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 KCI등재후보

        개혁신학에서 본 진화 창조론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1 No.-

        This essa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cannot be harmonized with evolutionary creationism found in Dr. Jong-Hak Woo’s book, An Atheist Journalist Inquires of a Christian Scientist. The imagined interlocutor “Dr. Han Byeol,” the representer of Dr. Jong-Hak Woo’s ideas, argues for an evolutionary creationism, but his ideas cause many serious problems in theological issues as well as in logical consistency. First, the interlocutor argue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human beings through the Big Bang and evolution. He, however, does not prove this but just presupposes it. Second, his theism is similar to deism in his scientific observation of nature and is close to pantheism in his interpretation of its results. Third, the interlocutor’s ideas clash with the Reformed doctrines of revelation, Scripture, Adam, the image of God, original sin, death, atonement, and Christ. In sum,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the interlocutor is severely inconsistent with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 결정화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의 반영구적 격리를 위한 수산화칼슘 과립체의 개발

        우병훈 ( Woo Byeong-hun ),박규태 ( Park Kyu Tae ),김경우 ( Kim Kyeong Woo ),김희섭 ( Kim Hee-sup ),김홍기 ( Kim Hong Gi ),류재석 ( Ryou Jae-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건설분야도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가장 유력한 방법으로 시멘트 복합체의 탄산화 원리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결정화하고 반영구적으로 격리시키는 방향이 비용과 시간을 보았을 때, 가장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쉬운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산화칼슘 분말을 과립화 하여 탄산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과립체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과립체를 만들기 위하여 HPMC 2910이 바인더로 사용되었고, 수화과정에서 과립체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재료로는 HPMC 2208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과립체로 개발하였으나, 예상 외의 경도를 보였고, 첨가재료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입도를 보였다.

      • KCI등재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에 대한 바빙크와 바르트의 반응

        우병훈 ( Byung 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8 No.-

        헤르만 바빙크와 칼 바르트 모두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진 주관주의적 경향이 가진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바르트는 슐라이어마허가 계시의 근거를 주관적 인식과 신앙의 경험에 둠으로써 계시의 객관적 특성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주관주의의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서 바르트는 계시의 근거를 하나님의 말씀의 삼중적 형태에 두었다. 그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이 주도권을 지닌 활동주의적이며 역동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는 드러냄의 사건이었다. 그러나 바르트 계시론이 가지는 바로 그런 특성에서 신자 주관의 역할이 너무 약화되어 버린다. 한편, 바빙크는 계시론이 가지는 객관과 주관의 문제를 철저하게 인식하면서도, 바르트와는 다르게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을 자신의 고유한 방식에 따라 전유하면서 그를 극복하고자 한다. 바빙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신학 작업의 객관적 기준으로 삼았으며, 교회를 기독교적 인식과 경험에 있어 중요한 형식으로서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바빙크는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지는 장점을 취하되 단점을 자신의 교회론으로 극복함으로써 그것이 가진 주관주의의 위험성 역시 탈피하고자 한다. 비록 바빙크와 바르트 모두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지만, 바빙크의 교회론적 계시론이 바르트의 활동주의적 계시 이해보다는 좀 더 효과적으로 그것을 극복하고 있다. Both Herman Bavinck and Karl Barth sensed the open question caused by the subjectivistic tendency of Schleiermacher’s doctrine of revelation. Barth argues that Schleiermacher ignores the objective feature of revelation by orienting the basis of revelation to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of the faith. To evade this subjectivism, he tries to put the foundation of revelation on the three forms of the Word of God, which are unveiled in an actualistic and dynamic way. By contrast, Bavinck, deeply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in the doctrine of revelation, employs Schleiermacher s doctrine of revelation in his own way, and regards the Bible as the objective standard for their theological work. Bavinck also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hurch, which forms the Christian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lthough both Bavinck and Barth attemp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Schleiermacher’s doctrine of revelation, Bavinck’s ecclesiological doctrine of revelation overcomes it more effectively than Barth’s actualistic understanding of revelation.

