수에 비해 더 많이 운용성과를 하락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실증 분석 결과는 보수 높은 펀드가 판매사의 펀드 선정 능력이나 자산운용사의 운용 능력이 우월한 것은 아니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매매회전율이 높은 펀드가 운용성과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것은 펀드의 암묵적 비용 역시 운용성과를 하락시킨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실증 분석 결과는 펀드투자자의 후생 증진을 위해서는 양적으로는 펀드보수 등을 포함한 펀드의 거래비용을 축소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판매보수가 판매수수료보다 판매채널에게 지급되는 주된 거래비용인 펀드수수료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influence of transaction costs on fund performance, dividing the transaction costs into explicit and implicit ones. The empirical results for Korean equity fund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fund fees negatively influenced fund performance. Especially, compared between sales fees and management fees, the former made worse impact on fund performance than the latter. Additio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payment to distribution channels and fund managers did not contribute to selecting better performing funds. Second, the funds with higher turnover rates were estimated to record lower performance, which implies that the implicit transaction cost of funds also decreased fund performance. Regarding the policy for fee structure in Korean fund industry,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wo implications: First, fund fees should be lowered for enhancing the welfare of fund investors. Second, current fee structure, which sales fees are major part in composition of fund fees and are much more than sales commission, should be ch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