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영어 모음 체계의 몇 가지 지역 방언적 차이

        오은진,Oh, Eun-Jin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vowel system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and to discuss some of its phonetic variations due to regional differences. Fifteen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from various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produced the monophthongs of English. The vowel duration and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c] and [a] has been merged in most parts of the U.S. except in some speakers from ea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the U.S., resulting in the general loss of phonemic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The phonemic merger of the two vowel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relatively small functional load of the [c]-[a] contrast, and the smaller back vowel space in comparison to the front vowel spac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F2 frequencies of the high back vowel [u] were extremely high in most of the speakers from the eastern region of the U.S., resulting in the overall reduction of their acoustic space for high vowels. From the viewpoint of the Adaptive Dispersion Theory proposed by Liljencrants & Lindblom (1972) and Lindblom (1986), the high back vowel [u] appeared to have been fronted in order to satisfy the economy of articulatory gesture to some extent without blurring any contrast between [i] and [u] in the high vowel region.

      • V-to-C Coarticulation Effects in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A Locus-equation Analysis

        오은진,Oh, Eun-Ji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2007 말소리 Vol.63 No.-

        Locus equation scatterplots for [bilabial stop + vowel] syllables were obtained from 16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Russian speakers of English and English speakers of Russian exhibited modifications towards respective L2 norms in slopes and y-intercepts. All non-native locus equations generated exhibited linearity. Accordingly, the basic results reported in [17] were reverified by securing a larger subject base. More experienced speakers displayed better approximations to L2 norms than less experienced speakers, indicating the necessity of perception- and articulation-related learning for allophonic variations due to adjacent phonetic environments.

      • KCI등재

        간호대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오은진 ( Eun Jin Oh ),강향숙 ( Hyang Suk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간호대 신입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시, J시 소재 간호학과 2곳의 신입생 190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으로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자아존중감, 간호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 자아존중감, 간호학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8.8%였다. 따라서 간호대 신입생들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해 간호사 이미지 형성이 중요하며, 자아존중감과 간호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 개선 및 학과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간호사 이미지가 낮은 간호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to enhanc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0 freshman attending two nursing departments in G city and J city.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2017 to May 20, 2017.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lf-esteem and nurse’s imag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nurse’s image, self-esteem, nursing satisfaction, and explanatory power was 38.8%.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mage of nurses and self-esteem and nursing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freshman.

      • KCI등재

        모음 공간의 크기 및 모음 변화에 대한 화자 성별의 효과: 한국어의 경우

        오은진 ( Eun Jin Oh ) 한국현대언어학회 2012 언어연구 Vol.28 No.3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vowel space size and vowel changes in Korean. Nine male and nine female speakers of Seoul Korean read [CVt] (C = [p, t], V = [i, e, ε, w, A, a, u, o]) in a carrier sentence. Female speakers demonstrated larger vowel spaces than male speakers as measured on the Hertz, Bark, and normalized Bark scales.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displayed an overall raising of vowels compared to Yang (1996), The gender difference in F1 values was larger in the low vowel [a] than in high vowel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F2 was larger in front vowels than in back vowels. Due to the fronting of [u] and the backing of [w], the overlap in F2 between [w] and [u] was considerable both in male and female speech. Due to the raising of [o], the overlap in F1 between [u] and [o] was also considerable. The merging of the vowels [e] and [ε] in Seoul Korean has been completed. Finally, there were indications that female speakers are leading changes in the vowel system of contemporary Seoul Korean as posited by Labov (1990).

      •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Ⅰ)

