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東北亞地域 扇形銅斧의 型式과 時空間的 樣相

        吳江原 ( Oh Kang Won ) 중부고고학회 2003 강원고고학보 Vol.2 No.0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요령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지역에서는 선형동부라고 불리우는 독특한 형태의 청동도끼가 유행하였는데, 이와 같은 류의 청동도끼는 형태는 물론 공반유물면 에서도 주변지역(내몽고,중국 내지)의 청동도끼류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요령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지역의 선형동부를 문양장식을 제1기준으로 하여 기하학문형(A형), 돌릉대문 또는 돌릉선문형(B형), 무문형(C형)의 3개형으로 대분한 뒤, 이를 다시 세부적인 문양장식 등을 제2기준으로 하여 8개형식 (AI~AIV,BI~BIII,C)으로 세분류하였다. 이외 날끝의 들린각도와 길이에 대한 상대너비를 선형동부의 시간적 속성(a~d)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보조자료로서 인식하였다. 형식간의 변천관계는, 공반유물 등을 고려할 때, a→d 속성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선형동부는 전체 5개의 공반단계로 획분된다. 제I단계는 청동제 검손잡이 등이 결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십이대영자류의 관련 청동기유물군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시간범위는 기원전 9세기 중반~8세기 중반이고, 제II단계는 청동제 검손잡이와 비파형동검을 위시한 관련 청동기유물군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8세기 중후반~6세기 전반이며, 제III단계는 앞의 유물 외에 후기북방 계유물군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6세기 중반~5세기이고, 제IV단계는 중세형동검을 위시한 관련 청동기유물군(다뉴조세문경,협봉동모…)과 철기를 제외한 전국연계유물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4세기이고, 제V단계는 요령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전국연계의 초기철기 유물요소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단계로서 기원전 3세기대이다. 단계별 공간양상은 제I단계에는 AI~AIV식과 BI,BII식중 이른 시간성을 보이는 것들(a)이 요서지역에만 배타적으로 분포하다가, 제II단계에는 이들 형식이 요동 북부, 요동 남단, 길림 중부, 내몽고 동남부의 주요 지점으로 확산되며, 제III단계에는 위의 지역 외에 새로이 한반도지역에 까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II~III단계 요서와 길림 중부지역에서는 기하학문형(A형)이 주로 제작되는 반면, 요동지역에서는 돌릉대문 또는 돌릉선문형(B형)이 주로 제작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외 요동 남단지역에서는 무문형(C형)이 지역형식으로서 새로이 제작된다. 제IV단계에는 요서지역과 요동 북부지역 등지에서 선형동부의 제작이 소멸되는 반면, 그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경우 여러 형식이 지속적으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이고, 제Ⅴ단계에는 동북아시아 전체중 길림 남부와 한반도의 일부지점에만 분포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선형동부는 청동제 검손잡이와 다뉴기하문경 등과는 달리, 제작하는데에 많은 기술과 노력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위의 청동제품 보다는 일찍부터 넓은 지역에 확산되었다. 그러나 선형동부 또한 기하학문을 장식하고자 하거나 몸체를 세심하게 가공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한 노력이 수반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청동기 제작기술 수준이 높았던 요서지역에서는 기하학문형 (A형)이 처음부터 끝까지 전형성을 보이며 제작된 반면, 요동지역에서는 몸체 각 부위의 처리가 매끈하지 않은 돌릉선문형(B형)과 무문형(C형)이 선호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점과 함께 선형동부의 제작(분포)중심이, 비파형동검, T자형검병, 다뉴기하문경 등과 함께 요서(I~II단계)→요동(IV단계)→한반도(V단계)의 순서로 변천한다는 점 또한, 요령~한반도지역 청동기문 화의 전개와 관련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called fan - shaped bronze ax had been widely liked in Northeast Asia centering around Liao - Ning from Bronze Age to Early