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매도의 과세체계 개선방안 연구

        오윤,임동원,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학 연구 Vol.38 No.4

        From 2023, the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a full tax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income’, but taxation on the short sales is not included.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tax that the taxation should be given where income is located and the taxation of short sal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Korea also needs to tax the gains from the short sale by individuals. In this study, three methods of taxation of the short sale were proposed. First, the taxation plan for stock transfer income is a method that can be taxed by integrating the gains and losses from the short sale with the gains and losses from stock transfers, emphasizing the fact that it can be viewed as a gain from the transfer of stocks. Second, as for the taxation method on derivatives transfer income, it is easy to regulate the taxation of gains and losses resulting from a series of the short sale repayments because the rules on derivative transfer income use the concept of ‘accounted for by a transaction or act’. Third, the taxation of other income is that it is difficult to view the gains from the short sale as stock transfer income or derivatives transfer income, but it should be taxed as other income in terms of justification for taxation. In conclus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ation system in 2023, short-selling gains and losses should be included as a type of derivative transfer income among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his is because it may confuse taxpayers to tax other income as necessary for taxation at a time when financial investment income is implemented with more than one year left. 2023년부터 정부는 전면적인 ‘금융투자소득’과세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공매도에 대한 과세는 포함되지 않았다. 소득 있는 곳에 과세하여야 한다는 과세형평주의 원칙과 주요 외국의 공매도 과세사례를 볼 때 우리나라도 개인의 차입공매도에 의한 이득을 과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 과세방안을 세가지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주식양도소득 과세방안은 외관상 주식을 양도하여 얻는 이득이라고 볼 수 있는 점을 중시하여, 공매도손익을 주식양도손익과 통합하여 과세할 수 있는 방안이다. 두 번째, 파생상품양도소득 과세방안은 파생상품양도소득 규정이 ‘거래 또는 행위로 발생’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일련의 차입공매도상환에 따른 손익에 대한 과세를 규정하기 용이하다. 세 번째, 기타소득 과세방안은 공매도손익을 주식양도소득이나 파생상품양도소득으로 보기 곤란하지만 과세당위성 측면에서 기타소득으로 과세하자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23년 금융투자소득과세제도의 시행과 함께 공매도 손익을 금융투자소득 중 파생상품양도소득의 한 종류로 편입해야 한다. 금융투자소득의 시행이 1년여 남은 시점에서 과세상 필요에 따라 다른 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공매도에 의한 손익은 자본자산의 처분에 의한 손익이기는 하지만, 미래가격변화에 대한 투기적 투자활동에 의한 소득이라는 점에서 파생상품소득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파생상품양도소득규정이 공매도손익을 규정하기 쉽고 비용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Beneficial Ownership 개념과 실질과세원칙의 관계

