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동철동음 및 중다의미 동사의 표상에 관한 연구

        오지향,신현정 언어과학회 2018 언어과학연구 Vol.0 No.84

        .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meanings of Korean ambiguous verbs are represented distinctly or as single core meanings in the mental lexic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termine to determine how sentences which used the same ambiguous verbs were relevant to each other by performing on a computerized program. The relatedness judgement task were measured in the same meaning context and the different meaning context. In Experiment 2, sensicality judgement data of the phrases that contained the ambiguous verbs were obtained just after the verbs were proceed as specific meanings. he results of Experiments 1 and 2 suggested single core representation in the case of the polysemous verbs, and meanings of homonymous verbs are represented as distinct lexical entries. Some limi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presentation of ambiguous verb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레슨 스터디(Lesson study)를 통한 예비음악교사의 협력적 전문성 신장 가능성 탐색

        오지향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슨 스터디를 통하여 음악과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전문성 신장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레슨 스터디의 개념과 방법을 적용하여 16명의 예비교사들이 그룹안에서 과제, 외부 자원 수집 및 공유, 수업관찰을 협력적으로 해결하였고,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 실행, 반성, 재수업하는 순환적 과정으로 수업을 실연하였다. 연구결과로, 레슨 스터디를 실행함에 따라 수업역량 강화, 음악수업 이해, 유목목적인 토론, 외부자원 수집, 책임감 향상 등의 요인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조정, 역할갈등 및 의견조정의 필요 등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예비교사로 한정되어 있고 양적인 연구방법만을 사용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사 공동체와 수업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측면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레슨 스터디를 활용해서 협력적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 후 그 결과를 수정 보완하여 다시 수업을 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역량을 향상하고 현장적용능력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신장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초·중등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다문화학습 내용 분석

        오지향,조혜윤 미래음악교육학회 2019 미래음악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roadly examine contents of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in schools, based on an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a. A total of 58 music textbooks- including 20 distinct texts for primary school, 28 for middle school, and 10 for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ree perspectives, and proposals were made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music education in primary school needs to be related to students; daily lives, while more critical and practical instruction can be executed at the secondary level. Second,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must be approached from a world music perspective, incorporating popular music and ethnomusicological standpoint to stimulated the interest of students. Third, cultural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that help to connect foreign songs to their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do much more to deepen multicultural learning than merely attempting to song foreign songs in their original languag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learning,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stimulate discussions about methodology, Further, educators must establish and utilized dedicated archives, approach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from am world music point of view, and develop practical, professional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중등 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해 음악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학습 내용을 전반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0권, 중학교 28권, 고등학교 10권 교과서 58권을 세 가지 분석관점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음악학습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다문화 음악학습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실생활 중심의 학습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과 중등학교에서는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다문화 음악학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대중음악과 음악인류학적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월드뮤직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른 나라의 노래를 원어로 부르는 활동과 같이 일회성의 단순한 음악체험에서 벗어나 해당 나라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현상과 의미 있게 연결되는 문화체험이 중심을 이룬다면 다문화 음악학습 내용의 수준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문화 음악학습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다문화적 접근방식에 대한 논의, 전문적인 아카이브의 개발과 활용,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교재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참여’와 ‘연결’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뉴미디어 시대의 음악교육