      • KCI등재

        참된 교회의 감춰져 있음 ―루터 교회론의 한 측면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루터는 그의 신학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제 1차 시편 강의”부터 그의 말년에 이르는 “창세기 강의”까지 “교회의 감춰져 있음”이라는 개념을 줄곧 사용했다. 하지만 그는 그 개념을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강조점의 차이를 가지고 다르게 사용했다. 첫째로, 루터는 1519년에서 1525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교회 비판적 기능을 위해 사용했다. 그는 교회의 영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 개념을 사용했다. 교회는 영적인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교황이 세상에서 사탄적인, 보이는 방식으로 자신의 보호를 추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 교회 안에 있다고 해서 모두 다 참된 크리스천인 것은 아니며, 영적인 삶을 살아가는 자들이야말로 진정한 크리스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은 세상의 관점에서는 드러나지 않고 다만 하나님의 관점에서만 드러나기 때문이다. 루터는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가지고 교회의 영적 특성과 순결성을 강조하고, 그것으로 로마교회를 비판했다. 둘째로, 루터는 1532년에서 1535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변증적 기능으로 사용했다. 1526년 이후로 개신교회가 외형적으로 형성되었다. 루터는 이런 상황에서 개신교회를 옹호하고 변증하는 차원에서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얘기한다. 교회의 거룩성은 그리스도의 은밀한 죄씻음의 사역을 통해서 확보된다. 교회의 참된 열매들과 표지들이 감추어져 있다. 따라서 개신교회의 외적인 부족함을 보면서 쉽게 그것을 부정하거나 비판해서는 안 된다. 이 땅에서 교회의 거룩성은 완전한 거룩성을 이룰 수는 없고 오류와 결점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로, 루터는 1535년에서 1543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목회적 기능을 위해 사용했다. 그는 이 개념을 가지고 성도들이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견디도록 독려했다. 현실에서 참된 교회는 감춰져 있고 참된 교회로 여겨지지 않지만, 십자가의 판결을 붙들어야 한다. 참된 교회는 위기를 겪는다. 하지만 엘리야와 그리스도에게 승리를 주신 하나님을 교회는 붙들어야 한다. 교회는 비록 감춰져 있고 핍박을 받고 있으나 약속의 하나님을 신실하게 믿고 나아가야 한다. 하나님이 감춰져 계시듯이 교회도 감춰져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감춰져 있는 하나님은 말씀과 성례를 통해서 드러나신다. 그렇기에 참된 교회는 고난 가운데 감춰져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음으로써 고난의 시기를 이겨야 한다. 정리하자면, 루터는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시대에 따라, 교회 비판적으로, 개신교회의 옹호와 변증을 위해, 위로와 권면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from his First Lectures on the Psalms to his mature work, Lectures on Genesis. He, however, applied the concept according to his day and focus of interest. First,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to criticize the contemporary medieval church between 1519 and 1525. He emphasized with it the spiritual aspect of the church. He argued that it is wrong for popes to be concerned about being defended in the public place of the world`s tabernacle and in visible things. Although the true church has been hidden so long beneath sacred vestments, ritual, works, and similar outward pretensions, maintained Luther, the believer is saved not through the contribution of money but through faith. Luther stressed the purity of the church and criticized the contemporary medieval churches through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Second, Luther used the concept for an apologetic purpose between 1532 and 1535. With this concept he defended the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which had an external-focused form since 1526. When some critics reproached the Protestant church because of its faults, Luther claimed that the true fruit and certain marks of the church were hidden from the eyes of those who were good at judging small offenses but could not see the great miracles the church did. Luther contended that one should not indiscreetly blame the church because the church in this world cannot be perfect. Third,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for a pastoral purpose. He encouraged believers to stand firm in adverse situations and sufferings. Although the true church is hidden and even will be regarded as heretical, believers must gain the conviction that the cross and its verdicts are true and infallible signs of the true church. God will give victory to the true church as he did to Elijah and Christ. At this point, Luther also pointed out that the true church has true marks such as the word of God and the sacraments. Thus,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cannot be applied to a heretical church. In sum,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to criticize the medieval Roman church, to defend the Protestant church, and to comfort true believers according to their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혜론: 칼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병훈 ( Woo Byunghoon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2 No.-

