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형을 활용한 동그라미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은주(Eun-Ju Oh),방요순(Yo-Soon Bang),손보영(Bo-Young Son),황민지(Min-Ji H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인형을 활용한 동그라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 및 대상은 2016년 10월 5일부터 2017년 1월 27일까지 G광역시 N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적장애 청소년들로, 3명이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상자들은 가정(거실)(거실)과 학교(교실)(교실) 및 복지관의 지역사회 환경 및 사회적 구조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 및 가치, 역할을 명확히 지각하였고, 가족, 친구, 선생님 등과의 친밀함의 정도와 상황 및 맥락에 따라 성적 개념 및 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였으며, 사회에서 허용 가능한 신체접촉의 정도를 인식하고 분명히 표현함으로써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관련 있는 사회적 구조 내의 타인의 존재에 대한 중요함을 지각하고 대하는 자세 및 마음가짐을 바르게 가짐으로써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인형을 활용한 동그라미 프로그램은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으로 인해 대인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갖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을 바람직한 사회화 과정으로 촉진시키고 적응시키는 실효성 있는 교육 및 훈련이기에, 현장의 관련 전문가들의 중재적 접근방법으로 사용을 권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sing a doll with the Circles program on the social-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period was October 5, 2016 through January 27, 2017, and the subjects included thre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visited the N. welfare center in G. City. The subjects’ inappropriate social-sexual behaviors were effectively reduced when they perceived their identity, value, and role clearly in community settings and social structures (home, school, and the welfare center); understood the correct sexual concept and attitude based on the situation, context, and the degree of closeness; and recognized the level of acceptable physical social contact and expression. The subjects also buil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en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others’ existence in relation to the social structure and had the right mind and attitude. Thus, using a doll with the Circles program was effective in educating and traini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difficulty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inappropriate social-sexual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related practitioners use the program as an intervention approach.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걱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은주(Eun Ju Oh),정경숙(Kyeong Sook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걱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3.22±0.57점, 자아존중감 3.04±0.53점, 걱정은 3.12±0.75점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7, p<.001), 걱정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9, p<.001)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걱정, 성적과 간호학 선택 동기였으며 48.8%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걱정 정도를 확인하여 중재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anxiety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7 nursing students who lived in B metropolitan a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to December 20, 2019. The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 of students adapted to college life was 3.22±0.57, and that of self-esteem and anxiety were 3.04±0.53 and 3.12±0.75, respectively.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udents" self-esteem (r=.67, p<.001) and anxiety (r=-.39,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were self-esteem, anxiety,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choose nursing science, and it explained 48.8% students"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self-esteem by checking the anxiety level.
집적 영상에서 시점 영상 배열 변환에 기반 둔 요소 영상 압축
오은주(Eun-Ju Oh),유훈(Hoon Yoo) 대한전기학회 2020 전기학회논문지 Vol.69 No.1
This paper proposes a compression method for elemental images based on the view image array transform in integral imaging. As three-dimensional images start to get attention, the integral imaging as an three-dimensional imaging method has been studied actively. Elemental images have a large amount of data since they offer lots of different view points than regular images. For this reason, studies on pre-processing and compression for elemental image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mpression method for elemental images based on view image array. An experiment is conducted to evaluate our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the elemental image compression.
오은주(Oh, Eun Ju),엄기준(Um, Ki Ju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변화 과정 속에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발생, 변화되어온 도심지 공간을 문화적, 기호학적 측면에서 분석, 고찰하여 주제 공간 속에 있는 문화적 요소들의 기호학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함의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 고찰의 방법으로서는 먼저 기호학의 이론적 배경과 적용될 기호 모델을 살펴보고 주제 공간의 통시적, 공시적 고찰을 통해 문화 발생과 생산지로서의 주제 공간의 시간적,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며 주제 공간의 문화 기호학적 요소를 그 특성에 따라 각각의 계열체로 분류하였다. 이 같은 작업의 원인은 문화 생산지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발생지로서 도시공간의 위상을 확인하며 인간과 공간의 상호 역학적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 같은 고찰의 결과로 도시공간의 사회 문화적 포지션을 재확인하고 문화 인큐베이터로서의 도시공간이 인간 생활에 끼치는 영향력을 예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꿈을 현재의 도시공간에 접목시켜 인간과 더욱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는 도시공간, 인간 본질을 회복하는 도시공간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and considers urban space that has been created and changed in time and space in the process of change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cultural and semiotic aspects. As a method of consideration, we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miotics and the symbol model to be applied, and then understand the tempo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space as a place of production and the cultural symbolic elements of the subject space through the poetic and synchronic examination of the subject space.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it was classified into each series. The reason for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cultural space and ideological origin of urban space in which we live, and to derive the inter-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As a result of this consideration, I would like to reconfirm the sociocultural position of urban space and illustrate the influence of urban space on human life as a cultural incubator. And we want to reconsider the urban space to combine the expectations and dreams of the future we imagine with the present urban space to contribute to achieving an urban space that interacts more actively with humans, and an urban space that plays a role in restoring the human essence.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대한 시각스캐닝훈련, 팔 활성화 훈련, 시각스캐닝 및 팔 활성화 병행훈련의 중재효과