        오은진(Eun-Jin Oh),신선미(Sun-Mi Shin),장희영(Hee-Young Jang),김미숙(MeeSouk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initially planned as a two-year general project with the first year(2016) project focusing on the job training system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which has fac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are as follows: - This research aims at discovering the identity of NCS-based job training for women in the middle of the changes in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along with the complaints from middle-aged and older female trainees about completing NCS-based programs and areas for its improvement. -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outcome we might expect from the system in terms of the transition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to the labor market. - To conduct this research, a number of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such as analysis of administrative DB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r those related to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r those who completed training programs, and on-site visit to job training institutions. Ⅱ.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NCS a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through Tomorrow Learning Card training program □ In this chapter, we used the HRD-Net materials to collect data on job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ir trainees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5. The data was analyzed by region and gender and on the difference in training periods between the NCS-based trainees and non-NCS trainees, the difference in training cost and employment rate. -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training of the unemployed showed that NCS-based training took up a mere 21% in that area in 2015. - Females accounted for 73% of “Voc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Account” trainees and women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than men in all types of occupation. - The overall employment rate is 39%(men: 39.4%, women: 38.8%). - Regarding the employment rate of those who completed the NCS-based training courses by gender, females posted a relatively higher rate than males with 37.4% while males recorded 36.7%. When it comes to those from non-NCS programs, men were 40.2% while women showed 39.7%, indicating that non-NCS courses were more helpful in getting a job for both genders in 2015. □ Regarding NCS operation rates by the type of occup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and office jobs recorded the highest proportion for both NCS and non-NCS-based training. Those areas have most aggressively introduced and applied NCS from 2015, accounting for 40% of the overall NCS-based training programs. In addition, food service-related job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both NCS and non-NCS. This demonstrates that female-friendly job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unemployed, and these programs have already been in transition to NCS-based courses.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2개년도의 일반과제로 기획되었으며 2016년 올해는 1차년도 과제로 NCS의 도입으로 인해 가장 큰 변화를 맞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직업훈련체계에 대해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질문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중·장년 대상의 직업훈련체계 변화 속에서의 NCS기반 여성직업훈련의 정체성과 중·장년 여성들이 NCS기반 훈련과정을 이수할 때 겪을 애로점 및 개선점, 그리고 향후 이 제도로 인해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에 어떤 구체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실질적 현황을 알 수 있는 행정 DB 분석, 직업훈련기관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직업훈련 수료생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그리고 직업훈련현장방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Ⅱ. 여성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현황 1. 여성 고용의 특성 □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2014년 56.9%, 2015년 57.9%로, OECD국가의 2014년 여성 경제활동참여율 62.8%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여율을 보면, 전체적으로 여성 경제활동이 30대에 멈췄다가 40대 이후에 다시 시작되는 경력단절현상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여성과 남성의 고용률은 약간 상승했으며, 여성 실업률은 상승한 반면 남성의 실업률은 하락했다. 특히 중·장년 여성의 고용률이 과거 5년 전보다는 좋아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과거 대비 고용사정은 여성에게 나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남녀 간 고용률 격차는 여전히 20% 이상 차이가 난다. - 전 직종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고 있으며, 2015년 여성의 임금은 남성 임금의 62% 수준에 불과하다. 2010년 63.9%보다 오히려 임금격차가 증가하였다. - 2010년과 2015년, 여성이 대체로 많이 분포하는 산업은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이다. 남성의 경우 대체로 여성보다는 전 산업에 골고루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제조업, 도소매업, 건설업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여전히 여성은 미래 부가가치가 적은 산업에 집중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국내 직업능력개발지원제도의 현황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한 실업자의 취업훈련 요구를 감당하기 위해 정부는 훈련공급자 중심 정책으로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운영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전달체계는 훈련참여율 저하, 참여기회 양극화, 산업현장과의 괴리 등 여러 문제를 낳았다. 이에 “훈련생의 훈련선택권 확대, 훈련시장 활성화, 훈련의 질 제고” 등을 목적으로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도입되었다. - 직업능력개발계좌제를 통해 과거 물량배정제보다 훈련과정이 증가하고 훈련생 선택의 폭이 확대되어 “훈련생 만족도 증가, 중도탈락 감소” 등의 성과가 있었으나, 훈련의 질에 대한 우려를 낳았고, 훈련참여자의 선택권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훈련수요가 잘 반영되지 못하고, 훈련희망자들이 선호하는 일부 직종의 훈련과정으로 편중되는 등 결국 훈련의 취업성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 이에 2014년 정부는 “직업훈련의 산업현장성(NCS) 강화” 및 “품질관리 효율화”를 통해 직업훈련의 성과를 제고하겠다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체계 개편방향을 밝혔다. 최근 직업훈련을 “성과 지향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정부의 개편방향은 더욱 강화되어, 취업률 70% 이상 훈련직종은 “우수직종”으로서 훈련생 자부담이 최소화되고, 취업률 35% 미만 “저성과 직종”은 자부담 수준이 80%까지 증가한다. - 또한 정부는 2016년부터 NCS 활용이 가능한 직종(과정)에는 NCS를 전면 적용하며, 취업성과가 높은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장기 훈련을 활성화하고 대부분 3개월 미만인 계좌제 훈련은 축소하는 등 실업자 훈련을 개편하고 있다. - 아울러 정부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부터 정부지원 훈련 위탁자격을 인증하는 ‘훈련기관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인증유예를 받은 기관은 1년간 훈련시장 진입이 차단되며, 2017년부터는 성과(취업률, 수료율 등) 중심 평가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 청년층이 주요 대상이고, 장기 훈련이며,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으로의 취업률을 기준으로 취업성과가 우수한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내일배움카드 훈련은 축소한다는 정부의 개편방안은 상대적으로 경력단절여성, 중·장년 여성들의 직업훈련 참여를 제한하게 될 우려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 자아개념의 구조모형: 생태체계모형을 기반으로