        헤르만 바빙크(1854-1921)는 여러 작품에서 일반은혜론을 다루었다. 특히 『개혁교의학』, 『일반은혜』, “칼빈과 일반은혜”에 그의 일반은혜론이 분명하게 기술된다. 바빙크의 일반은혜론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지점에서 칼빈의 사상을 전유한다. 첫째, 일반은혜는 특별은혜의 배경과 예비가 된다는 점이다. 바빙크는 칼빈을 직접 인용하면서 일반은혜와 특별은혜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둘째, 자연과 초자연의 이원론이 극복된다는 점이다. 바빙크에 따르면, 칼빈은 다른 종교개혁자들 가령 루터나 츠빙글리보다 더 철저하게 자연과 초자연의 이원론을 극복한 신학자이다. 바빙크는 이러한 칼빈의 특징을 일반은혜론에 적용한다. 바빙크의 일반은혜론이 고유하게 가진 특징은 그것의 삼위일체론적 성격에 있다. 바빙크는 일반은혜의 근거를 성부께 두지만, 역사 속에서 일반은혜가 작용하는 방식을 삼위일체적으로 기술한다. 이 점에 있어서 바빙크는 칼빈보다 더욱 철저하며 일관성이 있으며, 이는 그가 보다 건실한 일반은혜론을 제시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된다. Herman Bavinck (1854-1921) dealt with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in several works. It is especially expounded clearly in his Reformed Dogmatics, Common Grace, and “Calvin and Common Grace.” Bavinck’s doctrine of common grace appropriates Calvin’s ideas in two ways. First, common grace is the background and preparation of special grace. Bavinck directly quotes Calvin when he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common and special grace. Second, the dualism between the natural and supernatural realms is overcome. According to Bavinck, Calvin was a theologian who overcame the dualism of the natural and supernatural realms more thoroughly than did other Reformers such as Luther and Zwingli. Bavinck applies this feature of Calvin’s thought to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Bavinck’s doctrine of common grace lies in its trinitarian character. Bavinck bases common grace on the Father but describes from a trinitarian perspective the way in which common grace works in history. In this respect, Bavinck is more thorough and consistent than Calvin, and it is the foundation on which he was able to present a more sound doctrine of common grace.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의 속죄론과 보편구원론

