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에서 희곡으로의 각색 연구

        보라미(Zoh Borami)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8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is a short story cycle by Cho Sehui, which deals with the problem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70’s. It was adapted into play and film right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novel, and lately(2007) into play and TV drama. This thesis deals with the adaptation from novel to play in case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 Small Ball- in abbreviation) in 2007. This novel is dramatic in the point that it has many dialogic scenes without intervention of narrator. Futhermore, there appears the form of a play such as ‘the name of a character:dialogue’. And the adaptation play takes these from the novel without change. The play also adapts as many parts of the novel as possible, and it also takes the cross structure of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fantasy, kernel(main event) and satellite(sub-event). And it also inherits many characters and theme of the nove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ay is the faithful adaptation of the novel. But the faithfulness of the novel results in excessive ideal feature and boredom instead of dramatic strain. Also it is found distortion of meaning when literally translated. These reveal that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can not be the criteria of analysing or valuing of adaptation. The analysis of adaptation is, then, the comparative narratology in the base of narrative analysis of original and adaptation genre. In the base of this freedom of the burden in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the transformation of context can be dealt in adapting this novel. When the play is adapted literally in the 1970’s context of the original novel, it seemed to be behind times. So keeping pace with the time the adaptation is presented needs to be considered even in the case of the intention of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Lastly, in adapting into the play, the possibility of non-verbal express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ense, the symbol of a dwarf and the space discourse in A Ball- should be applied in this adaptation.

      • KCI등재

        오태석 역사극에 나타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오태석은 1994년 〈도라지〉로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극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본고는 이 중에서 〈도라지〉, 〈천년의 수인〉, 〈잃어버린 강〉,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등 4작품을 중심으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작가의 역사관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우선적으로 주목한 것은, 오태석 역사극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실 중에는 일반인의 통념과 다른 것도 있어 오태석 역사극에 대한 섣부른 오해를 낳을 수 있는 소지 역시 있음이 발견된다. 그러나 오태석 역사극이 물론 역사적 사실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사실과 허구를 양 축으로 오태석 역사극을 놓고 볼 때, 〈도라지〉는 사실의 축에 가장 가까운 작품으로, ‘역사극’과 ‘역사 서사’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천년의 수인〉과 〈잃어버린 강〉은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되 허구적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역사적 기대지평과 허구의 관습적 기대지평이 공존한다. 그런데 이 두작품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으로 말미암아 역사왜곡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반면,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는 허구적 인물과 허구적 사건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따라서 역사 왜곡의 문제를 피해가는 것은 물론, 허구적 이야기를 과감하게 창조함으로써 작가의 역사관을 드러내는 데도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바 오태석 역사극의 성격상 가장 적합한 형태라 하겠다. 이들 역사극을 통해 작가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용서와 화해, 곧 한국 역사상 친일과 반일, 좌익과 우익의 대립을 지양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이것은 미래지향적 역사관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 때 작가가 상정하는 미래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파악될 수 있다. Oh Taeseok has presented many historical dramas since 1994 which deal with modern history of Korea seriously. Among them, this thesis treats these four plays: Doraji(도라지), A Thousand Year Prisoner(천년의 수인), A Lost River(잃어버린 강), and Pull, Ap-san; Push, Oh-geum(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Especial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tension between historical fact and imagination at first, and then examines the author's historical view. Oh Taeseok's historical play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even though the degrees of dependence are different. Doraji,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Kim Ok-gyun and Hong Jong-woo, th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is most dependent on historical facts among these works. A Thousand year Prisoner, of which the character is Ahn Du-hee, an assassin of Kim Gu, and A Lost River, which deals with the life of Ahn Jung-geun, the famous activist for independence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base on historical facts also. But these works are full of historical imagination and both the historical and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reside there. That is, protagonists of these works are historical characters, so reader/spectator of these works requires the historical expectation from these works. But some events conflict with historical facts, so charge of historical distortion arises. On the other side, Pull, Ahp-san; Push, Oh-geum, which treats the Jeju revolution in 1948, treats fictional characters and events. So reality effect depends on the custom of realism, not on the outside of the text, whereby it avoids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And that, this work creates fictional events which serves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view of the playwright. So it can be said that this form (invented historical drama) is suitable for Oh Taeseok's historical drama. After all, through these works Oh Taeseok reveals the historical view of rejecting the confrontation of pro- and anti-Japanese group, or that of the right wing and the left wing. This view can be interpreted as a historical view toward the future, and the future the playwright hopes can be seen as nationalism.

