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남성 및 여성에서 슬관절 전치환술 시 원위 대퇴 절단면의 형태 계측 차이

        염윤석(Yoon-Seok Youm),조성도(Sung-Do Cho),이선호(Seon-Ho Lee),황일영(Il-Yeong Hwang),강태욱(Tae-Wook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원위 대퇴 절단면 형태 계측의 남녀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696명 1,00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Nexgen® legacy posterior-stabilized (LPS)와 PS ADVANCE® medical pivot knee (MPK) 기구를 사용하였으며, 원위 대퇴골 절제면의 전, 후 너비와 네 부위(전방, 원위전방, 원위후방, 후방)에서의 내외측 너비를 측정하여, aspect ratio (AR)와 width ratio (WR)를 계산하였다. 성별간 AR 및 WR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대퇴 절제면의 내외측 너비와 각 치환물의 제원을 비교하여 성별간 적합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AR은 LPS 및 MPK에서 모두 남성이 여성에 비해 컸으며, WR은 성별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치환물 간에는 LPS보다 MPK에서 유의하게 컸다. LPS와 MPK 모두 남성보다 여성에서 적합성이 높았으며, 남성이 적합성이 떨어지는 원인은 과소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MPK의 경우 전방과 원위 전방 절제면에서 돌출이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한국 남성은 여성보다 AR이 큰 경향이 있으며 과소의 문제로 적합성이 여성에 비해 떨어진다. WR은 남녀간의 차이가 없지만, 치환물의 종류 사이에는 차이가 있어 MPK가 LPS에 비해 전방부 돌출이 많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orph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oral cut surface between Korean males and females i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96 patients (1,008 knees: male 92, female 916) who underwent TKA using NexGen® legacy posteriorstabilized (LPS) (605 knees: male 41, female 564) and PS ADVANCE® medical pivot knee (MPK) (403 knees: male 51, female 352) implants were analyzed prospectively. After distal femoral resection, the mediolateral width (ML) was measured at four points (anterior [Ant], distal anterior [DA], distal posterior [DP], and posterior [Post]) and compared with the ML width of the implant respectively. The aspect ratio (AR=ML/anteroposterior width) and width ratio (WR=Ant ML/DP ML) were calculated. Differences in AR, WR, and fitness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analyzed. Results: The AR of males was larger than that of females for both LPS and MPK; however, no differences in the WR were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WR in MPK was larger than that in LPS. For both LPS and MPK, females showed greater anatomical fitness than males, and males had relatively greater incidence of undersize than females. For MPK, there were relatively more cases of overhang in Ant and DA cut surface.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WR of implant in MPK was larger than that in LPS. Conclusion: Korean males tend to have larger AR and less anatomical fitness of the femoral component than females because of undersize. No difference in WR was observed between Korean males and females. However, the cut surfaces as well as femoral implant of MPK had larger WR than those of LPS. MPK has more overhang on the anterior cut surface than LPS, due to a wider Ant flange (larger WR) of the implant.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염윤석(Yoon-Seok Youm),조성도(Sung-Do Cho),조혜용(Hye-Yong Cho),정승현(Seung-Hyun Jung),강승우(Seung-Woo Kang),주용태(Yong-Tae J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고, 재재건술 후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재건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패 원인은 외상이 27예(58.7%)로 가장 많았으며, 부적절한 수술술기로 인한 실패는 19예(41.3%)였다. 동반 손상의 경우 반월상 연골 손상 29예(63.0%), Outerbridge 등급 II 이상의 관절 연골 손상이 19예(41.3%)에서 확인되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IKDC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검사 모두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술 전 실패의 원인은 외상이 가장 많았으며, 슬관절의 안정성 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나 기능적 면에서는 기존에 문헌상 보고된 일차 재건술 후의 통상의 결과보다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는데 이는 많은 동반 손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failure after a primar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associated injuri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revision ACL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46 patients (46 knees), who were followed at least two years after revision ACLR.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causes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associated injuries,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was trauma (27 patients, 58.7%) and 19 failures (19 patients, 41.3%) were caused using an in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The associated injuries were meniscus tears in 29 cases (63.0%) and articular cartilage injuries of Outerbridge grade II to IV in 19 cases (41.3%). The IKDC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was trauma. One stage revision ACLR resulted in relatively satisfactory stability but less satisfactory clinical function than the primary reconstruction, as reported previousl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more associated injurie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술 중 슬개골 주행의 검사에서 "Single Stitch Method"의 임상적 유용성

