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가렛 부저의 작품에 관한 연구 - 흙(dirt)에 의한 물리적 드로잉과 설치작업을 중심으로 -

        원경환(Won, Kyung-hwan),이영희(Lee, Yo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4

        195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현대도예의 실험적인 양상들은 흙(dirt)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불러오며 공예재인 흙을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 사회와 자연 세계, 전통적 또는 비전통적인 예술 형태, 예술과 과학의 교차점에서 흙을 해석하는 미국출신의 도예가이자 조각가인 마가렛 부저(Margaret Boozer)의 작품은 주목받을 만하다. 흙의 특성, 역사 및 지질학을 주제로 한 도자설치작품으로 잘 알려진 부저는 건설 현장, 메릴랜드 주 레이니어 산(Mt. Rainier) 스튜디오의 주변 환경 또는 기본적으로 보라색, 적색, 회색, 갈색, 주황색 점토가 발견 될 수 있는 모든 장소에서 재료를 채집하고 분류, 변용하여 사용한다. 채집한 재료는 가공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소재로 작품을 구성한다. 더트 드로잉(dirt drawing)같은 거대한 바닥 설치, 전형적인 프레임 형태의 흙으로 만든 그림과 디스크를 이용한 벽화 작업은 지질 학적 기원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으로 회화적이고 설치적인 화면을 시도한 것이다. 뉴욕 토양 조사와 협업으로 수집된 토양 표본의 미술관 전시는 탈장르, 리서치 등 텍스트와 이미지, 시간과 공간 들이 서로 깊은 관계를 맺는다. 아카이브 및 과학과 예술 프로젝트의 매체로서, 흙은 특정 공간을 인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주변 환경에서 발굴한 흙은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스토리가 내재된 조형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부저의 작품에 나타나는 물리적 드로잉 및 벽화 설치라는 회화적 요소와 특정 지역과 관련된 작품의 공간적 요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대도예의 영역이 확장된 시점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experimental phenomenon of modern ceramics emerged mainly concentrated in America since 1950s aroused the change of recognition as to dirt, expanding the use of dirt, the material for crafts toward the realm of arts. From this perspective, the works of Margaret Boozer, the American ceramist and sculpture artist, are noteworthy in the sense that she interprets dirt at the intersection of human society/natural world, traditional/non-traditional Boozer, well-known for her installation works of ceramics focused on the themes of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dirt as well as geology, collects, classifies and transforms the materials from different areas such as constructions sites, the surrounding setting of the studio of Mt. Rainier of Maryland and all places where purple, red, gray, brown and orange clays can be found. The collected materials, the unworked natural matters are used to compose her works. The dirt-based drawings constituting huge floor installation and typical frame shape including dirt drawing and the mural painting works based on disks are considered an metaphorical expression for the geological origin and an attempt of pictorial and installation screen. In the museum exhibition of soil specimen collected by the collaborative work with the New York City Reconnaissance Soil Survey, we can see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among text, image, time and space covering the sphere of decategorization of genre and research. As a means of archive, science and art project, di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ognizing a particular space. This dirt foun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roposes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of a formative language with diverse stories, not constrained by the existing conventional frames. By inquiring into the physical drawings, pictorial elements of mural painting installation and the spatial elements of the works relevant to particular areas observed in the works of Boozer,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new directionality from the point of the expanded realm of modern ceramics.

      • KCI등재

        코이에 료지鯉江良二의 작품에 관한 연구 : 60 년대부터 90 년대까지의 도자조형작품을 중심으로

        원경환(Won Kyung hwan)김현숙(Kim Hyun 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1960년대 초 일본전역을 휩쓴 '반예술 운동'은 기존의 전통과 규범, 규칙 등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표현을 위한 움직임으로, 1960년에 열린 요미우리 앙데팡당전을 계기로 일본다다이즘의 결성까지 이끌어낸다. 이러한 전후戰後 일본미술계의 상황은 도예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단지 그릇을 잘 만들기 위해 옛것을 모방하고 답습하던 코이에 료지鯉江良二에게 다다이스트들은 전통의 틀을 벗어나 자신들만의 창작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이들로 비쳤으며, 그러한 운동을 지지하는 미술계 역시 부러움의 대상이자 충격이었다. 코이에 료지는 야기 카즈오八木㊀夫의 자유분방한 전위도예작품을 모방하기 시작하면서 전통의 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색을 모색하는 길로 접어든다. 그는 1971년대부터 시작한 시리즈를 통해, 도예를 '구조'로 보고 '해체'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등 흙의 본질에 대해 자문하면서 자신만의 철학과 사고에 입각, 일반적인 '성형-건조-소성'의 과정 속에 숨겨진 인간의 '흔적'에 초점을 맞춘다. '소성하지 않는 도예', '모든 사물을 소성한다'고 하는 표현은 그만의 독특한 철학을 대변하는 것으로, 위생도기분말을 이용해서 시간과 함께 흔적을 소멸시키거나 때로는 타 재료를 함께 소성함으로서 실체는 없애고 개념만을 존재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코이에 료지의 작품을 통해 일본현대도예의 태동기의 움직임과 함께 '도예로 무엇이 될 수 있을까', '도예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에 접근하고자 한다. Neo dada swept over the whole Japan in early 1960s was the activity to express arts freely sloughed off old traditions, regulations, and rules. It arrived to the organization of Japanese Anti art upon 'YOMIURI's INDEPENDENT' held in 1960. That circumstance of Japanese art field during the postwar period influenced ceramic art field more than a little. To Koie Ryoji who just had imitated and followed an old traditions in order to make bowls and vessels 'skillfully', dadaists were the artists who express their own creative works freely sloughed off old traditions. And art circle endorsing them also something to envy and impact to him. Koie Ryoji then started to grope for his own identity imitating Yagi Kazuo's far-out and avant-garde ceramic artworks. Koie Ryoji then observed ceramic arts as a 'structure' and perceived it as a 'dismantling' object through the series called which started in 1971s, and finally started to ask himself about the real substance of clay. He place the focus on human 'vestiges' hidden inside the typical process, 'molding-drying-firing' based on his own philosophy and thought. His mentions like 'not firing clay also ceramic art', 'firing all things' are the expressions which represent his unique philosophy. And according to that philosophy, he sometimes extinguish the vestiges with time passed using porcelain powder, also sometimes remove real substance and then maintain the conception through firing other materials with cla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an approach to the movement of the quickening period of Japanese modern ceramic arts through Koie Ryoji's artworks and to make an approach to ultimate answers to questions like 'What will be with ceramic arts?' and 'What is ceramic arts?'.

