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의 역량, 동기, 기회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왕태규 ( Wang Tae Kyu ),조성한 ( Cho Sung Han ),주영종 ( Joo Young Jong ) 한국행정연구원 2018 韓國行政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공무원의 역량·동기·기회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과 동시에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적자본의 질적 수준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 하에 조합모델로서의 AMO 이론을 적용해 조직성과에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공공조직에서도 공무원의 역량, 동기, 기회의 변수들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MO 이론을 공공부문에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공공봉사동기가 조절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검증에 있어서는 ‘기회’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The pressure to public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o improve performance, public organizations have applied a variety of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Recently, AMO theory focusing on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organization members has received intensive attention from business administration literature. Along with AMO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nagement practices to improve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O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tested. With 2016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this study found that AMO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training, fair compensation, and job flexibil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analytical result show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recommends that enhancing training program, fair compensation, and job flexibility is necessary for public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제도·조직구조·직무특성 요인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왕태규 ( Wang Tae Kyu ),이희재 ( Lee Hee Jae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혁신은 중요한 연구주제로 간주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의 성공을 결정요인이라 할 수 있는 조직구성원 개인 차원의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도적·조직 구조적·직무 특성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도적 차원의 영향요인은 균형 인사제도를, 조직 구조적 영향요인으로는 목표모호성과 공식화 수준을, 직무특성 차원에서는 직무자율성과 기술다양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에서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구조적 차원에서 목표모호성과 직무특성 차원에서의 직무자율성과 기술다양성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직과 지방직 공무원들 사이에 혁신행동에 대한 상이한 영향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novation has been a long-standing and important research agenda for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 number of studies have explored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innovation with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ere would be lack of studies about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ublic agencies that ca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such innovation. Thus, this study looks into the influencing factors for innovative behaviors of public employees with three different perspectives―institution (Balanced-Personnel Policy), organizational structure (goal ambiguity and formalization), and job characteristics (job autonomy and skill variety). Based on the survey data,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goal ambiguity, job autonomy and skill variet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innovative behaviors of public employees. Also,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would be different systems to induce innovative behavior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정부의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외부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왕태규 ( Wang Tae-kyu ),주효진 ( Ju Hyo-jin ),장봉진 ( Jang Bong-ji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Fernandez 와 Rainey (2006) 연구가 제시한 공공조직 혁신의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공공조직의 업무자율성, 조직자원, 총체적 리더십이 지방정부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부지향문화의 조직혁신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부지향문화를 제외한 모델에서는 업무자율성과 총체적 리더십이 지방정부의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 검증 모델에서는 업무자율성과 총체적 리더십과 지방정부의 조직혁신과의 관계에 대하여 외부지향문화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성공적인 혁신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강조하는 업무자율성, 총체적 리더십과 함께 지방정부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Based on Fernandez and Rainey study (200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job flexibility,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full-range leadership on the innov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focus culture on the innov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analytical results on the model that does not include the external-focus culture shows that job flexibility and full-range leadership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moderating effect model, the result indicates that external-focus cultur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lexibility and full-range leadership and innovation. As a result, this study argu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job flexibility and full-range leadership as well as organizational culture, especially for external-focus culture, for their successful innovation.

      • KCI등재

        조직성과가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과측정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장봉진 ( Bong Jin Jang ),왕태규 ( Tae Kyu Wang ),박상철 ( Sang Chul Park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地方行政硏究 Vol.32 No.4

        본 논문은 목적은 조직성과가 책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성과측정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수로 설정한 내부성과와 외부성과 모두 종속변수로 설정한 법적·행정적·정치적 책임성과 전문가적 책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과측정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내부성과와 법적·행정적·정치적 책임성간의 관계에 있어서 성과측정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의 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는 성과측정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내부 및 외부 성과향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내부성과 측면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효율성 및 조직 관리 체계에 있어서의 공정성 및 형평성을 향상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고객들의 요구에 기반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책임성 향상을 위해서 효과적인 성과측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측정된 결과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formance measurement on employees’ peceive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in Seoul. Collecting survey data from 4 disctricts out of city of Seoul,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both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positively affected legal/administrative/politic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 accountability. Performance measuremen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rn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legal/administrative/political accountability.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better perceived accountability. Thus, local governments should enhance internal management systems as well as be more customer-oriented in public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Also, it is crucial f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utilize the use of performance information.

      • KCI등재

        공공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연구: GWP와 이직의도의 실증분석

        주효진 ( Ju Hyo-jin ),왕태규 ( Jang Bong-jin ),장봉진 ( Wang Tae-kyu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일하기 좋은 직장(Great Work Place: GWP) 모형을 적용하여 GWP의 5개 요인인 신뢰(믿음, 공정, 존중), 자부심 및 재미가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신뢰의 하위요인인 믿음, 공정, 존중과 재미는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조직에 대한 자부심은 조직 구성원이 조직을 이탈하고자 하는 의지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이 정책과 사업을 통해 나타난 성과를 조직 구성원들의 노력과 활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것을 조직의 경영진들이 인정하는 것과 동시에 조직 구성원들에게 자부심을 줄 수 있는 조직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신뢰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 경영진과 조직 구성원 간의 신뢰에 대하여 신중하게 논의하고 다양한 해결방안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loy ‘Great Work Place’ model with its five factors―credibility, respect, fairness, pride, and fun―and pride in the organization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whereas investigate their impacts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ree factors of trust―credibility, respect, and fairness―were not. Therefore, this study argued that public agencie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management practices that enhance the pride of employees.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rust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in that it was not significant.

      • KCI우수등재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제도의 효과성 분석

        한승훈 ( Seounghoon Han ),왕태규 ( Tae Kyu Wang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는 2010년부터 도입되어 10여 년간 중증장애인의 고용 촉진을 위한 제도로 존속해왔지만, 제도가 실제로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장애인 고용주에 대한 혜택에 불과한지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장애인고용공단의 행정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사전-사후 및 처치-통제집단 비교를 통하여 제도의 중증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려 하였다. 분석 결과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고용 수를 늘리고 중증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체 수를 늘리는 등 중증장애인의 신규 고용 창출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견한 반면, 중증장애인의 고용 증가가 경증장애인 고용의 단순한 대체라는 주장의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It has already been a decade since the double count system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was adopted. However, there is still an ongoing debate on whether it achieves its purpose to increase employment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or it simply serves employers’ benefits only. Using the 2007-2018 administrative database obtained from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ouble count system for severely disable persons. For that, we conduct a non-linear Poisson panel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both pre-post and treatment-control group comparisons.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ystem. The adoption of the double count system increased new employments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and also the number of firms who hired those disabled persons. Furthermore, we find no such evidence that the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severely disabled persons simply replaced that of the mildly disabled on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