        오윤 한국세법학회 2010 조세법연구 Vol.16 No.1

        The fact that the specific level of tax rate applicable to a taxpayer is varied from taxpayer to taxpayer makes it important to determine to whom an economic activity is substantially attributable for taxation purpose. In this regard the substantial attribution doctrine should be considered at first for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of domestic tax laws in Korea. Along with the above doctrine the beneficial ownership concept has to be applied to a non-resident taxpayer from a country with which a tax treaty is concluded. A routine tax treaty has provisions that the preferential tax rates in them may be applied to a non-resident from the counter-party country only if he is a beneficial owner of the pertinent income. Such restriction is put on interest income, dividend income and royalty income. The concept of beneficial ownership is not defined in any official laws or regulations of sovereign countrie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ough parti- cles of its meaning may be found in sporadic tax court decisions or tax authorities' opinions. The difficulties originating from such uncertainty are aggravated by the intertwining between the beneficial ownership concept and the substantial attribution doctrine. Especially when the judicial precedents do not show consistency as to which of the legal substance or the economic substance is to be respected, which would be the right picture of Korea's situation, such uncertainty is strengthened. In this article the author analyzed such problems from various aspects and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y are not to be resolved without radical changes to the current tax law system. As one of such radical changes we may think of a taxation system under which foreign-source capital income is not taxed and domestic-source capital income is taxed at a single tax rate by withholding. But a rather more realistic way to lessen the uncertainty in the application of the beneficial ownership concept and the substantial attribution doctrine will be to improve the current prior approval of the application of a tax treaty in the Corporate Tax Law and the advance ruling which is issued by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Tax Service. 어떤 경제적 현상에 따른 납세의무를 누구에게 귀속시키는가 하는 것은 적용할 세율이 귀속되는 자의 속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주로 문제된다. 이 주제는 자본소득에 대한 과세상 주로 문제된다. 국내세법의 적용에 관해서는 일부 예외가 있지만 납세의무의 귀속에 관해 실질귀속원칙이 지배하고 있다. 국내세법의 규정과는 일응 무관하게 조세조약이 체결되어 있는 국가의 거주자에 대해서는 수익적 소유 개념이 적용된다. 수익적 소유의 개념이 주요 국가의 조세조약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그것의 의미와 집행방법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조세조약을 적용하기 전 원천지국의 과세를 결정함에 있어 국내세법상 조세회피방지규정 혹은 실질과세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그런 원칙의 내용이 분명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더욱 큰 혼란이 나타나게 된다. 본고에서 연구자는 이와 같은 현상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이는 현행의 규범 체계하에서는 단시간에 해결되기 곤란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자산소득에 대한 과세를 단일세율에 의한 원천징수로 하는 제도의 개혁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달성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절차적인 관점에서 법적 안정성을 높이는 사전승인 및 세법해석 사전답변제도를 보완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금융소득종합과세 개선에 관한 연구

        오윤,임동원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와 회계저널 Vol.14 No.1

        2001년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지 12년이 되어 가고 있다. 자본이 축적됨에 따라 실물소득보다는 금융소득이 세수조달창구로서 그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실물소득과 금융소득에 대한 과세상 달리할 점은 없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과 제도가 있다. 현재 우리는 금융소득과세의 특수성을 감안하면서도 우리 환경에 적합한 제도를 모색할 필요성에 대해 사회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문제는 우리에 가장 적합한 것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의 도출이 될 것이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범주의 설정은 실질적 형평의 제고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과거 부부단위 합산으로 종합과세의 인적 범주를 설정하던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 종합과세기준금액을 낮추려 한다면 단계적인 접근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천만원으로 낮춘다면 종합과세대상 납세자는 소폭 증가하면서 적지 않은 세수증가가 기대된다. 조금 길게는 종합과세의 물적 범주도 확대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액주주의 주식양도차익도 소득과세의 대상에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금융소득은 인적 귀속을 가리기 용이하지 않다고 하여 mobile income이라고 한다. 이런 특성을 중시하는 것이 최근 주요 국가들의 제도적 움직임이다. 우리의 형편상 그와 같은 움직임과 다소 다른 방향으로 가려한다면 그 지향성을 보다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질적 형평의 관점에서 현행 금융소득과세제도가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비교과세제도로 금융소득을 다른 종류의 소득에 비해 중과하는 점, 금융소득의 규모만으로 종합과세여부를 판단하는 점 및 금융소득자에 대해서는 필요경비의 공제를 인정하지 않고 자본손익의 통산범위를 제한하는 점은 수평적 형평에 배치되는 측면이 있다. 낮은 금융소득자들에게 분리과세만 인정하는 것은 수직적 형평을 저해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배당세액공제 대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자소득의 규모를 고려하는 것은 조세의 중립성을 저해한다. 이런 점들에 대한 제도개선은 우리의 납세의식 및 행정여건을 보아가면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그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In the year 2001, the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was implemented in earnest and is being applying for twelve years. As the capital is accumulating, the financial incom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object income for the raising source of taxation. There are many theories and system about how to tax on the object income and the financial income. Currently, we have formed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need to seek an appropriate system for us, considering a specialty of Financial Income taxation. The matter will draw a agreement about what most appropriate system is. The setting range of the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s to improve a substantive equality. If it is lowering a threshold amount of the Global taxation has increased relatively as compared with that time setting range for couples jointly, it is desirable to phase in. If it is lowering a threshold amount by thirty million won, the taxpayers of the Global taxation increases slightly and the tax revenue increases considerably. Furthermore, the material range of the Global taxation have to expand. In addition, a taxable income have to include a capital gain of minority shareholder who has listed stock. Financial income is called 'mobile income' because it's hard to identify the personal attribution. In recent years, World's leading countries set a high value on these characteristics. If we were to go toward a different trend according to convenience, we have a need to sharpen the directivity. From the substantive equality of view, the current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s tried to improve. One is levied a heavy tax on financial income by Comparative taxation, another is judged whether it is the Global taxation by a scale of financial income, the other isn't allowed necessary expenses and so on are opposed to the horizontal equity. It is opposed to the vertical equity that the low financial income earners is granted the Separate taxation only. And it is impeded to the neutrality of tax that is judged whether it is the dividend tax allowances considering scale of interest income. The improving the system with respect to these things is necessary that improvement consider social consciousness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골프산업관련 세제개선방안