        염윤석(Yoon-Seok Youm),조성도(Sung-Do Cho),정창윤(Chang-Yoon Jung),박한창(Han-Cha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외측 지대 이완술의 빈도 및 수술 중 슬개골 주행의 검사법에 따른 및 임상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278명 365예를 대상으로, 수술 중 지혈대를 감압하지 슬개골 주행이 양호하였던 경우를 1군, 감압한 뒤 슬개골 주행이 개선되었던 경우를 2군, single stitch method로 슬개골 주행이 개선되었던 경우를 3군, 슬개골 주행이 계속 좋지 않아 외측 지대 이완술을 시행하였던 경우를 4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대해 술 후 방사선상 슬개골 경사각을 측정하고,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군이 176예, 2군이 127예, 3군이 57예, 4군이 5예이었다. 지혈대 감압 후 single stitch method를 시행한 뒤 5예(1.4%)에서 주행이 좋지 않아 외측 지대 이완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평균 슬개골 경사각은 1군 4.1˚, 2군 3.4˚, 3군 5.1˚, 4군 4.3˚로 각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추시 시 전방 슬관절 동통을 9예에서 호소하였으니. 각 군 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지혈대 감압 후 single stitch method로 슬개골 주행이 개선되면 외측 지대 이완술이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lateral release rate an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intraoperative assessment of patellar tracking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365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ies in 278 patients. The knees showing good patellar tracking without tourniquet deflation were classified into group 1, those showing improved patellar tracking after tourniquet deflation were classified into group 2, those showing improved patellar tracking after the single stitch method were classified into group 3 and those showing persistent patellar maltracking, that resulted in lateral retinacular release, were classified into group 4. The postoperative patellar tilting angle was measured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for all the groups. Results: We classified 176, 127, 57 and 5 knees into groups 1, 2, 3 and 4 respectively. Only 5 knees (14%) showed poor patellar tracking with the single stitch method after tourniquet deflation and this resulted in lateral retinacular release. The postoperative mean patellar tilting angle was 4.1˚, 34˚, 5.1˚ and 4.3˚ in each group,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groups (p>0.05). Nine knees complained of anterior knee pai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 Lateral retinacular release in TKA may not be necessary if the patellar tracking is improved with the single stitch method after tourniquet deflation.

      • 50세 이상 환자에서의 반월상 연골 절제술 - 최소 3년 이상 추시 결과 -

        조성도,염윤석,고상훈,정광환,차재룡,이채칠,정지영,서동교,Cho, Sung-Do,Youm, Yoon-Seok,Go, Sang-Hun,Jung, Kwang-Hwan,Cha, Jae-Ryong,Lee, Chae-Chil,Jeong, Ji-Young,Seo, Dong-Kyo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50세 이상 환자 36명, 36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6.4세,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3개월이었다. 술전 Kellgren and Lawrence 분류 상 Grade I 16예, II 12예, III 6예, IV 2예, Outerbridge 분류상 Grade I 16예, II 10예, III 7예, IV 3예이었다. 술후 Lysholm 점수,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방사선학적 변화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24예(66.7%)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26예(72.2%)의 환자들이 술후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이 술전 평균 외반 3.9도에서 술후 평균 외반 2.6도로 변화하였으며, 술후에 관절염이 진행한 경우가 22예(61.1%)로 나타났다. 결론: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72.2%의 환자에서 만족할만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으나 방사선적으로 술전 관절염 변화나 관절경적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임상적 결과가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in patients aged over 50 with minimum 3-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rthroscopic meniscectomies between Dec. 1997 and Dec. 2003, 36 patients(36 knees) were available for retrospective evaluatio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56.4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3 months. According to the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grade I change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2, III in 6 and IV in 2. According to Outerbridge classification, grade I articular lesions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0, III in 7 and IV in 3. Postoperative Lysholm score, patient 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radiographic chang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Twenty-four patients(66.7%) were good or excellent for the Lysholm score and 26 patients(72.2%) were satisfied at final follow-up.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s from mean valgus 3.9 degrees to mean valgus 2.6 degrees and 22 patients(61.1%) showed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c changes. Conclusion: The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obtained in 72.2% of patients aged over 50 with a minimal follow-up of 3 year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my. The results tended to be worse in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tibiofemoral osteoarthritic changes or with articular cartilage lesions.

