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CS 및 WIM 자료를 활용한 고속도로 물동량 지표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오정화,김현승,박민석,최윤혁,권순민,박동주,OH, Junghwa,KIM, Hyunseung,PARK, Minseok,CHOI, Yoonhyuk,KWON, Soonmin,PARK, Dongjo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5

        2014년 기준 국내 약 76% 이상의 화물이 도로를 이용하여 수송되고 있는 만큼 고속도로는 화물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에서 수송되는 화물자동차 및 화물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의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스마트 제한차량 분석시스템(TCS, HS-WIM)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가능한 화물자동차통행실적(대${\cdot}$km/년), 화물수송실적(톤${\cdot}$km/년), 화물자동차 통행효율(대${\cdot}$km/km), 화물수송효율(톤${\cdot}$km/km) 총 4가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교통 통계를 활용한 구간교통량 기반 지표 산정방안과 고속도로 영업소 간 기종점교통량을 활용한 기종점교통량 기반 지표 산정방안의 장 단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고 평가 및 검증하였다. 또한 고속도로 관리자 입장에서 스마트 제한차량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간(1일, 1개월)으로 산출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e expressway of the Korea has an important role in freight movement because 76 percent of the commodity is transported by trucks. However, there has been few indices on the role of expressways regarding freight transportation and truck traff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our freight transportation related indices using ITS-related system such as TCS and HS-Wim: total truck's travel miles ($veh{\cdot}km/year$), total freight transport miles ($ton{\cdot}km/year$). efficiency of truck's travel ($veh{\cdot}km/km$), and efficiency of freight movement ($ton{\cdot}km/km$). These truck and freight related indice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by two different data sources: traffic volume data using VDS and OD data using TCS. These indices were designed to estimated on real time and updated every day and month.

      • 고온고압 증기 발생장치의 설계 및 예비운용시험

        박진수(Jinsoo Park),유이상(Isang Yu),오정화(Junghwa Oh),고영성(Youngsung Ko),김경석(Kyungseok Kim),신동순(Dongsun Shin) 한국추진공학회 2017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본 연구에서는 우주발사체의 터빈배기구 열교환기의 입구조건을 모사하는 고온고압 증기 발생장치의 개발을 위해 설계/제작한 엔진 헤드와 구축한 설비를 검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일 분사기를 설계/제작하여 수류시험을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각 단일 분사기당 설계유량이 공급되는 차압을 확인하고, 분무형태를 patternator를 통해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선정한 분사기로 엔진 헤드를 제작했으며 수류시험과 실추진제 분무시험이 진행됐다. 연소시험을 통해 유량, 압력, 연소효율 등에 대해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고온고압 증기 발생장치 개발을 위한 엔진 헤드 검증을 마쳤다. In this study, cold flow and combustion tests are conducted and analyzed to validate designed rocket engine head generating high temperature/pressure steam. At first, uni-injec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cold flow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is, differential pressure that can supply designed flow rate was confirmed. Also, Each injector’s spray pattern were confirmed by patternator. Based on cold flow test results, we selected injectors among the candidates and arranged them on engine head, and cold flow and propellant spray tests were conducted. Finally, combustion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flow rate, pressure, combustion efficiency. As a result, validation of rocket engine head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generator has been completed.

      • KCI등재

        모바일 앱 기반 신체활동증진 전략과 기술… 어디까지 왔나?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오정화(Junghwa Oh),정해권(Haekwon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1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개입이 가용한 근거기반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개인수준 또는 인구집단수준에서 실천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입전략에 대한 관심이 학계와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증진 캠퍼스 구축의 일환으로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증진 개입전략 연구 및 적용 기술현황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건강증진행동 모형, 모바일 기반에서의 신체활동 개입 전략, 모바일 앱의 신체활동증진 개입콘텐츠 그리고 체계적 문헌분석(SR) 수준에서 모바일 앱 적용의 평가적 연구 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최근 모바일 앱은 신체활동이 발생하는 정황(context)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설득기술의 개발 적용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정밀한 위치기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 패턴 또는 프로파일을 개입전략에 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모바일 앱 적용에서는 개인 수준, 개인 간, 지역사회 또는 인구집단 수준 그리고 생태적 환경간 복잡성의 상호작용관계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진보하고 있는 기술영역에서의 부담(burden)을 어떻게 최적화하느냐가 관건이다. 개인수준 정보수집의 범위와 한계, 다양한 학문영역과 현장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업 기반 확보는 모바일 앱 기반의 신체활동 개입전략의 시작이자 마지막 관문이 될 수도 있다. Based on evidence-based information,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have been implemented in individual and population levels. Further academic and market areas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mobile de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existing intervention studies and technologies applied to the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using mobile applications that would be a key element for building a healthy campus. This study introduces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are based on a health promotion model and mobile technologies and examples of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Moreover systematic review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 applied interventions also ar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mobile technologies has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a persuasive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a context recognition in which physical activities occur and has utilized users’ physical activity patterns or profiles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mplex interactions within an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intrapersonal, interpersonal, community, and population levels. Also, it is critical to optimize a burden regarding the advanced technology area. The biggest challenge for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would be resolving a feasibility issue on data collecting of personal-level information and securing an involvement of multidisciplinary experts and stakeholders and their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intervention.

      • KCI등재

        초고속 비행체를 위한 준 자유흐름식 고공환경 모사시험설비의 상온시험 및 내부유동 해석

        이성민(Seongmin Lee),유이상(Isang Yu),최지선(Jiseon Choi),오정화(Junghwa Oh),신민규(Minkyu Shin),고영성(Youngsung Ko)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비행체 고공환경 모사시험 설비의 운용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모델의 형상변수에 따라 상온시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모델의 형상변수로는 폐색율, 각도 및 길이 비를 고려하였다. 폐색율은 경사충격파와 팽창 팬의 영향으로 40%이상의 영역에서 운용이 제한될 것으로 판단된다. 각도의 변수는 강한 충격파의 영향으로 45도 이하의 크기에서 모델을 선정해야함을 확인하였다. 길이의 변수는 모델직경대비 8배의 길이 변화에도 성능의 차이가 없었다. 최종적으로 원뿔형 시험 모델의 형상 변수에 따른 성능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였으며, 준 자유흐름식 고공환경 모사설비의 운용 가능한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old test and the numer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hape parameters of the test model in order to confirm the operation range of high 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test facility for the supersonic vehicle. The blockage ratio, angle and length ratio were considered as the design parameters. The blockage rate is expected to be limited in the region of more than 40% due to the normal shock and expansion fan. It was confirmed that the angle of model should be selected at the size of 45 degrees or les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rong shock wav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lengths of 8 times the model diameter. Finally, we obtained the performance database according to the shape parameters of the conical test model and confirmed the operable range of the semi-freejet type high 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test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