        오윤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 스포츠와 법 Vol.11 No.2

        Under the current tax laws, various types of taxes are levied on the land of golf course as well as on playing golf. Among them individual excise tax, property tax and combined real property tax which are incompatible with the tax law principles such as equity and efficiency are dealt with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individual excise tax on playing golf in a private golf course has to be abolished. It was introduced to sanction playing golf - a type of luxurious exercise in the '70's - by a special act. But nowadays golfing has become a kind of public exercise and renders lots of external economic effects rather than external dis-economic effects against which the government vows to levy individual excise tax from now on. In this aspect the individual excise tax on playing golf in a private course has to be abolished. Special heavy taxation of property tax on the developed land in a private golf course has to be withdrawn because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general principle of land taxation. The portion of preserved land in a golf course has a good reason to be taxed low because it is obliged to be held by a golf course under the law. But under the current tax laws the combined property tax is levied on the preserved land while it is not levied on the developed land, which means the preserved land is taxed more heavily than the developed land. In this sense the combined land tax on the preserved land has to be abolished. The current provisions for the valuation of land in a golf course lacks reasonableness both in theory and in reality of economic substance. The valuation provisions for the golf course has to be revised to reflect the prices of forest near to it. 현행 세제상 골프장에 대한 주요 세금으로 개별소비세와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를 들 수 있다. 골프가 이제 대중운동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개별소비세의 재분배기능에 대한 기대가 사라진 오늘날 외부불경제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외부경제가 있는 골프장서비스에 대해서는 개별소비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회원제 골프장이라고 하여 개별소비세를 부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장용 토지 중 개발지에 있어서 회원제 골프장의 경우 일반적인 토지와 비교해 보아도 - 별도로 분리하여 - 중과하는 것은 재산세 부과 본래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다. 원형보전지는 법으로 꼭 보유하도록 하면서 중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우선 개발지에 대해서는 종합부동산세를 매기지 않으면서 원형보전지에 대해 종합부동산세를 매기는 것은 원형보전지제도 및 종합부동산세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아울러 현행 골프장 지가 평가는 구체적 내용을 볼 때 이론적인 합리성을 결여하고 있으므로 소유권이 제한되고 있는 불이익을 감안하여 인근의 일반 임야 수준으로 가격을 평가하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세회피거래 사전신고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오윤,임동원 한국국제조세협회 2019 조세학술논집 Vol.35 No.1

