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 수조에서 북방전복과 해삼의 복합사육에 따른 생존과 성장

        진영,오봉세,박민우,조재권,정춘구,김태익,Jin, Young-Guk,Oh, Bong-Se,Park, Min-Woo,Cho, Jae-Kwon,Jung, Choon-Koo,Kim, Tae-Ik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2011년 4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를 먹이원으로 한 북방전복과 해삼의 실내 복합사육에서 생존율과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북방전복의 크기는 각장 $28.54{\pm}1.23mm$, 전중량 $2.92{\pm}0.26g$ 이었고, 해삼은 습중량 $3.0{\pm}0.2g$ 이었다. 먹이는 전복배합사료 실험구, 건다시마 실험구 및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 혼합 실험구로 설정하였다. 북방전복과 해삼의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각각 97.0%, 87.0% 이상을 보였다. 북방전복의 생존율은 건다시마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반면 해삼은 가장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성장은 북방전복의 경우 전복배합사료 실험구에서, 해삼의 경우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를 동시에 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빨랐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urvival and growth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co-cultured and supplied with abalone formula feed (AFF) and dry sea tangle (DST) in indoor tan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rom April 20 to July 15 in 2011, we used abalone with shell length of $28.54{\pm}1.23mm$ and total weight of $2.92{\pm}0.26g$. The sea cucumber used in the experiment weighed $3.0{\pm}0.2g$ in wet weight. For the experiment, 3 types of feeds including AFF, DST and AFF-DST mixed (1:1) group were supplied to abalone and sea cucumber. During the experiment, survival of abalone reached over 97.0% and 87.0% for sea cucumber in three experimental tanks. Survival of the abalone was found to be higher in DST group, while it was lower among sea cucumber, although the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 Growth of abalone fed with AFF was significantly higher, while the growth rate of sea cucumber was highest in the tank fed with AFF+DST mixed diet (P < 0.05).

      • KCI등재

        신축성 형광 폴리다이페닐아세틸렌 유도체의 합성과 물성

        진영재(Young-Jae Jin),오주희(Ju-Hee Oh),곽기섭(Giseop Kwak)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5

        본 연구에서는 단량체로 diphenylacetylene 유도체(DPAmC18)를, 가교제로 2관능성 1,4-bis[phenylethynyl]benzene(PEB)를 사용하여, 신축성을 가지는 형광 공액고분자를 합성하였고 물성을 평가하였다. FTIR 분석을 통해 생성고분자들의 구성비를 확인하였으며, XRD, DSC, 자외가시흡광 및 형광방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열역학적/구조적/광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고분자 내 PEB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단일중합체인 PDPAmC18의 열역학적, 구조적 특성이 점차적으로 변한 반면, 형광특성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상온에서 UTM을 이용한 기계적 물성을 측 정한 결과, PEB의 함유량이 10%인 중합체는 70%~100%의 인장변형 범위에서 가장 가역적인 신축성을 보임과 동시에 가역적인 형광 및 편광형광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이들 고분자의 형광장력센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시사한다. Stretchable fluorescent conjugated 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polymerization of diphenylacetylene derivative (DPAmC18) and di-functional 1,4-bis[phenylethynyl]benzene (PEB) using as a monomer and a cross-linker, respectively, in different feed ratios and thei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al ratios of the polymers were confirmed by FTIR spectroscopy and their thermodynamic/structural/opt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by XRD, DSC, UV-vis absorption and fluorescence (FL) emission spectroscopic analyses. The thermodynamic/structural feature of the homopolymer, PDPAmC18, vari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PEB in the polymers while the FL emission was almost not changed. As a result of UTM measurement at room temperature, the polymer having a 10% feed ratio of PEB showed the most reversible stretchability in a tensile strain range from 70% to 100% and, simultaneously, the FL and polarized FL emission were changed reversibly. These results suggest a potential application of our polymers using as a FL tension sensor.

      • 스테레오 입체영상과 3차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진영범(Young-bum Jin),김만수(Man-soo Kim),오일석(Il-seok Oh)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3차원 애니메이션 도구와 같은 응용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인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아이디어가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이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스테레오 입체영상을 쓰는 직관적 상호작용을 위해 양손을 사용하는 3차원 입력기술과 머리움직임 추적기술을 이용하고,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SIN3D(user interface using Stereo Image & 3D input devices)라 칭함) 방식의 설계와 구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용량 인쇄 한글 문서 검색을 위한 영상 기반 단어 매칭 방법