      • 잔류조직 보존 술기를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술기 -

        조성도,염윤석,정지영,전형민,Cho, Sung-Do,Youm, Yoon-Seok,Jeong, Ji-Young,Jeon, Hyung-Mi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잔류조직 보존은 이식건 치유를 향상시키고 고유수용 감각 기능을 보존할 수 있어 저자들은 10시 혹은 2시 방향 경경골 대퇴 터널을 천공하고 잔류조직을 보존하는 술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잔류조직은 가능한 많이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에서 경골 부착부위 전방부와 후방 십자 인대와 연결된 활액막 및 잔류조직은 반드시 보존하여 잔류조직의 장력을 어느정도 유지하고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과간 절흔의 충돌을 방지 하였다. 경골 drill guide의 각도를 40~45도로 하고 관절 내 guide tip을 고식적인 위치보다 1 mm씩 전방 및 내측으로 이동하였다. 경골에서 유도 강선의 시작점은 거위발 건의 근위부, 내측 측부 인대의 전방부로 하였다. 경골 터널은 먼저 이식건의 두께보다 1 mm 작은 확공기를 이용하여 만들되, 경골 관절면의 피질골에 닿으면 조심스럽게 진행하여 피질골을 뚫자마자 멈춤으로써 가능한 잔류조직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다시 이식물과 같은 크기의 확공기를 이용하여 경골 터널과 10시 혹은 2시 방향의 대퇴 터널을 완성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10시 혹은 2시 방향 경경골 대퇴 터널을 천공하고 잔류조직을 보존하는 술기를 소개하였다. Purpose: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preservation of the remnant original tissue might promote graft healing and be helpful in proprioception. But this procedure is difficult and causes the notch impingement. So we introduce a surgical technique that makes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with preservation of remnant tissue. Surgical approach: We tried to preserve the remnant tissue and synovium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those of tibial attachment and extending to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o as to have some tension and to prevent notch impingement. We set the tibial drill guide at 40~45 degrees and the intra-articular guide tip was 1 mm anterior and medial to the conventional site. The starting point of tibial guide pin was proximal to the pes anserinus and anterior to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When the reamer approached the cortical bone of the tibial articular surface, the reamer must be advanced very carefully to minimize injury to the remnant tissue. The tibial and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were made with the reamer, the diameter of which was same with that of the graft. Conclusion: We report a remnant preserving technique in ACL reconstruction that makes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2~4년 추시 결과

        조성도,염윤석,정지영,박한창,Cho, Sung-Do,Youm, Yoon-Seok,Jeong, Ji-Young,Park, Han-Chang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2-4년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종 경골건을 사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하였던 8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KT-1000 arthrometer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 및 2차 관절경 검사를 포함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는 80점 이상이 75예(87.2%), Lachman 검사상 1+ firm end 이하의 전위는 83예(96.5%), Pivot-shift 검사상 음성은 78예(90.7%), KT-1000 전방 전위 검사상 차이가 5 mm 이하인 경우는 83예(96.5%)였다. IKDC 슬관절 검사상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이 80예(93.0%)였다. 2차 관절경 검사는 15예에서 시행되었으며 9예(60%)에서 전방 십자 인대 이식물의 양호한 활액막 형성을, 4예(26.7%)에서 부분적인 활액막 형성을, 2예(13.3%)에서 불량한 활액막 형성을 보였고 이식물의 실패는 1예(6.67%)가 있었다. 결론: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전후방 안정성뿐만 아니라 회전 안정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2 to 4-year follow-up results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ix ACL reconstructions could be evaluated. Evaluations included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2000 IKDC knee examination and second-look arthroscopy. Results: Seventy-five patients (87.2%) had over 80 in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Eighty-three patients (96.5%) had 1+firm end or negative Lachmann test. Seventy-eight patients (90.7%) had a negative Pivot-shift test. Eighty-three patients (96.5%) had less than 5 mm difference by KT-1000 arthrometer. Eighty patients (93.0%)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by 2000 IKDC knee examination. Second-look arthroscopy was done in fifteen cases. Nine cases showed good synovialization, four cases showed partial synovialization, two cases showed poor synovialization and graft failure was noted in one case.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using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resulted in a good outcome in terms of rotatory stability as well as antero-posterior stability.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의 수술 방법 및 결과

