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 선정 알고리즘: AT 링크와 TA 링크

        오창윤,Oh, Changy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 전송전력과 최적의 엑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문제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지난 연구결과를 확장하여 TA 링크와 AT 링크에서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함께 최적화한다. 목적은 모든 단말이 요구하는 최소의 신호대 간섭비를 유지하면서, 총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TA 링크와 AT 링크 모두에서 제안하는 반복적 기법을 통해서 최적화된 결과값에 수렴함을 증명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1)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방법이 전송전력만을 최적화하는 방법보다 전송전력 소모에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는 TA 링크와 AT 링크에서의 알고리즘의 결과값인 전송전력 벡터와 엑세스 포인트 벡터는 쌍대성이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 the joint selection problem of the transmit power level and the best access point for multi-access points. We further reduce the transmit power by jointly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and the access point selection. Our aim is to minimize the total transmit power, while each terminal maintains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requirement. We observe that the optimum solution can be achieved through proposed iterative algorithm for both TA link and AT lin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joint optimization of transmit power level and access point) outperforms the algorithm which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only. We also observe that the duality between the TA link and AT link does not hold in multi-access points environment. Accordingly, the resulting power vectors and the access point vectors for TA link and AT link are different in general.

      • KCI등재

        Energy Optimized Transmission Strategy in CDMA Reverse Link: Graph Theoretic Approach

        오창윤,Oh, Changyo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6

        본 논문에서는 짧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CDMA 시스템 환경에서 전송률 스케줄링과 전력량 할당 문제를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각각의 단말이 짧은 구간 동안의 평균 전송률을 유지하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적인 스케줄링 방안을 제안한다. 다중 코드를 적용한 CDMA 시스템을 고려하며, 각각의 코드는 가상의 사용자로 해석할 수 있다. 논문의 최종 목적은 전송률 과정에서 소모하는 에너지가 최소화되도록 각각의 시간슬럿에 가상의 사용자를 스케줄링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목할만한 점은,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전송률 최적화 문제가 최단 경로 알고리즘으로 해결 가능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제안하는 에너지 최적화 스케줄링 방안을 TDMA 형식의 스케줄링 방안과 성능 비교 분석한다. We investigate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problem for a delay constrained CDMA systems. Specifically, we determine an energy efficient scheduling policy, while each user maintains the short term (n time slots) average throughput. We consider a multirate CDMA system where multirate is achieved by multiple codes. Each code can be interpreted as a virtual user. The aim is to schedule the virtual users into each time slot, such that the sum of transmit energy in n time slots is minimized. We then show that the total energy minimization problem can be solved by a shortest path algorithm.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optimum scheduling with that of TDMA-type scheduling.

      • KCI등재

        녹색통신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송수신 방안

        오창윤(Changyoon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10

        We investigate multi user joint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problem for a delay sensitive CDMA systems. First, we characterize the existing two user joint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We then extend the problem to the case of the multi user systems. In general, there is no simple optimum solution for the multi user scheduling problem. To that end, we propose a sub optimum solution, termed ‘virtual user approach’. We show the performance of the virtual user approach to verify the benefit of complexity.

      • KCI등재

        쌍대적 관점에서 D2D 송수신 단말쌍 할당

        오창윤(Changyoon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5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D2D Transmitter(Tx) and Receiver(Rx) pair assignment problem in the cellular system. Sharing the resource of the cellular system, D2D users may cause interference to the cellular system, though it is beneficial to improve the D2D user Capacity. Therefore, to protect the cellular users, D2D transmit power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Previously, optimal Tx-Rx assignment to minimize the total transmit power of users was investigated. Accordingly, the iterative algorithm to find the optimum Tx-Rx asignment was obtained. In this work, we consider the case where Tx group users becomes Rx group users, and Rx group users become Tx group users. We prove that the Tx-Rx assignment problem has the duality property. We present the numerical examples that show the duality between U-link and D-link.

      • KCI등재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s for VBR MPEG Video Traces

        오창윤(Chang-Yun Oh),배상현(Sang-Hyun Ba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9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4 No.4

        MPEG은 ISO 산하의 표준화 위원회에서 동영상 압축 기술의 필요에 의해 표준화된 동영상 압축 기술로 통신상에서 더 높은 비트율의 고화질 동화상 실현의 요구에 의해 1995년에 MPEG 2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VBR MPEG의 코드화된 완전한 동화상 통신을 위해 비선형 시계열 방식으로 효율적이고도 정확한 TAR 모델 설계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실질적인 동영상 비디오 추적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variable bit rate VBR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coded full-motion video traffic is modeled by a nonlinear time-series process. The threshold autoregressive (TAR) process is of particular interest. The TAR model is comprised of a set of autoregressive (AR) processes that are switched between amplitude sub-regions. To model the dynamics of the switching between the sub-regions a selection of amplitude dependent thresholds and a delay value is required. To this end, an efficient and accurate TAR model construction algorithm is developed to model VBR MPEG-coded video traffic. The TAR model is shown to accurately represent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full-motion video trace. Furthermore, in simulations for the bit-loss rate actual and TAR traces show good agreement.