        진영범(Young-Bum Jin),오일석(Il-Seok Oh)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기계 인쇄된 문서 영상에서 주제어를 탐색하는 문제는 여러 응용 분야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지만 수작업 또는 OC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은 많은 비용 때문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요즘 영상 형태로 원문을 저장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논문은 영상-기반 매칭을 통한 검색 방법을 채택하였다. 문자 또는 단어 매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특징인데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도서관과 같이 매칭 대상 단어가 수천만~수십억에 달하는 대용량 한글 문서 검색에 이용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간단히 추출할 수 있고 차원수 조절이 용이한 4방향 프로파일 특징을 이용하는 빠른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8-차원 정도의 간단한 특징으로도 의미 있는 검색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오영범(Young Beom Oh),진영학(Young Hak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토픽 모형을 활용하였다. 먼저, 빅카인즈 서비스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 보도 자료를 수집한 후, 전처리 및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키워드 분석을 통해 언론보도 자료 내 상위 30개 빈출 단어를 제시하였다. 이후 통계적 수치와 모형의 해석 가능성을 고려해서 토픽 수를 추정하고 토픽별 상위 10개 단어를 도출함으로써 13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LDA 모형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한 13개의 토픽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들은 인공지능 주도권을 기르는 교육, 경기GPT와 공정한 예술교육, 디지털금융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민주주의의 문제와 대처,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윤리적 활용, 다양한 분야의 창작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경기도와 뉴욕주립대 간 연수 프로그램, 인공지능 융합교육 지역 협력모델, 인공지능 에듀테크 지원 사업과 핵심 인재 양성, 메타버스 랩 지원 사업, 지자체 행정업무 활용을 위한 직원 인공지능 역량 강화, 해외에서 주목하는 부산시교육청의 디지털 교육정책,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방식 변화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픽을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에 적용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 가지 방안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교사 역량 강화, 인공지능 개발과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수립, 생성형 인공지능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 역량 제고, 생성형 인공지능 수업 사례 개발 및 보급, 자발성에 기초한 인공지능 교사 연구회 지원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pics of media reports regard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nece and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opic model,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was used. First, we collected newspaper article data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through the Big Kinds service and then performed pre-process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on this, 30 keyword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topics and deriving the top 10 words for each topic, 13 topics were presented and explained. Results The 13 topics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ers focus on education that fosters artificial intelligence leadership, Gyeonggi GPT and fair art education, digital finance professional training, problems and responses to digital democracy, reliability and ethic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creation in various fields, training programs between Gyeonggi-do an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regional cooperation mod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tech support project and core talent training, Metaverse Lab support project, strengthening employee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for use i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work,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igital program attracting attention from overseas and chang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method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presented. Conclusions Based on the topics presen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ways to apply and activat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he five measures are strengthening teacher capacity fo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stablishing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r capacity to us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orrectl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cases, and based on spontaneity. This is support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 Research Group.

      • KCI등재후보

        원유의 WSF(water soluble fraction)가 참굴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신윤경(Yun Kyung Shin),김응오(Eung Oh Kim),조기채(Kee Chae Cho),전제천(Je Cheon Jun),진영국(Young Guk Jin) 환경독성보건학회 2010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5 No.2

        The observed the toxic effect of WSF (Water Soluble Fraction) on development time, development rate, attachment rate, survival rate and growth of the larva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time required early juvenile from the fertilized eggs exposed to crude oil (WSF) was about 13 hours in control group. But that of the crude oil dose group takes 12 hours, with shorter compared to control group. Development and attachment rate of the oyster significantly higher in 0.4 and 0.8 ㎎/L WSF compared to control group (P < 0.05) but significantly lower more than 1.6 ㎎/L WSF (P < 0.05). Survival rate of the oyster larva significantly higher in 0.4 and 0.8 ㎎/L WSF compared to control group (P < 0.05) but significantly lower more than 2.4 ㎎/L WSF (P < 0.05). Survival rate of spot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 (P > 0.05). Shell growth of the oyster were significantly lower more than 1.6 ㎎/L WSF compared control group (P < 0.05). The effect concentration of crude oil showed that more 0.4 ㎎/L in development and attachment rate and more 1.6 ㎎/L in growth. Also, chronic exposure of crude oil even effect also in low concentration.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관용어 이해 능력

        오진영 ( Oh Jin Young ),이은주 ( Eun Ju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관용어 이해 능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자는 서울ㆍ경기 또는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과 표준화검사결과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각 13명씩 총 26명이었다. 실험 과제는 문맥이 제시된 상황에서 관용어의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라 친숙하고 투명한 관용어(familiar-transparent), 친숙하고 불투명한 관 용어(familiar-opaque), 친숙하지 않고 투명한 관용어(unfamiliar-transparent), 친숙하지 않고 불투명한 관용어(unfamiliar-opaque)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용어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서 선다형 선택 과제를 제시하였다. 선다형 선택 과제의 선택지에는 관용적 해석 (idiomatic interpretation), 문맥과 관련된 해석(contextual plausible interpretation), 문맥과 관련 없는 해석(contextual implausible interpretation), 문자적 해석(literal interpretation)을 포함시켰다. 두 집단 간에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2)×친숙도(2)×투명도(2)의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오류는 오류유형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점수는 일반아동 집단이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집단 내에서는 친숙도 및 투명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관용어 이해과제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성인은 문맥과 관련된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고 다음으로 문자적 오류, 문맥과 관련없는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은 문맥과 관련된 오류가 대부분이었고 문자적 오류와 문맥과 관련없는 오류는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들이 비슷한 언어 연령의 아동들에 비해 관용어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며 이러한 어려움은 문맥 활용의 어려움과 추론 능력 및 비유 의미 유추 능력에서의 제한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diom understanding according to familarity and transparancy of th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13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3 normal children with the same language age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familiar-transparent idioms, familiar-opaque idioms, unfamiliar-transparent idioms and unfamiliar-opaque idioms. The multiple choice selection taskswere presented for idiom understanding. Each example contained idiomaticinterpretation, contextual plausible interpretation, contextual implausible interpretation and literal interpretation. It carried out the mixed three-way ANOVA tes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pending on the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diom understanding score of general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isn``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In partifula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en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dioms related with context and next literally. The results are further discussed regarding figurative language comprehension and reaso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