        조우신(Woo-Shin Cho),염윤석(Yoon-Seok Youm),황지효(Ji-Hyo Hwang),안성찬(Sung-Chan Ahn),서지훈(Ji-Hoon Suh),홍수헌(Soo-He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에 따른 수술방법을 제시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받았던 64명의 환자 7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원인에 따른 수술 방법 및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5개월(25-120개월)이었다. 재치환술 후 임상적 평가는 관절 운동 범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슬관절 점수 및 합병증을, 방사선학적 분석은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일차 수술 후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년 11개월(1개월-20년)이었다. 8예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을, 14예에서는 후방십자인대 보완형을, 48예에서는 제한형을 사용하였다. 골 결손의 처치 및 확고한 고정을 위하여 주대형 삽입물 51예, 금속 보강물 34예, 구조적 동종골 이식은 15예에서 사용하였다. 슬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88.8도에서 최종추시시 105.8도, HSS 슬관절 점수는 재수술 전 평균 60.5점에서 87.6점으로 향상되었다. 합병증으로 심부 감염이 3예(4.3%), 슬개골 탈구가 1예(1.4%), 폴리에틸렌 탈구가 1예(1.4%) 있었다. 결론: 재치환술의 경우 많은 경우에서 제한형 삽입물을 필요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골 이식, 금속 보강물 및 주대를 이용한 골 결손의 처리 및 고정의 강화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Purpose: To suggest operative methods fo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ccording to the causes of revision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he operative methods of 70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ies in 64 patients between December 1996 and December 2004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au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5 months (25-120 months). The range of motion and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 were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the scoring system of American Knee Society was used for the radiographic evaluation. Results: The mean periods of revision surgery from the initial operation was 59 months (1 month-20 years). Posterior cruciate retaining prosthesis was used in 8 cases, posterior cruciate substituting prosthesis in 14 cases, and constrained type prosthesis in 48 cases. The extension stem was required in 51 cases, metal augmentation in 34 cases, and structural allograft in 15 cases for bone defect treatment and firm fixation. The average range of motion improved from 88.8o preoperatively to 105.8o at the final follow-up. HSS score also improved from 60.5 to 87.6 points. The complications after revision TKA were 3 infections (4.3%), 1 patellar dislocation (1.4%), and 1 polyethylene dislocation (1.4%). Conclusion: Constrained type prostheses were needed in many cases of revision TKA.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using an additional structural allograft, metal augmentation, and extension stem for bone defect treatment and firm fixation.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

        조우신(Woo-Shin Cho),염윤석(Yoon-Seok Youm),양병세(Byung-Se Y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을 하게 된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 받았던 84명의 환자, 9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치환술시 병력, 의무 기록 및 방사선 소견을 중심으로 재치환술을 받게 된 가장 주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재치환술의 원인은 감염이 34예(37.8%), 삽입물의 해리가 26예(28.9%), 폴리에틸렌의 마모와 파손이 17예(18.9%), 슬관절 강직이 5예(5.6%), 폴리에틸렌의 탈구가 4예(4.4%), 슬개골 탈구가 2예(2.2%)였으며, 슬개골 삽입물의 파손과 불안정성이 각각 1예(1.1%)였다. 본원에서 수술한 경우가 43예, 타원에서 전원된 경우가 47예 이었으며, 일차 수술 후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년 11개월(1개월-20년)이었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은 감염이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삽입물의 해리, 폴리에틸렌의 마모와 파손, 슬관절 강직, 폴리에틸렌의 탈구 등의 순이었다. Purpose: To assess the cause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The causes of 90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analyzed in 84 patients between December 1996 and June 2006. The patients' history,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in order to detect the main cause of failure of the primary TKA. Results: The causes of revision TKA are as follows: 34 infections (37.8%), 26 loosenings (28.9%), 17 polyethylene wears or breakages (18.9%), 5 stiffness (5.6%), 4 polyethylene dislocations (4.4%), 2 patellar dislocations (2.2%), 1 patellar component failure and 1 instability (1.1%). The mean interval from the index operation to the revision surgery was 59 months (1 month-20 years). Conclusion: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causes of revision TKA followed by loosening, wear or breakage of the polyethylene, stiff knee, and dislocation of the polyethyl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