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의 거리 가로경관의 색채 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수원 나혜석거리를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uh Joo Hwan),황지희(Hwang Ji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현대사회는 인간의 감성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와 인간을 연결해주는 통로로서, 사람들의 유기적인 관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의 '문화의 거리'는 현대 도시의 중요한 외부 공간이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 가로환경은 경관의 통일성과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리전체의 이미지를 좌우하고 인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의 분석을 통해 문화의 거리의 색채현황과 가로이미지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한 문화의 거리인 나혜석거리를 대상하였으며 건축입면, 옥외광고물, 가로시설물, 바닥포장의 색채현황과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존의 나혜석 거리의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의 거리 가로공간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해당 거리의 활성화를 위한 특색 있는 가로공간으로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With view of 5th dimentional concept, The human beings persuit emotional values in the con temporary space. And also the culture street is important exterior space, because connecting a city with people and linking human activities. But most streetscape today lacks the unity and identity. Therefor I worked on a color state and the street image by analyzing the color which has great impact on human psychology and street imag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et Hey-seok Na located in Ingye-dong, Paldal-gu, Suwon City. And tr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nd the image and the street has now and the image the street used to have by analyzing the color state and the image of building facades, billboard, street furniture, surface pavement. This study will make people reconsider the value of streetscape and will give us indexes for revitalizing this stree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이미지분석기법을 통한 아파트 BI와 외벽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대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uh Joo Hwan),김수연(Kim Su 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BI(Brand identity)는 브랜드에 대한 경향, 목표와 함께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것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색채를 통한 시각적 영역이다. 2000년 'e-편한세상'의 출범이후 본격적인 아파트 브랜드시대를 여는 동시에 건설사 중심의 아파트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건설사마다 독자적인 BI를 개발했다. 그러나 브랜드의 색채지향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BI는 명시성을 목적으로 채도가 높은 색채를 적용하면서 아파트 외벽색채와의 이질적인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BI와 아파트 외벽색채와의 색채이미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색채대상 건설사·아파트부문에서 수상한 수상작(2011~2009)을 중심으로 해당 브랜드의 BI와 외벽색채를 담당자의 인터뷰를 통해 NCS색표계로 분석한 후, 주)IRI색채연구소의 형용사이미지를 사용하여 아파트 BI와 외벽색채의 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한다. 전체적인 BI의 주조색 색채이미지는 '부드러운-동적인'축을 중심으로 경쾌한, 다이나믹한 이미지가 표현되었고, 보조색의 경우 '부드러운/딱딱한-정적인'축을 중심으로 이미지가 분포한 것을 볼 수 있다. 단지별 강조색의 경우에는 주변환경에 따라 변화되었고, 보조색은 '부드러운/딱딱한-정적인'축을 중심으로 이미지가 분포하였다. BI의 주조색이 외벽색채의 강조색에 반영된 단지는 '반포힐스테이트'이며, 형용사이미지가 중복되지 않는 사례도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아파트 외벽 색채를 계획함에 있어서 도시의 색채공해로 여겨지고 있는 아파트 BI의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컬러를 외벽색채에 표현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인식되어질 수 있는 외벽색채의 대안개발을 위한 연구로 연계되길 기대한다. Brand Identity assigns trend, target and meaning to the company, Among those, the most important part of BI is visual domains with color. The origination of BI in apartment housings started from 'E-Pyeonhansesang' in 2000 by Daerim Construction. Since then, housing market has been reorganized around the consumers and th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launched their own independent BI. However, Brand Identity which reflects the color directivity of it's brand trends to adopt high chroma color. This results in a mismatch of color between a sign and an exterior w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of exterior wall and color image, and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The order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lor of signs and exterior walls selected among the winning works of the Korea Color Award from 2009 to 2011 are analyzed by field surveys in person who are in charge of color plan for BI and exterior walls. Second, the adjective image of colors in BI and exterior walls are analyzed by utilizing the adjective images issued from IRI color system. As a result, dominant color of most BI is expressed as a cheerful-dynamic image, centered on the soft-dynamic axis. In the case of assort color, the image is distributed on the soft/hard-static axis. However, as for a complex accent color, 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s and the sub color image is spread on the Soft/Hard-Static axis. Banpo Hillstate apartment housings adopts the dominant color of BI on its exterior wall, however, there are cases not adopting the dominant color for the exterior walls. Next step of this study shall be affiliated with developing alternative colors intimate to consumers through adapting the company's own brand identity colors into exterior walls rather than the direct expression of BI which is considered as a color pollution.