        오지향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ac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digital new media era that focus on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The implications for music learning in the digital new media era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ra of digital new media, in the culture of participation formed by individual choic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nd meaningful music learning was discovered for each individual.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music through media production and criticism. In music classes, students can do cover, parody and multi-tracking based on media, and participate in virtual choral or virtual ensemble performances created by teachers. In addition, feedback and discussion on the types of musical messages produced by various media can be made, which can lead to a critical view of the media. Third, we can understand the aspects of informal music learning conducted outside of school and provide participatory music production experience through similar forms of band or ensemble performances within the school. Informal music learning and participatory culture practice can be made into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various connections such as performers and audiences, teacher learners and learner teachers emerge and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through digital new media. Lastl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nformal music learning and participatory culture practice as supplementary and extended activities, not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and formal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와 ‘연결’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뉴미디어 시대의 상호작용과 학습경험에 대해 조사하고 음악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미디어 기반의 개인 참여와 의미 생성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 예술과 참여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참여적 학습에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디지털 뉴미디어 시대의 음악 학습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뉴미디어 시대에 개인의 선택과 자발적 참여로 형성된 참여문화 속에서 각 개인에게 실제적이고도 의미 있는 음악 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미디어 제작과 비평을 통한 음악 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음악수업에서 미디어를 기반으로 커버, 패러디, 멀티 트래킹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교사가 만드는 가상 합창이나 가상 앙상블 공연에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음악적 메시지의 종류에 대한 피드백과 토론 등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수 있다. 셋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적 음악 학습의 양상을 이해하고, 학교 내에서이와 비슷한 형태의 밴드나 앙상블 공연을 통해 참여적 음악제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비형식적인 음악 학습과 참여 문화 실천은 디지털 뉴미디어를 통해 음악수업 내에서 공연자와청중,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교사 등의 다양한 연결이 나타나는 학습 공동체로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참여 문화 실천과 비형식적인 음악 학습을 전통적인 학습방법이나 형식적 음악교육의 대체 개념이 아닌, 보충적이고 확장적인 활동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대학 교양음악수업 지도방안연구

        오지향,김선미 한국음악교육학회 2009 음악교육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대학 교양음악 수업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음악의 지적, 예술적 교육과 더불어 사회 문화적 측면을 강조하여 동시대의 문화예술과 연계된 다양한 주제와 활동을 제시하는 수업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음악지식이 학생들에 의해 구성되고 맥락적이며 사회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예술 영역 간의 통합과 상황적 교수학습으로 구축된 통합적 접근을 적용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교양음악수업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4개의 주제와 세션을 가지고 대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음악 경험과 예술 문화적 활동과의 연계, 그리고 실생활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통합적 접근에 의한 교양 음악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들의 음악 경험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음악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시각적 표현

        오지향 한국서양음악학회 2007 서양음악학 Vol.10 No.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escriptive information for the use of drawings in facilitating children’s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and music’s personal meanings. In studying emotional response to music, researchers must take account of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listeners’ recognition of emotional content in music and listeners’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 in music.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children’s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through their visual representations. The investig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mages, colors, and thematic content children create in drawings have the power to express feelings and ideas as well as record events that convey to others their own ideas, beliefs, and experiences. Children’s drawings showed their ability to associate aurally perceived music with extramusical concepts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addition, their emotional experiences, the level of focused attention, and amount of musical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drawings. The findings of similar and collective representations suggest children can understand emotional content in music stimuli and these results support previous research. The findings of different and personal representations of images, colors, and thematic content show that each child’s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music are connected to his/her association, imagination, and life experiences.

      • KCI등재

        중등 음악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수업실연 실태 조사

        오지향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status of teaching demonstration led by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s as well a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teaching demonst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distributed copies of a questionnaire to 360 student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at ten teachers’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ross Korea. The respondents turned out to have quite a good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eaching demonstration. They reported that they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classes and communication skills as a result of leading teaching demonstration. They also reported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also pointed out that video recordings helped with their teaching. They also put the great emphasis on imparting the knowledge required by the curriculum in leading teaching demonstration. They believe that examples of teaching demonstration make their teaching more effective, and also that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a diverse range of demonstration methods in each discipline. The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that would provide practical knowledge for teaching demonstration.

      • KCI등재

        21세기 음악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역량

        오지향,정재은,석문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4

        To keep pace with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21st–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defined technology competencies in music education and examined applications with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purposes. First, this paper discussed the technology competencies through an examinati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Second, this paper defined technology competencies in music education and examined applications of these competencies. Last, this paper discussed methods for applying technology competencies in music education. Thus, this study intended to discover appropriate educational uses of technology, beyond the use of technology as a method in music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defined technology competencies a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fir planning and organizing technologies within individual learners’ context and found that learning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ise of technology. National curriculum of the Korean Department of music discuss how to use technologies, but there was no approach in terms of essential content. Accordingly, specific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performance standards should be presented to nurture technology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