        2015년 OECD는 BEPS Report Action 12를 통해 각국이 조세회피소지가 있는 거래를 납세자가 의무적으로 과세당국에게 신고하도록 하는 내용의 조세회피거래사전신고제도(mandatory disclosure rules, 이하 “사전신고제도”라고 한다)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 등 8개 국가가 이 제도를 이미 도입하고 있다. 본고에서 필자들은 BEPS Report가 제시하는 사전신고제도를 검토하고 그것의 도입 여부 및 구체적 도입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이 제도를 도입한 국가들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OECD가 사전신고제도를 제안한 것은 오늘날 BEPS(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의 현상이 확산하고 있는 데에는 각국의 과세당국들이 공격적 조세회피(aggressive tax planning)에 관한 정보를 제 때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크게 기인한다는 문제인식 때문이다. OECD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행정제도(administrative tool)로서 사전신고제도를 널리 보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경제의 급속한 국제화가 진행 중인 우리나라의 납세환경도 OECD가 포괄적으로 진단한 것과 동일하므로 우리나라도 사전신고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 제도는 “조세회피”를 핵심적인 개념요소로 구성되므로 그 도입에는 조세회피방지법제 전반에 적용되는 “조세회피”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조세회피” 개념의 정의 필요성은 그간 학술적으로도 적지 않게 논의되었지만 개념의 추상성과 그에 따른 법적 불안정성의 증가의 문제 때문에 현실화되지 못하였다. 2015년에 OECD가 사전신고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고 하여 “조세회피”의 개념의 입법화를 서두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 조세회피방지규정이 결여된 현행 세법 하에서 사전신고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으로서 신고대상거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신고의무자는 우선 일정 매출액 이상 대형법인 조력자(promoter)로 하고 추후 확대하며, 신고대상은 특정거래(개별적 징표를 충족하는 거래)로 한정하는 방법이다. 장기적으로는 “조세회피”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일반적 조세회피방지규정을 도입하고 그에 따라 사전신고제도를 보다 포괄적인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2015, the OECD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disclosure rule (hereinafter, “prior filing rule”) in the domestic tax laws for its member countries through publishing the BEPS Report Action 12, which obligates the taxpayer or tax intermediary to report a tax avoidance scheme to the tax authorities before its actual execution. Eight countries have already institutionalized this rule in their domestic tax laws. In this paper, the authors reviewed the recommendations given by the OECD and studied on whether Korea will be better off with this new rule if it is introduced in Korean tax laws and, if the answer is yes, on what features the new rule has to have. For this purpose, the institutional examples of the above 8 countries have also been researched. The reason why the OECD has recommended this system for its member countries is that it felt that the vastly spread current BEPS phenomena have been aggravated by the lack of effective measures wielded by the tax authorities because they cannot obtain timely information on the aggressive tax planning strategies made on the side of taxpayers. The OECD has found that the prior filing rule will do its role as an effective administrative tool decently in curtailing the spread of BEPS phenomena. The environment of tax administration in Korea of which economic globalization is astonishingly speedy has the same problems that the OECD report has found at the global level. That surely makes the introduction of the prior filing rule in Korean tax laws indispensible. The prior filing rule is built on the word “tax avoidance” as its core concept. From the logical point of view, a provision to define the word “tax avoidance” has to be provided along with its introduction to a tax law. The debate on the introduction of such provision has long been maintained in the academic arena of Korea to no avail. Such provision seems to have been understood as being very abstract and therefore increasing legal uncertainties by the majority of scholars and even policy makers. Considering such history of negative sentiment against the provision, we may not dash to introduce it, even though the OECD has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prior filing rule. Then, under the current tax laws devoid of such provision for the general anti-avoidance rule, a more realistic approach may be considered, which is a prior filing rule limiting the reportable schemes to specific types of transactions. In the longer term, we may develop a provision to define the concept of “tax avoidance” and expand the scope of reportable avoidance scheme.