Iron Age, and the these types of the bronze ax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spect of assemblage as well as of shape, with bronze ax types in the neighboring regions including Naimongo and China. In this study, firstly I classified fan - shaped bronze ax in Northeast Asia centering around Liao - Ning into three types base on the engravings as the first standard in a large way; Geometric pattern (Type A), Dolleungdae (an embossed rising belt) or Dolleungseon pattern (an engraved pattern) (Type B) and no decoration pattern (Type C). Then I classified the bronze ax into 8 forms (AI~AIV, BI~BIII,C) with the pattern ornaments as the second standard. Besides, the relative width against the lifting angle of edge and the length was considered to be ancillary data that is helpful to understand attributes of time(a~d) of the fan - shaped bronze ax. Considering the assemblage, the form seems to had been changed from attribute (a) to attribute (b). The fan - shaped bronze ax is fractioned into total 5 assemblage stages. The first stage (Stage I) where ’shi er tai ying zhi’-related gatherings of the bronze remains are assembled in the lack of handle of the bronze dagger, continued from the middle of 9th century BC to the middle of 8th century BC. The Stage II where assembled the handle of the bronze dagger and mandolin - shaped dagger were assembled, was from the middle or end of the 8th century BC to the early of the 6th century BC, and the Stage III, as the stage where the second northern gatherings of the remains were assembled besides the above remains, was from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BC to the 5th century. At the Stage IV in the 4th century BC, the related bronze assemblage including the intermediate shaped bronze dagger between mandolin - shaped bronze dagger and slender bronze dagger, and Yan duchy remains with the exception of ironware were assembled. The Stage V, as the stage where the Early Iron Age remains of Yan duchy had been widely scattered centering around Liao - Ning, was in the era of the 3rd century BC. Geometric pattern (Type A) was mainly produced in the region stretching from Liaoxi to the central part of Jilin at Stage II and Stage III,and Liaodong was characterized by producing 1965Dolleungdae pattern or Dolleungseon pattern (Type B). Besides, the southern end of Liaodong had newly produced non pattern (Type C) as a regional type. At Stage IV, the production of the fan - shaped bronze ax was exterminated in Liaoxi, northen part of Liaodong and like, but in case of the regions in the outer ring, it tends to had been continuously produced in various types. Besides, at Stage V, it was characteristical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Jilin and some spots of Korean Peninsula only in the whole Northeast Asia.

