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국, 일본, 호주의 자살예방대책 고찰과 한국에 적용시 시사점

        용효중(Hyo-Joong Yong),오정민(Jeong-Min Oh),정희(Hee Jung),김수정(Soo-Jeong Kim),서동우(Tong-Woo Seoo),한오수(Oh-Su Hahn),홍진표(Jin Pyo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2

        외국 사례에 대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자살예방사업이 잘 진행된 나라들은 일찍부터 자살 예방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각국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자살 경향에 맞는 독특한 정책을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나라들은 자살예방을 단순히 보건복 지의 문제가 아닌 보다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문제로 파악하고 국가적인 정책과 협력을 통해 자살예방사업을 발전시켰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이러한 접근이 자살예방사업의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사회문화적 환경과 유사하게 높은 자살율을 가진 일본은 2006년의 자살예방 기본법 입법을 통하여 큰 진전을 이룬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살예방전략에 있어 국가적 정책의 일관성과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나, 우리나라에 적합한 자살예방 입법 및 행정 개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생각된다. 중앙정부의 자살예방 정책 및 입법에 대한 논의는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기존에 활동하던 자살예방단체들은 강점이 많고 중앙 및 지방 정부 차원에서 이들 단체들과 연계하고 협력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그러나 기존의 자살예방단체의 활동 범위가 대부분 수도권에 국한되어 있어 국가적인 단위의 정부-민간 역할 분담 체계를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담당자와 민간기구, 정신과학, 의료관리학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살예방전담기구의 설치, 중앙정부의 자살예방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한 지역자살예방계획의 수립, 자살예방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및 개선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살예방대책들이 제대로 시행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법과 제도의 정비, 예산의 확보가 중요함을 제언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대책추진을 기대하였다. The suicidal mortality rate in Korea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uicidal prevention strategy of England(Scotland), Japan, and Australia on the aspects of the promotion principle, the major target of population, the contents, and the promotion system.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countrie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suicide prevention earlier and developed suicide prevention systems suitable for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features. They established the systems through the national policy and cooper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work. The existing suicide prevention organizations in Korea have many advantages,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cooperate with them. We suggest that a suicide prevention organization should be founded in which policymakers, private organizations, and specialists of psychiatry, medical management and so on, a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nd the consistent community suicide prevention systems suitable for its own community which are need to be continuously evaluated and improved. And we suggest that these systems will work on the basis of the support of law and budget.

      • KCI등재

        도시거주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 현황과 영향 요인

        박수빈,용효중,홍진표,Park, Subin,Yong, Hyo Joong,Hong, Jin Pyo 대한불안의학회 2015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status and its correlates of the marriage-migrant women in Seoul, Korea. Methods : One hundred and seventy marriage-migrant women and one hundred and sixteen married Korean women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to complete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Marriage-migrant women were also asked for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acculturative stress, family-relationship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scores on the SCL-90-R were compared between marriage-migrant women and married Korean women, and the correlates of marriage-migrant women's mental health were investigated. Results : Compared to married Korean women, marriage-migrant women showed lower levels of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somatization, obsession-compul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Longer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lower family income, social support, higher acculturation stress, and family relationship stress were all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f marriage-migrant women Results : Our results suggest that mental health of marriage-migrant women is not necessarily bad, and several factors may affect their mental health.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a larger representative sample to confirm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성찰일지 작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영준(You, Young-Jun),최옥채(Choi, Okchai),용효중(Yong, Hyo-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성찰일지를 작성한 경험을 질적연구로 분석하였다. 성찰일지는 사회복지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실천분야에서 성찰적 실천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모두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별면접과 집단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5회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성찰일지를 처음 작성하면서 낯선 개념에 혼란스러움을 마주하였고, 직업에 대한 자신의 성찰능력이 부족함을 경험해야 했었다. 그러나 성찰일지 작성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실천과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성찰일지를 작성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모해 가는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성찰일지를 쓰는 작업이 사회복지조직 안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찰일지를 쓸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타인과의 공유, 성찰의 내용은 실천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찰일지가 사회복지사들의 성찰적 실천을 촉진시키고 성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social worker usage experi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which has become a widely utilized tool for reflective practice within various settings. There were nine research participants engaged in several practical fields. Results showed that social workers appeared (1) to have low confid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due to a lack of familiarity, and (2) to realize their limited philosophical knowledge toward their special fields. However, they were able to progress from passive novices to active learners sufficiently enough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as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reflective journals. The creation of constructive surroundings, kind consideration with sufficient time, and sharing with other members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positive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reflective journal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re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encouraging social worker reflective practice usage and for developing better abilities through it.