      • KCI등재

        후순위사채의 세법상 취급 및 관련 이자율의 시가 결정 -외국자본의 민자도로사업 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오윤,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6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lassification and problems of the interest expense of subordinated debt with both debt and equity characteristics, taking as an example the subordinated debt that was procured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private funded roads with foreign capital participation.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repudiation of wrongful calculation provisions of the Corporate Tax Act(“CTA”) and the precedent precedents for the rationality of the subordinated bond interest rates and the adequacy of the market price, the applicability of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taxation on hybrid financial products. Since the legal form of subordinated debt is a debt but shareholders before and after the re- financing have subordinated debt, the risk and nature of it is virtu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equity before re-financing., if the interest cost of subordinated debt is recognized as a expense, it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n calculation of tax base. The problem of dividing debt and equit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a corporation finance a company in the form of debt even though it is in fact equity, it may cause tax avoidance to reduce corporate tax burde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urrent the CTA does not allow for the deduction of the interest expense paid for above the normal borrowing rate, but the nature of the regulation on the market value of the borrowing rate is not clear.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tax provision that allows interest expenses to be regarded as a disposal of retained earnings or non-deductible expenses for hybrid financial instruments whose economic substance is equivalent to equity, even though the form is debt.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regard the interest rate on overdraft as the market value of the interest rate of the money lending transaction as an exemplary safe harbor provision. Finally, as with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AIT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vision in the Corporate Tax Law that restricts the deduction of interest expense, such as the thin capitalization rule. 본 논문에서는 외국자본이 참여하여 건설된 민자도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조달된 후순위차입금을 사례로 하여, 부채와 자본의 성격이 모두 있는 후순위차입금의 이자비용에 대한 법인세법상 구분 및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후순위사채 이자율의 경제적 합리성과 시가의 적정성에대한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과 종전 판례를 검토한 후, 혼성금융상품에 대한 세법상구분에 대한 실질과세원칙 적용 가능성 및 조세회피방지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민자도로 후순위차입금의 법적 형식은 부채이지만 자금재조달 이전과 이후 동일한 주주가 후순위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후순위채의 리스크 및 성격은 자금재조달 이전의 자본과 실질적으로는 차이가 거의 없어 경제적 실질은 자본에 가깝기 때문에 후순위차입금의 이자비용을 손금으로인정할 경우 과세표준 계산에서의 실질과세원칙에 위배된다. 이러한 부채와 자본의 구분문제는 법인의 지배주주가 실질은 자본임에도 불구하고 부채의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 이자비용 손금산입을 통한 법인세 부담을 경감시키는 조세회피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행 법인세법은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에 정상적인 차입이자율을 상회하여 지급한 이자비용은 손금산입을 부인하고 있지만, 차입이자율의 시가에 관한 규정의 성격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법적 형식이 부채임에도 경제적 실질이 자본에 해당하는 혼성금융상품에 대해서는 이자비용을 이익잉여금의 처분으로 보거나 손금불산입하도록 하는 세법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인세법상 당좌대출이자율을 금전대차거래의 이자율의 시가로 보는 규정은 예시적인 안전조항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국제조세조정에관한 법률상 과소자본세제와 같이 이자비용의 손금산입을 제한하는 규정을 법인세법에 신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명의신탁재산의 증여의제 규정의 본질에 비추어 본 폐지 필요성에 관한 소고