        우병훈 ( B Hoon Woo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을 주장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신학의 다른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답변들이 주어졌다. 어떤 학자들은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조셉 베티스, 존 콜웰), 다른 학자들은 그가 보편구원론자라고 주장하고(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G. C. 베르카워, 올리버 크리스프), 또 다른 학자들은 바르트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답하지 않고 남겨 두었으며 그의 구원론은 보편구원론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분시키는 틀에 끼워 넣을 수 없다고 한다(T. F. 토런스, 조지 헌싱어). 본 논문은 바르트의 속죄론은 필연적으로 보편구원론에 봉착할 수밖에 없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때까지의 학계에서는 바르트의 보편구원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주로 그의 예정론에 집중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어떻게 수용하며 또한 어떻게 반대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점이 이 논문의 기여이다. 『로마서 주석』에서 바르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킨 자들을 반드시 벌해야 한다는 안셀무스의 명제를 받아들인다. 『교회교의학』I/2에서 바르트는 안셀무스의 Cur Deus Homo의 주장을 따라 성육신에 있어서 하나님의 자유를 옹호한다. 하나님은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실 수도 있고, 벌하실 수도 있는 자유를 가지신다. 하지만 인간을 구원하시기로 스스로 결정하신 이상하나님의 지혜에 가장 맞는 방법은 오직 성육신하신 신인(神人)을 통해서 구원하시는 길이다. 이와 같은 안셀무스의 속죄론이 하나님의 자유와 그리스도의성육신의 필요성 모두를 잘 설명해 준다고 바르트는 믿는다. 이러한 논조는『교회교의학』II/1에서도 이어진다. 바르트는 안셀무스에 동의하면서, 인간의 죄는 단지 신적 용서라는 자비의 행위로만으로는 제거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바르트는 그러나『교회교의학』IV/1에서 안셀무스의 속죄론과 결별하기 시작한다. 속죄론을 지나치게 기독론화 함으로써, 바르트는 객관적 속죄론(혹은 보편적 화해론)의 입장으로 점점 기울어진다. 안셀무스가 하나님의 존엄과 신적 의지의 자유 모두를 확고하게 견지한 지점으로부터 바르트는 떠난다. 이제『교회교의학』IV/1의 바르트는 다만 하나님의 자비의 필연성만을 강조할 뿐이다.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 사이의 관계에서는 언제나 하나님의 자비가 주도권을 잡는 방식으로 역사하며, 그런 방식으로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는 일치된다고 바르트는 주장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를 대등하게 보고 둘 사이의 균형을 잡는 안셀무스의 속죄론의 기본 논조를 떠난 것이다. 이렇듯, 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수용하고 배제하는 과정을 고찰해 본다면, 후기 바르트의 속죄론은 보편구원론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essay aims to argue that Karl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necessarily leads to universalism. It seeks to prove the thesis by observing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Barth`s doctrine of objective atonement develops as he distances himself from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In his Romerbrief, Barth endorses Anselm`s idea that God who is robbed of his honor must punish those who robbed him. In Church Dogmatics I/2, Barth advocates divine freedom in the incarnation with the support of Anselm`s Cur Deus Homo. Barth holds that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preserves both God`s freedom and the necessity of Christ`s incarnation. The positive endorsement of Anselmian motives in Cur Deus Homo continues in Church Dogmatics II/1. Barth maintains with Anselm that the sin of humanity cannot be removed by the merciful act of divine forgiveness alone. In Church Dogmatics IV/1, however,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diverges from that of Anselm. By over-christologizing the doctrine, Barth completes his formulation of objective atonement. He finalizes the necessity of God`s mercy at the place where Anselm firmly establishes the dignity and freedom of the will of God. In Barth`s view, God`s mercy is identified with God`s righteousness in a distinctive way where God`s mercy always takes the initiative. The change in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shows that Barth`s doctrine entails support for universalism.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공공신학에 대한 두 현대 이론 분석: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의 대표적 연구서에 나타난 『신국론』 해석을 중심으로

        우병훈(Byung Hoon W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은 여러 면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정치이론을 전개했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아우구스티누스 정치신학 해석을 “고백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입장은 인간의 한계를 주목하지만 그것을 정치로 모두 다 환원하거나 맡겨버리지 않고 인간의 존재 구조와 내면적 덕성을 소중하게 여긴다. 하이데거와는 달리 아렌트는 인간의 죽음뿐 아니라 “탄생성”도 주목한다. 그녀는 이것을 인간 실존의 “이중적 전방”이라고 부른다. 엘슈테인은 인간의 죄성을 강조한다. 엘슈테인이 제시하는 정치한계주의도 역시 죄에 대한 그녀의 견해에 근거한다.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 되는 언어는 상황을 악화시킬 때가 많으며, 특히 남성과 여성의 공적 관계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엘슈테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언어론에서는 자유의 계기가 주어진다고 본다. 그녀는 또한 가정이 사회를 구성하는 분자로서 더 큰 공동체의 정의와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신국론』 이해에서 중요한 것은 카리타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다. 아렌트는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공통의 역사는 이웃사랑의 고유한 자리를 확보해 준다고 주장한다. 엘슈테인에 따르면, 우정은 가족, 친구, 동료 시민, 국가사이에서 인간들을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렌트와 마찬가지로 엘슈테인도 역시 보편성을 가진 정치 윤리의 기초를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담론에서부터 도출한다. 그녀는 모든 인간이 아담에게서 기원했다는 단일기원설에 근거하여 “진정한 평화의 존재론”을 제시한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아렌트보다 엘슈테인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결론짓게 된다. Hannah Arendt and Jean Elshtain developed political theories based on Augustine’s works in many ways. Arendt’s and Elshtain’s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political theology can be called “confessionalism.” This point of view focuses on the limit of humanity without reducing or entrusting it to politics alone and emphasizes the existential structure and internal virtues of individuals. Unlike Heidegger, Arendt pays attention not only to death but also to the “natality” of human beings. These two factors are what she calls the “twofold before” of human existence. Elshtain places stress on the sinfulness of humanity. The political limitism of Elshtain is also based on her view of sin. The language that is unique to humans often makes things worse―especially in the public relations of men and women. Elshtain, however, finds a “liberatory moment” in Augustine’s theory of language. She also argues that the family as the particula of society can contribute to the justice and peace of a larger community. What is vital in Arendt’s and Elshtain’s understanding of The City of God is their explanation of caritas. Arendt insists that the common history shared by all human beings secures a unique place for the love of neighbors. According to Elshtain’s theory, friendship serves to connect humans more closely among family, friends, fellow citizens, and the state. Like Arendt, Elshtain derives a universal political ethic from Augustine’s doctrine of Adam. Elshtain proposes the “real ontology of peace” based on the fact that all human beings are descended from Adam.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Elshtain better understands and applies Augustine’s City of God than Arendt does.