        오은진 ( Eun Jin Oh ),성경미 ( Kyung Mi Su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1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4 No.2

        Purpose: The study aimed to validate a structural model of self-concep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5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417 childr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a phantom variable approach were used to assess construct validity and relations between model variables. Results: Goodness of fit indices of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the standardized χ<sup>2</sup> (2.75), RMR (.02), RMSEA (.07), NFI (.90), TLI (.92), CFI (.94), GFI (.89), and AGFI (.87), met criteria.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problem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elf-concept, wherea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accounting in combination for 53% of the variance in self-concep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mental health problem mediated the relationships of self-concept and parenting stres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진로성숙태도,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오은진 ( Oh Eun Jin ),공정현 ( Kong Jeong Hy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S시 소재 2곳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50명 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은 3.57(±0.42)점, 진로태도성숙은 3.14(±0.34)점, 전공만족도는 3.79(±0.54)점이었고, 감성지능은 전공만족도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원동기, 감성지능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7.4%이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감성지능이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nursing departments in J and S citi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2, 2016 to October 30,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3.57(±0.42),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3.14(±0.34), and the major satisfaction was 3.79(±0.54). The nursing students`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7.4%.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s for students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오은진 ( Eun-jin Oh ),김소연 ( Soyeo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분석 범위를 `청년층`으로 한정하여, 그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1-4차 자료(2007-2012년)이며,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양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차년도 자료에서 직업력 정보, 특히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20-34세의 청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4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 중, 경력단절 여부와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에 적합한Andersen Gill Model을 적용하여, 경력단절이라는 사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위험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은 종사하는 일자리의 사업체 규모가 100인 이상의 대규모인 집단에 비해, 10인 미만의 소규모일수록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약1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를 반영한 일자리 유형별로는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와 같이 전일제나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이 불리한 경우, 경력단절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경험에 의한 경력단절 위험률도 확인되었다. 청년층 기혼여성들은 비혼여성에 비해, 경력단절 위험률이 약 14배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 청년층 여성에게는 경력단절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료의 여성 응답자들이 기재한 자녀의 출생년도와 경력이 단절된 시점간, 혹은 경력유지자의 경우 관찰시점 간의 검토를 통해, 출산 시기 전후 1년 동안에 겪는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현행 경력단절 여성 대상 정책이 청년층의 임신, 출산 이전 시점에서의 경력단절 예방 정책으로서는 미흡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함의한다. 노동시장에 초기 진입한 청년층 여성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할수록,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를 경험할수록, 동시에 결혼을 경험할수록 경력단절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성이 중간관리자로 성장하기 전에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현상에 대한 개선정책과 심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rkplace condition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discontinuit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is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1-4 data collected between 2007 and 2012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lso,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into the pattern of young women`s caree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unemployment), the analysis was centered on young women at age of 20 to 34 who has documented career records from the beginning of the career.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dersen Gill Model, one of the survival analysis methods, was chosen as a right approach considering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change or the duration of career continuity to identify main factors of career continuity (the employed) and unemployment or career change. The analysis indicates that female youth who worked for a small busines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re 1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discontinuity than the counterparts who worked at a large scale of business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However, young female part-timers or casual workers who do not have much job privilege a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Additio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marriage status affects job discontinuity; married women in youth have 14 times higher possibilities to put a halt to their career than unmarried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getting married can undermine the career continuity of female youth, evidenced by the birthdate of Female respondents` children roughly coincides with the time at which they left the labor market. In contrast, the childbirth does not seem to have a substantive impact on the females` job discontinuity based on the data of women`s job status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ir childbirth, suggesting that the current policy designed to support women`s career does not play an effective role in preventing women from forsaking their career due to marriage.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s for young women.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 women woul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job discontinuity when their jobs are not secure and stable as a part-timer and casual worker and as they experience their one of the major life events;marriage, it is imperative that the policies be made to prevent women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 before they become a middle manag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