        오윤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6 세무와 회계 연구 Vol.5 No.1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which the current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on the deemed gift taxation on the nominal owner of property deals with. The author utilized a historical approach as well as a comparative law approach for the research and finally analyzed the decisions mad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itle trust”, a legal concept which was first used by the Korean courts in the 1960’s and is defined in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and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 situation of “name borrowing” utilizing the concept of “trust action(Treuhandgeschäft)”. Historically viewed, the deemed gift taxation provision on title trust(“the DGT provision”) was introduc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proof for the levying of gift tax on the title holder of a property. The Article 32-2 of the Inheritance Act(repealed), the original provision in this regard followed by not a few successive revisions, stipulated the deemed gift taxation requirement(Steuertatbestand) utilizing the concept of “trust” borrowed from the Trust Act effective at that time. The courts denied the application of the Article 32-2 to the actual situations of “name borrowing” saying that they might not be regarded as the “trust” under the Trust Act. As a countermeasure to such an attitude kept by the courts, the government rephrased the taxation requirement of the DGT as “when the title holder is not the substantive owner”. The Article 32-2 has to be understood as having been reborn as a provision for the sanctioning of income tax evasion by the rev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termined that the current DGT provision is constitutional in that it follows the substance taxation rule because it enables the levy of gift tax as an anti-gift tax avoidance provision and it helps to prevent the avoidance of income tax by such a deemed gift taxation. Such reasoning does not make sense. Gift tax is being levied under that provision where income tax other than gift tax is evaded. The Constitutional Court further determined that the deemed gift taxation is not an excessive means for the prevention of taxes in comparison with alternative criminal sanctions. It presupposes the absence of actual criminal sanction on a situation of “name borrowing”. Contrary to that, criminal sanctions are being levied in addition to the deemed gift taxation. Such criminal sanctions here are comparable to those implemented in Germany, Japan and the U.S. The DGT provision identifies itself mistakenly as an anti-tax avoidance provision. Based on such an incorrect self-identification it stipulates that the levy of deemed gift tax is allowed once the possibility of the so-called tax avoidance is to be found. But the real target of the current DGT provision is not such an avoidance activity but an evasive activity which has to be criminally sanctioned for the actual evasion of tax. The sanction has to b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income tax evaded in reality. The DGT provision has to be revisited for its repeal because it is not a proper means for the sanctioning of the target it aims. To control the tax evasion through name borrowing and sanction it in proportion to the damages made by such an evas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Tax Crime Punishment Act is strengthened to punish all tax saving activities through name borrowing as a crime in principle. 필자는 본고에서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 2의 주식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이 제재하고자 하는 현상의 본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필자는 주로 역사적 방법과 비교법적 방법을 통해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을 고찰하고, 헌법재판소 결정을 분석하였다. 1960년대 법원판례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여 부동산실명법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명의신탁’은 신탁행위(Treuhandgeschäft) 개념을 ‘명의차용’에 대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개념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은 원래 명의자에 대한 증여세 과세상 다툼을 해소하기 위한 사실입증에 관한 규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최초의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인 구 상속세법 제32조의 2의 규정이 신탁법상 ‘신탁’의 개념을 사용하여 과세요건(Steuertatbestand)을 규정하였는데, 법원은 실제 과세된 명의신탁에 대해서는 동법상 ‘신탁’이 아니라는 논리로 그에 대한 증여의제과세를 부인하였다. 정부는 이에 대한 보완으로 ‘실질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른 경우’에는 증여로 의제하여 소득세 포탈을 제재하는 규정을 두기에 이르렀다. 헌법재판소는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이 증여세 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실질에 부합하며, 증여세를 부과함으로써 소득세 회피를 방지하는 것은 실질과세원칙에 부합한다고 한다. 소득세를 매겨야 될 곳에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실질에 맞는 것은 아니다. 또한 증여세를 과세하는 것은 조세포탈로 처벌하는 대체적인 수단에 비해 과하지 않다고 하여 「조세범 처벌법」에 의한 처벌이 없는 것을 전제로 판단하고 있다. 현행 「조세범 처벌법」은 명의차용에 의한 소득세 포탈을 원칙적으로 조세포탈범으로 처벌하고 있다. 이는 독일, 일본 및 미국에서의 제재방식에 비견되는 것이다.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은 스스로가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규정이라고 규정하면서 미래의 회피의 개연성을 제재의 고리로 삼고 있지만, 실제 동 규정이 제재하고자 하는 것은 조세포탈이기 때문에 포탈의 결과를 근거로 제재하는 것이 타당하다. 소득세 포탈액과 연관된 제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명의신탁증여의제 규정은 그것이 목표로 하는 제재대상에 대한 수단으로서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으므로 폐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명의차용에 의한 조세포탈의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그 폐해에 비례하는 제재를 가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차명을 통한 조세절약을 조세범으로 처벌하도록 「조세범 처벌법」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