      • KCI등재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연구 1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본고는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산수유〉, 〈자전거〉, 〈운상각〉)의 구조적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 아래, 오태석의 최고작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자전거〉를 먼저 분석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자전거〉는 다른 6ㆍ25 3부작과 마찬가지로 전쟁세대와 전후세대가 골고루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두 작품과 달리 전후세대를 중심인물로 취하며, 이것은 작가 오태석이 속한 세대라는 점에서 또다른 문제성을 함축하고 있다. 플롯의 측면에서 볼 때, 〈자전거〉는 ‘명시적 플롯’ 이면에 ‘숨겨진 플롯’이 존재하는 이중 구조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쟁세대 가해자의 죄의식은 물론, 전쟁의 피해가 전후세대에까지 미친다는 6·25 3부작의 두 가지 이야기-구조가 효과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이 극에서 문둥이의 존재는 우리나라 역사상 좌익의 알레고리로 볼 수 있다. 또한, 극중에서 문둥이 일가의 이야기에 집착하는 윤서기는 허구 속 등장인물로서의 역할을 넘어 극작가 의식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자전거〉에 나타난, 6ㆍ25의 비극에 대한 알레고리적 성격은 더욱 심화된다. 또한, 절정에 이르기 직전 의도적으로 시간을 지연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방식 역시 상동적인데, 〈자전거〉에서는 특히 연극 놀이라는 비사실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Bicycle〉 in respect of the Korean War(6.25) trilogy of Oh Taeseok. The trilogy is homologous in the respects of character, plot and the way of making tension. Through this analysis, new facts about 〈the Bicycle〉 are revealed as follows: Both the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appear in 〈The Bicycle〉 as the other works of the Korean War trilogy. But the protagonist(Mr. Yoon) in 〈Bicycle〉 belongs to the post-war generation, to which dramatist Oh also belongs. The events related with the leper family in this work constructs the foregrounding plot(the overt plot), while the concealed past of Mr. Yoon's uncle who set fire on a registry during the Korean War constructs the secret(the covert plot) in this work. And the events which a bull attacked Mr. Yoon but the dead rescued him become the other secret. Hereby, 〈the Bicycle〉 can be explained as a double structure where both the foregrounding plot and the secrets reside. And that, Mr. Yoon who mysteriously attached to the story of the leper's family can be seen as the playwright's consciousness in this work. With this, the allegorical features about the tragedy of Korean War in 〈the Bicycle〉 deepens more than before.

      • KCI등재

        ‘열려진 영화론’으로 본 장선우의 <꽃잎>

        보라미 문학과영상학회 2019 문학과영상 Vol.20 No.3

        The core of A Petal is not to reveal the historical fact of 5.18 but to stimulate sense of guilt and feeling of debt of the survivors. This study deals how A Petal make the past tragedy of Kwangju present and arouse the feeling of debt through ’the Opened Film Theory’ Jang Sunwoo has proposed in 1980’s. According to it, preexistent film asks one-sided and subordinate relation between object and audience. By contrast, ’New Cinema’ lets the audience involve in the film relating objects and audience horizontally and aims at changing people and society. For this, firstly in a perspective of narrative, A Petal makes audience involve in reconstructing the girl’s traumatic affair and participate mentally in ’Uri’s journey following the girl’s footsteps; It also uses a documentary film and animation films in the middle; It speaks directly to the audience by the last narration starting from “If you see the girl~”; Director Jang himself appears in the last shot. All these devices are for a cinematic alienation effect to make the fictional event the audiences’ real problem. Secondly, the character ’Jang’ is assigned to ’a humanized camera’ functionizing a POV shot to see the girl’s confession in the cemetery. This makes the audience see the tragedy of Kwangju taking a step backward and identify with character Jang’s attitude to the girl. After the girl’s missing ’Jang’ never forgets her and imitats her last act wandering around the cemetery. This stands for the attitude not to forget and undertake the agony of Kwangju. In addition, this subject of A Petal-sympathy and responsibility of Korean history-is advanced by The Shower adapted by Jang Sunwoo in 1987.