      • KCI등재

        M2M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한 PHY 프레임구조 설계

        오창윤(Changyoon Oh)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2

        본 논문에서는 셀룰라시스템이 운용중인 Licensed 주파수 대역에서 M2M 단말간 직접통신을 공존운용하기 위한 PHY 프레임구조를 제안한다. 최근 들어 SmartGrid, Mobile Health, Smart Car를 포함한 M2M(Machine to Machine) 서비스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M2M 서비스를 Licensed 주파수 대역 기반의 셀룰라시스템을 통해서 제공하는 경우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일예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시나리오에서는 M2M 단말간 직접통신을 하는 것이 자원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셀룰라 통신시스템의 PHY 프레임구조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정한다. 이러한 하위호환성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기존 셀룰라시스템과 동일한 licensed 주파수 대역에서 공존운용이 가능한 M2M 단말간 직접통신시스템의 PHY 프레임구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2M 직접통신을 위한 프레임 구조는 기존 셀룰라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M2M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한 추가적인 주파수 소요 없이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 예상된다. We propose PHY Frame Structure for M2M direct communications in licensed frequency band. Especially, the proposed PHY Frame Structure coexists in the same licensed frequency band as currently operating cellular systems. Recently, Machine to Machine (M2M) service markets, including SmartGrid, Mobile Health, and Smart Car, are being rapidly expanded. Supporting M2M services in a specific case can waste Radio Resource in cellular systems. For example, when two M2M terminals communicating to each other are closely located, direct communication is radio resource efficient. In this paper, we set the requirement of maintaining the existing PHY frame structure in cellular systems to meet the backward compatibility. Based on this backward compatibility requirement, PHY frame structure for M2M direct communications is developed while satisfying coexistence with current operating cellular system. The proposed PHY frame structure meets backward compatibilit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2M frame structure is useful for its frequency resource efficiency.

      • KCI등재

        다수 개의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 전송전력 제어

        오창윤(Changyoon Oh) 한국산업정보학회 2020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2

        다중 엑세스 포인트에서 적용을 위한 전송전력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개별 단말은 여러 개의 엑세스 포인트 중에서 하나의 엑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전송한다. 각각의 엑세스 포인트는 수신이 예정된 단말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기도 하지만, 인접한 단말들로 부터 간섭도 수신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단말에 요구되는 신호대 간섭비를 만족하면서 모든 단말들의 총 전송전력이 최소화되도록 전송전력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엑세스 포인트 개수의 증가가 단말들이 소모하는 총 전송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들의 총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반복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목표 신호대 간섭비에 항상 수렴함을 이론적 기법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단말들이 소모하는 전송전력을 최적화함을 증명하도록 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 1) 제안하는 전송전력 최적화 알고리즘은 엑세스 포인트 개수와 관계없이 목표로 하는 신호대 간섭비에 수렴하며, 이때 개별 단말들은 최적의 전송전력을 소모한다. 2) 통신시스템에 엑세스 포인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단말들이 소모하는 전송전력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 the transmit power control algorithm for multi-access points environment. Each terminal may transmit a signal to one of these access points. Each access point may receive a signal from desired terminals as well as interference from neighbor terminals. In this paper, a transmit power control algorithm is developed such that the total transmit power is minimized, while each terminal meets the target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R) requiremen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access-points on the total transmit power consumption i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we propose a convergence guaranteed power control algorithm. We prove that the proposed iterative algorithm always converges to the target SIR.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leve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uarantees convergen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ccess points. We also observ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access points reduces the total transmit power consumption.

      • KCI등재

        에너지 효율적인 송수신 운용 방안

        오창윤(Changyoon Oh)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2

        본 논문에서는 M2M 단말들끼리의 송수신 과정에서 에너지 최적화 송수신 운용 방안을 제시한다. 최근의 통신응용 분야는 점점 더 많은 양의 밧데리를 소모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한된 용량의 밧데리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효과적인 밧데리 사용 방안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많은 통신 응용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채널코딩 기술중 하나인 터보코드를 적용하여 송수신 단말들끼리 데이터 전송과 수신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적화한다. 먼저 송신시 소모되는 전송에너지와 수신시 소모되는 프로세싱 에너지를 모델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적인 송수신 운용 방안을 제시한다. We propose energy efficient transmit and receive strategies for nomadic M2M devices. Recently, communication applications consume more and more battery. Hence, the efficient battery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urbo code as a channel coding is being widely used in many communication areas. Accordingly, th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using turbo code is an important issue. In this paper, we optimize joint transmit and receive energy for M2M devices pair. We first model the transmit energy and receive energy. Then, we develop the energy efficient transmit and receive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