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작기반 게임의 게이미피케이션 방법론 고찰

        우탁,현우창 한국영상학회 201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0 No.1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과거에 비해 오늘날의 게임에서 나타나는 역동적인 변화를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하나는 과거 현실세계과 분리되었던 게임이 지금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며, 또 다른 하나는 평면적·지엽적인 움직만으로 이루어지던 게임 조작 의 인터페이스가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몸 전체를 활용하는 입체적인 체감형 인터페이스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새로운 두 속성을 결합한 동작 기반의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재미와 기능적인 목 적의 달성이라는 양쪽 측면에서 기존의 게임들보다 훨씬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동작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것의 활용방안과 발전방향에 대 하여 고찰하였다.

      • VIDEO GAME CULTURE AND INTERACTIVITY : An exploration of digital interactive media through a metaphorical approach to video game culture

        우탁 한국게임학회 2009 한국게임학회지 Vol.6 No.1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fining interaction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 media and creating a multi cultural definition of interactivity. The concept of multi digital culture and a definition of interaction in digital media have often been overlooked by other researchers and this has caused the emergence of many different notions on this issue. As a result of these varied notions of the concept, public confusion has arisen regarding interactivity.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suitable multi definition of interaction through examining local digital culture. In order to analogise multi digital culture, the video game culture is employed as a metaphor to interpret local digital cultur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specific national culture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in the video game culture. Four countries, South Korea, Japan, the U.S. and the UK have been chosen for comparison purposes. Case study, questionnaire and publicly accessible video game related data, such as, video game charts, are used for formalising and analysing unique local digital culture. The Heyri POP UP IMAGE Festival, S. Korea, was also used as a pilot study, with some of the above research methods being employed to analyse South Korean digital culture. In relation to western case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primarily used. The data from the case countries was carefully compared and analysed and then it became the basis of a theory of multi definition of interaction in digital media. The case study employed the cultural metaphor for this research and in addition video game culture rela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of interactive art genre, regarding new notions of digital interaction were utilised. The survey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he four different cultural case nations of this research. Twenty respondents from each case nati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firstly, the existence of 'local digital culture' and secondly, the trends and phenomena of 'digital culture' in these four different 'local digital cultural areas'. In terms of interviews with experts of the interactive art genre, these were focused on obtaining thei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digital culture in their research. Using gathered data from the observation of local digital culture, the basic theory of interaction and the terminology of interaction are reformed. Localised definitions of interaction on digital media, control base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ased interaction are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a 'locality' in terms of various contemporary digital cultures. As a result of analysing digital culture, new definitions of 'multi definition of digital interaction' were formulated. As mentioned above, 'control' and 'communication' based interaction were initiated, based on 'user to media' relationships. Based on the degree of physical interaction, 'liminal' and 'transitive' interactions were initiated. Less physical digital interaction is named 'liminal' interaction and more physical digital interaction is named' transitive' interaction. These new definitions of interaction were applied to the real world examples of uses of digital interaction, such as, digital interactive installation artworks and video games. The newly defined meaning of digital interaction can be applied to analysing digital interactive installation artworks and possibly indicate their future development and the prospects of future electronic games. Three leading digital interactive artists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and their works were studied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multi definition of digital interaction'. Throughout these processes,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in digital interactive media was emphasised. Many of the selected artists' digital installations were focused on 'communication' or 'interaction between each user through digital media', rather than the concept of 'control' in digital interact..

      • KCI등재

        의료용 기능성 게임에 대한 고찰

        우탁,염진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2

        본 논문은 기능성 게임의 여러 갈래 중 교육용 기능성 게임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의료용 기능성 게임에 대해 고찰하고 그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의료용 기능성 게임의 다양한 개발 방향과 활용 가능 영역에 대해 제시하려 한다. 특히 체감형 게임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다양한 동작과 체감형 게임 환경의 이용이 가능해 짐에 따라 이에 기반한 기능성을 지닌 동작 언어 및 콘텐츠가 재활이나 인지 치료 등의 다양한 영역의 기능성 게임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suggest a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medical serious games which take the second major part of serious games after the educational gam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uggested, various possibilities of medical serious games are suggested. Especially, how movement based language and contents can be used on various kind of medical serious games such as rehabilit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explored.

      • KCI등재

        게임 산업의 지역산업생태계 분석 연구 :성남의 게임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임익수,우탁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판교를 포함하는 성남지역을 세계적인 게임 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산업생태계 이론에 근거 하여 성남 지역의 게임콘텐츠 산업생태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성남 가치사슬 구조를 분석한 결과, 중핵 업종과 확장된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 노력이 요구 되었다. 두 번째 기업 간 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역 내 강소 게임 업체 지원을 통한 건전한 생태계 육성 정책이 요구 되었다. 마지막으로 혁신 자원과 환경을 분석해본 결과,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적 생태계 구축이 시급히 요구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산업생태계 이론을 활용하여 게임콘텐츠 산업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한 점과 정책적 과제를 도출함으로서, 지역산업 분석 연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and policy to promote world class game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analysis of game contents business ecosystem in Seongnam. As a result of analysis, At present of the game contents industry in Seongnam as ecosystem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Lack of interaction between core game contents businesses and extended network businesses in same area. 2)Imbalanced relationships between game contents conglomerate and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3)Insufficient game contents optimized human resource and development program. This study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regional industrial ecosystem of game industry and new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about regional industry analysis.