오은주(Eun-Ju Oh),방요순(Yo-Soon Bang),김희영(Hee-Yo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대한 시각스캐닝훈련, 팔 활성화훈련, 시각스캐닝 및 팔 활성화 병행훈련의 중재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2012년 2월 20일부터 4월 13일까지 재활요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연구 조건에 부합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무작위 분류하였고 각각 10명으로 구성된 시각스캐닝훈련(VST), 팔 활성화훈련(AAT), 시각스캐닝 및 팔 활성화 병행훈련(VSAAT)을 제공하였다. 중재 전과 후, 대상자들의 편측무시 과제에 대한 수행 및 일상생활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시지각 과제에서 반응점수는 세 그룹 모두 증진되었고, 특히 VSAAT가 높은 증진을 보였다. 수행점수는 VSAAT와 VS가 증진을 보였고, 특히 VSAAT가 높은 증진을 보였다. 일상생활에서의 편측무시는 AAT와 VSAAT가 유의한 증진을 보였고, 특히 VSAAT가 높은 증진을 보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intervening effect of vision scanning training(VST), arm activation training(AAT) and vision scanning with arm activation training(VSAAT) on unilateral neglect of stroke patient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0th to April 13th, 2012. Each group received VST, AAT and VSAAT for 30 minutes, 5 days a week. The changes of subject"s status of unilateral neglect were measured at 2times(initial, final term). In response scor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nd especially VSAAT showed most significantly improved. In performance score, VSAAT and V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VSAAT showed most significantly improved. In improvement in degree of negl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AT, VSAAT showed improvement Especially VSAAT is a useful strategies than AAT.
‘동그라미(Cireles)’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회(Social)-성(Sexuality)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의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오은주(Eun-Ju Oh),방요순(Yo-Soon Bang),황민지(Min-Ji Hwang),손보영(Bo-Young Son),방주희(Ju-Hee B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동그라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아의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개별사례연구(single subject study)의 중재비교 설계를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10월 5일부터 2015년 12월 18일까지 12주, 총 26회기로, 중재는 주 2회, 회기당 40분씩, 일대일로 진행하였다.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 빈도에 대한 측정은 작업치료사와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대상자들의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의 변화는 기술통계 및 그래프를 이용한 시각적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동그라미" 프로그램 적용은 성교육비디오 시청보다 대상자들의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실제 지역사회에서 적절한 성-행동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색깔 ‘동그라미"의 시각적 단서 및 메시지는 대상자들을 가치 있는 성적 존재로 인식하게 하였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상황을 구분하게 하여 적합한 사회-성 행동을 구조화할 수 있게 촉진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작업치료사에 의해 제공되는 적극적이고 일관성 있는 피드백과 실제 환경에서 필요한 사회성-행동에 대한 지도는 전이를 유발시키는데 조직적 지원이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ircles" program on inappropriate social-sexuality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is, treatment comparison design of single subject study was used. The study period was 12 weeks with 26 sessions, from October 5 to December 18, 2015. All subjects were provided the intervention for 40 minutes, two times a week, man to man.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subject’s mother, main caregiver of a subject, observed and recorded frequency of the target sexual behaviors. Descriptive statistic and visual analysis using graph was used for change of the target sexual behaviors. As a result, their inappropriate target sexual behaviors were decreased by the "Circles" program effectively more than watching sex education video. Besides, the program enabled transition of the appropriate sexual behavior to real community. The subjects were able to realize that they are worthy sexual being and classify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through visual cues and messages of the colored circles. This facilitates structuralization of appropriate social-sexual behaviors. Also, it was considered that active and consistent feedback and guidance about actually needed social-sexual behavior provided by occupational therapist and mother were organizational support triggering transition.
보건계열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주은솔(Eun-Sol Ju),방요순(Yo-Soon Bang),오은주(Eun-Ju 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를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도 B군에 위치한 C대학교 보건계열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이수한 180명의 대학생들이다. 3월 2일부터 5월 29일까지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연구를 위한 설문지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누락이 있는 것을 제외한 총 16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평균은 3.99점, 진로결정수준의 평균은 3.33점, 임상실습만족도 평균은 3.71점이었고,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높았다. 따라서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여야 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related fields with their major and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jects were 180 college students who had completed clinical practice as part of their healthcare-related majors at C University in A-gun, B-do Province. Their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2 and March 5, 2020; 16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Questionnaires with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showed a mean of 3.99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3.33 points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3.71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produc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also present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ealthcare-relat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with clinical practice should be enhanced to increas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