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증진행위의 다차원적 구조에 관한 연구

        우종범 ( Jong Bum Woo ),안은주 ( Eun Ju Ahn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행동에 관해 다차원적 구조를 밝혀내고, 군집분석을 하여 각 소비자군 별로 건강증진 행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추가적인 자료조사를 통하여 건강증진행위의 설 문지를 개발, 2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에는 9가지의 요소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4개의 건강증진 유형의 집단군(비적극적 실천형, 적극적 실천형, 무관심형, 생활습관 실천형)이 있음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여 소비자들의 행태는 집단별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증진행위 유형별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건강증진행위를 하는 집단이 안하는 집단보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분야에서 4개의 집단별로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는 실무적으로 현재의 제약회사들은 약이나 상품들을 일반적으로 보통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제품을 생산한다. 하지만 건강증진행위 유형별로 소비자집단이 다르기 때문에 제약회사들에게 소비자를 세분화 하여 각각의 기호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 및 생산자 모두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classify the types of people with respect to these factor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distinctive health promoting types.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dditional research, a survey tool for health promoting activit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266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sults: A factor analysis identified 9 factors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ur distinctive types(half positive pursuer, positive pursuer, ling habit pursuer, and indifference)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were extracted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health promoting typ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tive and living habit pursuers show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customer``s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us emphasizing the need to promot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t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t an individual level. Finally, customer’s segmentation marketing is needed because customer’s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re so different by health promoting types

      • 리스트 선택 방식의 사용성 평가 및 제안 : 스마트폰을 비롯한 소형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김찬욱(Chanwook Kim),우종범(Jong-bum Woo),임윤경(Youn-kyung L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리스트 선택 방식은 소형 터치스크린 기기를 통해 음악 목록에서 특정 음악을 선택하거나 전화번호부에서 특정인을 선택하는 등의 행위이다.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터치스크린 기기의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리스트 선택 방식의 장단점을 확인하기 위해 네 가지 형태의 리스트 선택 인터페이스(Pinch to zoom, Wheel navigation, Scroll bar, Land mark)를 비교하였다. 네 가지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400명의 음악가 목록 중에 특정 음악가를 찾는 방식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사용성 평가는 객관적 척도인 탐색 시간과 에러 횟수, 주관적 척도인 직관성, 예측성, 피로도, 편리성, 전반적 만족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랜드 마크 방식이 다른 방식에 비해 탐색 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직관성을 제외한 주관적 척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가장 직관적인 방식은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스크롤바 방식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순위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각 리스트 선택방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list selection method is used in small touch-screen devices for selecting a certain music name or a certain contact information from a list, which will eventually affect the overall user experience of the devices. In the paper, we compare 4 list selection methods(Pinch to zoom, Wheel navigation, Scroll bar, Land mark) for finding each methods' strengths and weaknesses. We conducted usability evaluation by asking the participants to select a certain artist name from 400 artists list, using each of the 4 selection methods. Five subjective criteria (intuitivity, predictability, fatigue, convenience, overall satisfaction) and two objective criteria (selection time, error rate) are selected for usability evaluation. We found that Land mark is the fastest method. And Land mark got the first rank at the subjective tests except for the intuitivity. Scroll bar,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got first rank at the intuitivity test. Finally we suggest some important conditions that each of the list selection methods should have when they are designed.

      • KCI등재
      • 공유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가치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상봉(Sang Bong Lee),우종범(Jong Bum Woo)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4

        오늘날 조직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불명확하고, 변화의 속도는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빠르다. 이런 도전적인 환경 속에서 많은 조직들이 전통적인 수직적 구조에서 팀 중심의 수평적 구조로 개편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는 효율적인 의사소통, 신속한 의사결 정 등을 장점으로 하는 팀 중심의 조직 구조가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조직의 생존과 경쟁 우위 달성에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기술 및 전문성을 가진 팀 조직에서 팀 구성원들에 의한 리더십 기능의 공유는 단순히 수직적 리더십에 의존하는 것 보다 더욱 효과적인 리더십 기능 및 성공적인 임무달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적 리더십 구조를 가진 군 조직에서 공식적인 1인의 리더가 아닌 집단 내부에서 나타나는 수평적 리더십인 공유리더십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팀 내 공유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 리더와 구성원의 가치일치 가 팀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군에서 공유리더십 발휘는 특수부대 와 같은 특정영역에서 더 일반적으로 나타난다는 Lindsay, Day, & Halpin(2011)의 연구 를 바탕으로 특전사의 40개 팀(총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에 의한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팀 구성원 개개인의 설문을 받아 분석에 활용되므로, 집단수준의 변수로 합산하기 위한 타당성 검증(rwg, ICC(1), ICC(2), F값)을 통해 집단수준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치일치가 높을수록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는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se day,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quickly changing to in which a leader can no longer handle everything alone. Accordingly, almost all organizations have been managing its structure in teams to adapt to such turbulent environment. Likewise, special forces in military have operated in teams for a relatively long time, because they perform tasks in extremely uncertain and ambiguous situations. Such team organizations raised questions to the tradition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surfaced as one of the ans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in the ROK's special forces. And also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For the hypotheses tests, data were collected from 45 teams, and the survey results from 40 teams, exempting those returned unreliable, were used. The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impacts on team performance positively. And value congruence acts 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I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n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