      • 지역정신보건센터의 균형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박수빈(Subin Park),홍진표(Jin Pyo Hong),용효중(Hyo Joong Yong),정희(Hee Jung),이은정(Eun Jung Lee),황윤정(Yun Jeong Hwang),박연옥(Yeon Ok Park),류진(Jin Ryu),이영(Young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최근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를 설계하고, 조직전체의 성과를 강조하고, 성과에 의한 모니터링과 사후조치를 강화한 전략적 성과관리체계인 균형성과관리제(Balanced Scorecard, BSC)의 공공부문에 도입이 확대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정신보건센터 중 최초로 BSC를 도입한 강동구 정신보건센터의 BSC구축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 법: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는 2008년 8월 BSC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후, 전문가의 자문을 받으면서 조직구성원 전체가 참여하여 2008년 12월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BSC를 구축하였다. 결 과: 강동구 정신보건센터는 '안전하면서도 역동적인 정신건강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니즈(욕구)에 맞춤화된 최적의 정신 건강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이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없이 함께 어울려 사는 삶' 이라는 비전 아래, 시민,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점에서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전략지도를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전략목표에 대한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개발하 였다. 강동구정신보건센터 BSC의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함축된다. 첫째,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BSC 구축은 지역정신보건 사업의 성과를 다양하고 균형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관리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이다. 둘째, 강동구 정신보건센터의 BSC 구축은 정신보건센터가 행정기관에 의해 수동적으로 업무평가를 받는 대상으로 머물지 않고, 능동적인 사업의 주체가 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셋째, 강동구정신보건센터의 BSC는 외부 용역에 의해 구축된 것이 아니라 조직구성원 전체의 참여에 의해 구축되 었다. 넷째, BSC구축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으면서 진행함으로써 내외부 시각의 균형을 담은 BSC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 BSC를 도입한 최초의 연구로써, 정신보건센터나 관련시설에서 BSC를 도입하고자 할 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정신보건법 관련 격리 강박 지침의 개정안 개발

        김건우(Kunwoo Kim),홍진표(Jin Pyo Hong),이기경(Ki Kyoung Yi),나리지(Ri Ji Na),용효중(Hyo Joong Yong),이유진(Yu Jin Lee),황태연(Tae-Yeon Hwang),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격리 강박 지침 개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현 격리 강박 지침의 문제 점을 고찰하고 선진국의 국제적인 기준을 소개하는 것이다. 방 법 : 우리나라의 격리 강박 지침과 관련 법령을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의 지침 및 법령과 비교 고찰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국가인권위원회, 의료관리학 교수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기존 격리 강박 지침의 적응증과 지시 규정은 정신보건법과 모순되어 지침의 수정이 필요하겠다. 선진국의 지침과 비교하여 기존 지침의 내용은 세부적이지 못하여, 의사와 간호사의 의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의사의 지시 형태, 의사의 의무적인 진찰, 의무 기록, 허용된 격리 강박 시간 등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필요하겠다. 결 론 : 개정 지침이 정신보건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신질환자의 인권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vised guidelin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entally ill pati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guidelines and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Methods : We reviewed current guideline and administrative status in Korea and examin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in developed countries: U.S.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addition, survey of related specialists, advisory conference: advice of related and administrative experts, public hearing were done. Results : Current recipient indications and order regulations concerning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contradict those of the Mental Health Act, thus, modification is need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are less specific. The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and nurses have not been clearly divided, and details concerning the form of the physician’s order, physician’s obligatory examination, medical recording and allowed time of seclusion and restraint are in need of clarification. The new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mental health field. Conclusion : Revised guidelines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real life mental health situations and strengthen of human rights of current psychiatric inpatients.

      • KCI등재

        우리나라 외래치료명령제의 시행과 개선방향

        이유진,용효중,김건우,나리지,이기경,황태연,이종국,홍진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Objectives:Since the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has begun in Korea, there have been no requests due to the absence of specific details relating to its enforcement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related specialists. We reviewed current guidelines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for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in Korea, and examined examples of operation and related regulations of developed countries. Methods:Korean studies concerning development of the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were inquired. We investigated the guideline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U.S.A., Australia, United Kingdom and Canada. The survey of related specialists for the improvement of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was performed. Results:Related specialists agreed that current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needed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candidate patients, processes and management for noncompliance. Additionally, majority of the specialists suggested that candidates for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should be extended for not only hospitalized patients but also patients in community. Conclusions:We reviewed detailed considerations regarding candidate recipients within current legislation, complemented post-enforcement report, management procedures, and stipulated actions for noncompliance, to be used as practical guidelines for application. More fundamental measures than complementation of guidelines, such as modification of related legislature will be needed to increase usage, and further details with reference to confidentiality of recipients and safety measures and financial support of treatment personnel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