      • KCI등재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연구 2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본고는〈산수유〉,〈자전거〉,〈운상각〉의 상동성을 보임으로써 이들 작품이 ‘6ㆍ25 3부작’으로 묶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오태석 역사극에서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우선, 위 세 작품은 인물, 플롯, 긴장 구성 방식에서 상동적이다. 여기에 나오는 인물들은 작가의 고향인 선암리를 직간접적인 배경으로 하며, 혈연 또는 지연에 의해 한 가족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전쟁세대와 전후세대로 구분되는데, 이것은 이들 작품이 ‘전쟁세대의 상처와 치유’, 그리고 ‘6ㆍ25의 비극이 전후세대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두 가지 ‘이야기-구조’를 갖는 기반이 된다. 이들 작품은 또한, 전환점 혹은 절정에서 긴장 구성 방식이 상동적이다. 즉, 여기서 극적인 장면은 순차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시간이 지연되면서 유사한 상황 혹은 대사의 유사한 구조가 반복되는 것이다. 이것은 세 작품이 피상적인 유사성을 넘어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점에서 6ㆍ25를 소재로 한 오태석의 다른 희곡들과 구별된다. 또한 6ㆍ25 3부작은 한국전쟁과 관련된 작가의 트라우마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극중에 오태석의 가족사가 투영되어 있음은 이러한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이로써 작가는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한국 근현대사의 문제에 천착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6ㆍ25 3부작은 오태석의 본격적인 역사극이 전개되는 데 발판이 된다고 하겠다. This thesis studies on the homology of Sansuyoo, the Bicycle and Unsanggak, thereby revealing that these works can be regarded as 'the Korean War Trilogy'. And also this thesis studies on the meaning of these works in regard of Oh Taeseok's historical plays. Firstly, These works are homologous in respect of character. The characters live like a family near Seonam-li, Oh's hometown. They can be divided into the two generations, which are the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Secondly, they are homologous in respect of plot. Plots in these works can be analysed as the two 'story-structure', one of which is the hurt and healing of the Korean war in respect of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the other is the negative effect of war in respect of post-war generation. Thirdly, they are homologous in respect of the way of making tension. The dramatic scenes are delayed and during that time, similar circumstances and/or similar structure of dialogue are repeated. So, these three works are very closely related, and also that is the difference of the other Oh's works dealing with the Korean War. And that, in these works there appear Oh's family, such as Oh himself(the Bicycle), his father(Sansuyoo, and his mother(Unsanggak). Thereby Oh reveals his trauma about the Korean War. After all, the Korean War Trilogy enables Oh to write historical plays dealing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fterwards.

      • KCI등재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보라미(Zoh, Bo-Ra-Mi)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8

        본고는 함세덕 희곡 <동승>과 <무의도기행>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을 고찰하고 있다. F.제임슨에 따르면 텍스트 해석은 숨겨진 지배 서사를 찾아내는 알레고리적 행위로, 이를 위해서는 텍스트의 표면보다 심층, 내용보다 형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희곡은 ‘결핍을 지닌 소년-억압적 아버지-또 다른 곳에 대한 동경’으로 구조화됨이 주목된다. 그리고 이것은 텍스트와 현실 사이에 구조적 동일성이 있다는 관점에 의거하여, 현실에 대한 환유로 해석될 수 있다. 즉 함세덕 희곡의 소년 주인공은 잘생기고 자질이 좋음에도 결손가정 태생이거나 ‘선병질’로 설정되는 등 결핍을 지니고 있는바 식민지 조선인의 환유로 볼 수 있다. 또한 소년의 ‘아버지’는 친부모와 후견인의 이중 구조를 취함으로써 ‘부모국 조선’과 ‘후견인(국) 일본’의 관계를 유비한다. 그런데 이때 소년의 욕망을 억압하는 실질적인 ‘억압적 아버지’는 후자이며 일제 말기 담론(<무의도기행>)이나 규율적 근대성(<동승>) 등 식민지적 근대성을 본질적 속성으로 함으로써, 일제에 의한 식민지배의 본질이 드러나고 그 모순이 폭로된다. 한편 이런 상황 속에 소년은 ‘또 다른 곳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는데, 이는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에서 기인하며 ‘사랑․이해․자유․생존’의 가치를 지향한다. 이것은 현실의 억압에서 벗어난 인간 해방적 가치로서, 식민지 현실을 넘어서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충동이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는 일차적으로 <동승>을 그것이 발표된 당대 현실에 적극적으로 위치시켜 해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 과정에서 삽입노래 ‘새야새야 파랑새야’는 물론 조선의 왕실과 궁궐에 대한 회고적 시선이 주목되었으며, ‘고구려 시대 도념’ 이야기에 대한 정합성 있는 해석이 가능했다. 그리고 그 결과 <동승>이 현실도피적 작품이 아니며, 식민지적 모순을 정확히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소망이 투영된 바 <산허구리>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승>과 <무의도기행>을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로 봄으로써 함세덕 희곡의 리얼리즘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고, 알레고리성이 <오월의 아침>, <심원의 삽화>에도 이어진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함세덕 초기 희곡의 리얼리즘적 면모를 구체화하고, 나아가 초-중-후기 희곡의 연속성을 밝히는 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wo of the early plays of Ham Seduk, The Young Monk (1939) and A Journey to Muido (1941), and how they represent political unconsciousness. The primary themes of these plays can be summed up as “a deficient boy, an oppressive father and a longing for another place,” and they can be interpreted as allegories of reality. In these two works, the “deficient boy” represents the people who are left behind in modern times and the coloniz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The boy’s father oppresses the boy’s natural desires, exploits his labor, and is violent to him, which represent the features of the colonial modernity in Korea; we can therefore interpret him as representing the colonizer. The “deficient boy” longs for another place, somewhere where he will be free from his current situation. This longing comes from a negative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value of the other place he pursues is “love/understanding/freedom/life,” so we can identify the utopian impulse here. These two plays can thus be interpreted as allegories and criticisms of the reality of colonization in Korea. Lastly, the view of allegorical interpretation can be applied to another plays of Ham Seduk such as One Morning in May, A Sketch of Mind. Ultimately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reveal the realistic features of the early plays of Ham Seduk and make clear the continuity of his plays.