      • KCI등재

        HMD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디자인 방법론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임익수,우탁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는 미디어 어트랙션으로서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HMD 기반 가상현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방법론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현재의 가상현실 콘텐츠들은 대부분 지각적 몰입의 설계에만 집중함으로써 가상현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감각의 융합에 도달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상현실 콘텐츠에 심리적 몰입 요소를 적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심리적 몰입 요소 적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가상성(Virtuality)’을 중심으로 가상현실의 역사와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텔링 상호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었다. 첫 번째 현재 이용되는 360도 영상 기반 콘텐츠보다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컴퓨터 그래픽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HMD의 가격뿐만 아니라 실행 환경의 구축비용도 낮춰야 한다. 두 번째 HMD기반 가상현실은 1인칭 시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방법인 분기형 구조를 적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과 이동 중심의 새로운 스토리텔링 방법 및 구조가 요구된다. 세 번째 상호작용은 감각적 융합을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HMD 기반의 가상현실은 가상 체험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현실과 같은 상호작용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적 기술적 과제는 360도 영상과 HMD 기반의 가상현실이 연계된 콘텐츠 이용자의 정교한 동작 분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게임의 UI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존의 논-디에제틱(Non-diegetic)방식은 불가능하므로, 디에제틱(Diegetic), 공간(Spatial), 메타(Meta) 방식의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탐색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구체적으로 활용 가능한 HMD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추후 제안된 문제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프레임 워크(Framework) 및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sign methodology issues in relation to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head-mounted devices as a type of media attraction. For ultimate virtual reality, the content should offer a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immersion experience.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f the psychological flow of virtual reality and content design methods. In order to discover psychological flow factors, this research explores the history and design process of virtual reality based on what is termed a 'virtuality' viewpoint. As a result of this exploration, several design needs are found in storytelling, user interaction and the user interface with regard to the psychological flow in virtual reality, as follows. First, computer graphic-based virtual reality is preferred over 360-degree video-based virtual reality because the former provides richer interaction. Second, a new digital storytelling design based on space and locomotion is required because a first-person view cannot easily be applied to branch-based storytelling. Third, HMD-based virtual reality as a virtual experience demands both control-based and transitive interaction. Fourth, new game UI (User Interfaces) designs based on diegetic, spatial and meta-methods are needed as conventional non-diegetic methods interrupt the flow experience in virtual reality. Due to certain constraints when using the exploratory research method, this paper cannot provide a comprehensive methodology of HMD-based virtual reality content.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ed growth of virtual reality as form of media attraction.

      • KCI등재

        교육용 게임을 플레이하려는 내적 동기 향상을 위한 전략 - 게임 디자인 이론을 중심으로

        윤수진,우탁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4

        교육용 게임은 학습에 재미를 더한 교육용 매체로서 가능성을 인정받아 왔으나, 동시에 많은 교육용 게임들이 게임을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기를 충분히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받아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학습활동이 게임 플레이와 근본적 속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보고, 게임의 내적 동기유발 요소를 교육용 게임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다양한 게임 디자인 이론으로부터 게임의 필수 구성요소인 게임 규칙 및 그 속성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게임 규칙과 상반된 속성을 가진 일부 교과내용이 그 자체로는 게임플레이를 구현하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학습 내용으로도 게임의 규칙이 적용된 교육용 게임을 만들기 위해, 게임 규칙이 적용 가능한 학습 외적 활동을 추가하여 게임 내 학습활동과 통합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게임적인 활동과 학습 활동이 하나의 통일된 게임플레이를 구현하면서도 학습 효과는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학습 활동과 게임적 활동이 동일한 맥락과 목표를 가질 것, 두 가지 활동이 각자의 진행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 관계에 있을 것, 그리고 학습 활동에 가장 집중해야 할 시점에 게임적 활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재적 인지부하를 최소화할 것을 실천 전략으로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to design educational games which utilize the essential elements of games so that they can intrinsically motivate users to play them. Exploration on various studies of game design revealed that the rule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game, which provides limits/obstacles, multiple valid choices and uncertain outcomes. Comparing learning activities with gameplay, it was found out to be difficult to apply game mechanics to an educational game when learning contents, which are not based on complete rules, conflic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ame rules. To apply game rules even in that case, this study suggested adding another activity which is based on game rules and combine it with the learning activity. Unity, interdependence, and minimiz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are presented as the conditions for creating a unified gameplay experience with the two different types of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