      • KCI등재

        아키야마 요(秋山 陽)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이희정(Lee, Hi-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일본의 현대공예와 현대미술의 동향 안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도예가 그룹인 소데이샤(走泥社)의 일원이자 대형화된 설치작품 조각가로도 알려진 아키야마 요의 흑도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소데이샤는 교토(京都)를 중심으로 활동한 전위적인 그룹으로 1948년부터 98년 해산되기 전 까지 전통공예와 미술의 벽을 허물며 일본현대도예의 기반이 되어주었다. 이들이 선보인 실험방식 중에서 야기 가즈오(八木一夫)의 오브제 야키로 확장하며 다양한 조형언어를 지닌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는데 기여한다. 야기가 작품제작에 사용하였던 흑도기법은 현대도예작가인 아키야마의 흑도로 제작된 설치도예 작품에서 심화되어 나타난다. 아키야마는 야기의 급진적인 도자기와 순수미술가들의 사상 등을 토대로 작품의 개념, 크기 및 형태를 통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형 추상조각을 연상시키는 흑도를 제시한다. 작가의 작품 분석 시 살펴볼 사항은 창의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 재료인 흙과 흑도 제작기술이다. 작가는 물레성형기법에서 발전된 형태, 즉 오브제인 흑도를 공간에 설치하여 보여주는데, 이와 같은 작품사례는 미술계에 입체조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클레이워크(Claywork)가 지닌 가능성을 환기시킨다. 그의 작품은 주제, 소성방법 및 시기별로 <Untitled> · <Peneplain> · <Oscillation> · <Pho> · <Zone> ·<Geological Age> · <Metavoid> · <Heterophony> · <Incubation> 등의 연작으로 나뉜다. 전 세계의 주요 공공 및 사설 컬렉션에서 대형설치를 선보인 그는 미술과 공예, 전통과 현대, 그리고 조각과 도자기를 재해석한다. 작가는 독특한 작가주의를 발산해 현대미술 작품 안에서 공존하는 이러한 분류된 개념들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고 흑도작품을 완성한다. 현재 아키야마의 비 기능적이며 실험적인 세라믹 오브제들은 전통적인 도예를 반영하고 공예의 위상을 현대적으로 부각시켰다고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아키야마의 도자조각에 관한 연구는 독자적인 작품성향과 함께 일본의 조형도자의 흐름과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rks of Akiyama Yo, a contemporary ceramic artist of large-scale installation works and a member of Sodeisha. Sodeisha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vant-garde pottery group in the trend of modern craft and contemporary art in Japan which started in Kyoto. It was the foundation of modern ceramics in Japan which caused to tear down the wall of traditional crafts and art during the periods between 1948 to 1998. Among the experimental methods introduced by Sodeisha, the model-oriented works of Yagi Kazuo, the leader of Sodeisha, have extended the trend of Japanese ceramic art from a traditional vessel to a new expression of kiln-fired objects by using a variety of formative languages. The black firing technique used in producing Yagi’s works is deepened in the installation ceramic works produced by the black pottery of Akiyama. Based on the radical ceramics of Yagi’s and the ideas of other fine artists, Akiyama presents black ceramics which is incorporate reminiscing elements of postmodernism: concept, size and form of the work. The factors that will be looked up in the analysis of the artist’s works are the clay and technique of creating black ceramics, which enabled artist’s creative expression. Akiyama shows works of black ceramics, developed from wheel technique, by placing it in the exhibition space. Such a case of work is a ways of expressing three dimensional molding which inspires the possibilities of claywork. His series of works are divided into <Untitled>, <Peneplain>, <Oscillation>, <Pho>, <Zone>, <Geological Age>, <Metavoid>, <Heterophony>, and <Incubation> by their themes, methods, and periods. Presenting large installations in major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around the world, he reinterpreted arts and crafts, tradition and modernity, and sculpture and ceramics. The artist has blurred the boundaries of these classified concepts that coexist in contemporary art by expressing unique artistic intentions. It is estimated that his non-functional and experimental ceramic objects reflect traditional ceramics and enhance the status of modern crafts. In conclusion, studies on the ceramic sculpture of Akiyama can be considered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flow and context of the Japanese formative artist, as well as the original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