      • KCI등재

        경기~강원 지역 동검 부장묘의 연대와 성격 : 직인계동검과 세형동검

        오강원(Oh, Kangwo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경기, 강원 지역의 동검 부장묘와 유구는 크게 3부류로 대분된다. 제1부류는 역동 마지점 지석묘, 상자포리 묘역식지석묘, 우두동 77번지 유구이고, 제2부류는 사노동 할석묘이며, 제3부류는 기타 일체의 목관묘이다. 제1부류는 기원전 4세기, 제2부류는 기원전 3세기, 제3부류는 기원전 2세기 후반~1세기이다. 제1부류에는 직인계동검과 세형동검이 부장되어 있는데, 세형동검문화 초기 집단의 실험적인 동검 제작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확실한 유구 조사 사례이고, 제3부류는 무덤, 부장 유물, 동검 부장 패턴이 금강~만경강 유역과 유사하므로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역동 마지점 무덤은 충적지 등의 일반적인 묘역식지석묘와는 달리 경사가 급한 구릉 정상부 직하의 정선부 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까닭에 매장주체부의 상단까지 여러 층의 자연할석을 채워 넣어 상석을 받치게 한 특이 구조의 지석묘이다. 우두동 77번지 1호 유구는 매장주체부 중단까지 블록 흙을 다져 쌓은 뒤 그 상면에 전통적인 무기류인 석촉, 동촉과 새로운 기술력 보유를 상징하는직인계동검을 배치한 것으로 보아 석관형 제의유구로 판단된다. 두 유구의 동검, 특히 우두동의 동검은 검신 형태, 등대 단면, 등대 폭, 등대 마연, 혈조 등을 고려할 때, 비파형동검이 아닌 직인계동검에 속한다. The bronze dagger burial and its featur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dolmen in Ma Point, Yeokdong, Gwangju, the burial boundary-type dolmen, Sangjapo-ri, Yangpyong, and the feature in 77, Udu-dong, Chuncheon; the second one is the worked stone burial in Sanodong, Guri; the third one is the wooden coffin tomb in whole areas. The first one dates from the 4th century B.C., the second one from the 3rd century B.C., and the third one from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to first century B.C.. In the first one, the straight edge bronze dagger and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were buried, which were a clear example of investigating the feature that made it possible to infer the experimental production sequences of the early group during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culture, and, in the third one, the patterns of tombs, burial goods, and bronze burial are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Geumgang River-Mangyeonggang River basins, in light of the similarity to those in the areas. The tomb in Ma Point, Yeok-dong, Gwangju, located on the flat area directly under the summit of a steep hill, unlike general burial boundary-type dolmens, including alluvial fan, etc., is a dolmen with a peculiar structure in which several layers of natural worked stones are filled up to the top of its burial chamber to support the capstone. Considering that stone arrowheads and bronze arrowheads, which were traditional weapons, and the straight edge bronze dagger symbolizing the advent of new technology, wer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middle part of the burial chamber piled up with a bunch of soil blocks in the feature No.1 located in 77, Udu-dong, Chuncheon, it is judged as the sarcophagus-type ritual feature. Especially the bronze dagger in 77, Udu-dong, Chuncheon among the ones of the two features, is thought to belong to the straight edge bronze dagger, no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onsidering the blade shape, ridge profile, ridge width, ridge burnished, blood groove, etc.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자동차 전장부품의 검증된 유한요소모델 구현

        오세종(Se-Jong Oh),이해진(Hae-Jin Lee),강원호(Won-Ho Kang),이정윤(Jung-Youn Lee),오재응(Jae-Eung Oh) 한국자동차공학회 2005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11_2

        A reliable and practical finite element modeling technique to predict the lifetime of automotive electronics is important for engineers in reliability. In reliability evaluation on the automotive electronics, most studies rarely used finite element model verification process. The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are very important model parameters in this process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the automotive electronic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etter and more accurate finite element model in order to predict fatigue life of the automotive electronics using Virtual Qualification lifetime assessment techniques. Also this paper presents a scheme for finding a main effect of control factors such as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affecting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of the automotive elements using design of experiments (DOE). As a result, finite element model of the automotive electronics is verified by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

      • KCI등재

        치료놀이를 적용한 동물매개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원국 ( Kang Won-guk ),오가영 ( Oh Ka-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치료놀이를 적용한 동물매개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 J시에 위치한 A 심리상담센터의 만 9세부터 만 12세까지의 장애아동과 어머니 11쌍으로 실험집단 6쌍과 통제집단 5쌍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2020년 7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기, 회기당 40분을 모-아에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어머니에게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질문지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SPSS 20.0을 활용하여 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영역인 양육관련 고민,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아동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영역인 효능감과 불안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머니는 장애 자녀와 함께 즐겁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양육기술을 익혀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양육효능감이 향상되어 본 동물매개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nimal-Assisted Therapy related to Therapy influenced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the mother. The study subjects were the disabled children whose ages are from ten to thirteen years old and their mothers in the eleven couples of the psychology consultation center in the J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the six couples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five couples. To the experiment group of the disabled children with their mother, the program has been conducted for ten periods for forty minutes from July to Octob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was distributed to the mother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one before and after. In using SPSS20.0 the following is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pre and post in both groups. First, all of the Parenting Stress, including the anxiety related to nurt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the child's character, were decreased from the figure on the questionnaire in the experiment group. Second, in the control group, all of the Parenting Self-Efficacy with efficacy and anxiety were increased in the figu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 her disabled child in the delightful situation, when the mother learned the nurturing skills, the Parenting Stress was decreased but the Parenting Self-Efficacy was improved by the mother. Therefore, Animal-Assisted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 Efficacy of the 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