      • 아치형 강섬유를 적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휨강도 특성 연구

        우병훈 ( Woo Byeong Hun ),유동호 ( Yoo Dong-ho ),이근영 ( Lee Guen-young ),박규태 ( Park Kyu-tae ),아테스파트마눌 ( Ates Fatmanur ),류재석 ( Ryou Jae-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아치형 강섬유는 기존의 일자형 강섬유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시킨 Hooked-end 강섬유보다 더욱 부착 및 뽑힘성능을 극단적으로 올린 강섬유이다. 몸체가 아치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부착과 더불어 인위적으로 마찰면적을 크게 향상시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정도를 수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자형 강섬유, Hooked-end 강섬유와 더불어 비교평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강섬유와 아치형 강섬유의 휨강도 특성을 통하여 그 성능 향상의 정도를 수치적으로 확인하였고, Hooked-end 강섬유보다 약 22% 휨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회사 속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 : 초대교회부터 종교개혁기까지 주요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우병훈(Byung Hoon W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의 핵심적 요소들은 교부시대부터 중세와 종교개혁기까지 신학의 역사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다. 교부들 중에서는 이레나이우스, 아타나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가 그것을 가르쳤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는 갈 4:4-5에 근거하여 그리스도께서 율법 아래 갇힌 자들을 구원하시려고 율법 아래 들어오셨고 율법의 성취자가 되셨다고 주장한다. 중세에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가 공로사상에 의해 왜곡되긴 했지만 안셀무스, 베르나르두스,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신학자들에 의해 표현되었다. 종교개혁기 신학자들이 제시한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대한 가르침은 교부들의 사상보다 구체적이면서, 중세 신학보다 더 성경적이었다. 루터는 대(大) 『갈라디아서 주석』의 갈 4:5에 대한 설명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가르친다. 칼빈은 롬 3:22와 3:31에 대한 주석에서 율법을 온전히 순종하신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된다고 주장한다. 칼빈은 『기독교강요』, 2.12.3, 3.11.23에서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칭의와 연결하여 가르친다. 우르시누스가 쓴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해설』의 제60문답 해설은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에 대한 아주 분명한 표현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는 17세기에 주류 개혁신학자들에 의해서 분명한 형태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 교리는 교회의 역사 속에서 주요한 신학자들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history of theology from the patristic period to the Middle Ages and the Reformation. Among the church fathers it was taught by Irenaeus, Athanasius, and Augustine. In particular, Augustine asserts, based on Galatians 4:4-5, that Christ came under the law to save those imprisoned under the law and completed the fulfillment of the law. In the Middle Ages, although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was distorted by the idea of merit, it was expressed by theologians such as Anselm, Bernard, and Thomas Aquinas. The teaching on the active obedience of Christ presented by the theologians of the Reformation period was more specific than that of the church fathers, and more biblical than that of medieval theologians. Luther teaches the doctrine of the active obedience of Christ in his explanation of Galatians 4:5 in his 1535 Commentary on Galatians. In his commentary on Romans 3:22 and 3:31, Calvin asserts that the righteousness of Christ, who completely obeyed the law, is imputed to us. He also teaches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connection with justification in Institutes 2.12.3 and 3.11.23. The commentary on Q. 60 of the Heidelberg Catechism, written by Ursinus, is a very clear expression of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was formulated in lucid terms by mainstream Reformed theologians in the 17th century. Thus, this doctrine is found in the work of major theologians throughout church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