      • KCI등재

        윤조병의 노년희곡 연구: '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ㄱ'을 중심으로

        보라미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Yoon Jo-byeong is one of the best Korean realistic playwrights. This paper deals with the old age plays of Mr. Yoon-<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ㄱ> in respect of subject and form. At first, in respect of subject, Mr.Yoon’s plays deal with the deep love of husband and wife in the old age. They are live or dead and these plays are set in this world or otherworld, through which reveal the profound love of each other. The title of these plays, ‘ㅋㄷㅋㄷ’ and ‘ㄲㄹㄲㄹ’ which imitate sound of Korean laughter and the humor in his plays reveal the positive attitude to the old age life, too. Secondly, in respect of form, these plays are written in two-hander. Two is the minimum condition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of two characters are very important in two-hander, so Mr.Yoon’s plays written in two-hander are good to search the various ways of theatrical communication: slow speaking, each character’s incomplete speech to make a whole meaning, communication through monologue and aside, dialogue considering musical effect, dialogue with objet. These experiment of theatrical communication through two-hander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 continuous search for the new form of theatre in Mr. Yoon’s plays. Also the subjet of conjugal love and the story of <ㅎoㄱ ㅎㄱ> reflect the real life of Mr.Yoon, so we can say that Mr.Yoon’s plays reveal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tial writing of old-age plays. 윤조병은 유치진, 차범석을 잇는 한국 사실주의극의 대표작가로 평가되어 왔으나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가에 속한다, 이에 본고는 <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ㅇ> 등을 대상으로 윤조병의 ‘노년에 쓴 노년희곡’을 고찰하고 있다. 먼저 이들 희곡은 부부 간의 애틋한 사랑을 주로 다루고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부부는 생자(生者) 혹은 망자(亡者)이기도 하며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시공간을 배경으로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죽음을 초월한 사랑의 깊이를 드러낸다. 또한 ‘ㅋㄷㅋㄷ’(키득키득), ‘ㄲㄹㄲㄹ’(깔깔, 껄껄 등)의 제목뿐 아니라 작품의 내용상에도 웃음 코드가 삽입됨으로써, 노년의 삶과 죽음을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려는 의지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이들 희곡은 무대 위에 2 명의 배우만 등장, 서로 간의 대화에 집중하는 2인극 양식을 취함으로써, 부부 간의 사랑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윤조병의 노년희곡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에 대한 극적인 탐구인 2인극의 특성을 살려, 연극적인 다양한 소통방식을 실험하고 있다. 느리게 말하기, 두 사람의 불완전한 대사를 합해 의미 완성하기, 독백과 방백을 활용한 소통, 음악성을 고려한 말하기 방식, 입술/손을 이용해 말하기, 오브제를 활용한 대화 등이 그것이다. 또한 느리게 말하기, 불완전하게 말하기 등은 노인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사실적 반영으로도 볼 수 있다. 이렇듯 2인극을 통한 다양한 소통 방식에 대한 실험은, 사실주의극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연극 형식을 모색한 작가의식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또한 부부 간의 애틋한 사랑이라는 주제는 물론 <ㅎㅇㄱ ㅎㄱ>에 나타난 부부의 모습은 작가 자신의 자전적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됨으로써, 실존적 글쓰기로서의 노년희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