      • KCI등재후보

        도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 Sun),구지연(Ku Ji Yeon),김신원(Kim Shin W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우리나라의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의 단기간 집중 개발은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도시경관을 만들어 내고, 도시민들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할 공간의 부재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도시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가로환경 또한 도시문화의 형성을 저해하는 위압적인 모습을 하게 되었다. 가로의 형태 중에서도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가로는 활발한 가로환경에 상업행위와 보행활동이 일어나는 도시의 활동 축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상업시설로 인한 위압적인 도심 내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키고, 향후 상업가로 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신사동 가로수 길의 시각적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사동 가로수 길은 현재 가장 활성화된 상업가로로서 오늘날의 문화를 주도하고 트랜드에 민감한 이용자들의 욕구에 가장 잘 부합하는 새로운 상권중심지이다. 본 연구는 상업가 로 관련 선행연구 중 시각적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미미하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을 느끼고 시작되었으며 설문조사 방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론에서는 이용자 특성에 따른 대상지의 선호패턴 차이,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인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분석이 각각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응답자 개인의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리적 요소에서는 가로수길의 건축적 요소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신사동 가로수길의 심미적, 조화로움 등의 요인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선호되는 심리적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조성될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한 설계 방향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ur nation‘s rapid development due to its rapid urbanization has resulted in an uniformed urban landscape with lack of space for communication amongst its citizens. As a result, even the street environment, which lays the basic foundation for its city, often carries a degree of coerciveness that may hinder the formation of urbiculture. Across the street-lines, the one built for commercial use is extremely important because it becomes the backbone for pedestrians to comfortably walk and engage in commercial activities.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visual preference survey of Sinsa-dong Garossogil and aims to provide the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the visual quality of our street scape, which is currently dominated by massive commercial facilitie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assist in future commercial street scape planning across the nation. Sinsa-dong Garossogil is the most vitalized commercial street today, exerting a significant impact on our culture and fulfilling the needs of trend lea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 way that it addresses the importance of visual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urban commercial streetscape, and provides the basic foundation for designing future commercial streets.

      • KCI등재

        공개공지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uh, Joo Hwan),최유나(Choi, Yoo N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도시민에게 좀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공개공지의 흡연공간으로의 사용이라는 이론적인 배경과 사회적 이슈를 토대로 도심 속 공공공간인 공개공지에 대해 흡연자의 이용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위하여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구분지어 그들의 행태를 관찰 조사분석하여 보다 쾌적하고 실용적인 공개공지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결과, 대상 3개소의 공개공지 모두, 절반이상의 이용자가 흡연을 행태를 보이고 있었고, 홀로 행위를 하는 이용자들은 흡연과 동시에 휴대폰으로 정보 확인 및 통화 등의 행위를 동시에 행하였고, 한 흡연 시 구석진 곳이나 휴지통, 가로수 또는 식재가 되어 있는 공간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흡연을 하지 않는 이용자들의 경우, 대부분 지나가는 통행의 목적으로 이용하거나 잠시 앉아 누군가를 기다리는 목적으로 공간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질 시에는 흡연자들을 피하여 동선을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간분할과 시설물의 배치 및 종류, 공개공지 안의 흡연 공간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하기 위해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를 고려한 적절한 방인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보다 폭넓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공개공지의 심미성과 이용자의 행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개공지의 디자인이 좀 더 자세한 대안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alled the use of the open space as smoking space and social issue that are willing to provide the urban citizens with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about construction of smoking space at the open space by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users who use the place regarding the open space that is the public space in the city and investigating the proper plan against that. As the result, more than half the patrons were shown smoking behaviour, it was observed that the users who performed the behavior alone did the behaviors such as checking the information with their mobile phones and calling, etc. together with smoking simultaneously at all three target places of the open space and the users who performed the behavior in group did the behavior such as talking or drinking coffee at the same time and mainly use the space where it is isolated or the wastebasket is located or street trees are planted when they smoke. In case of the users who don"t smoke, they mostly used the space for the purpose of passing or waiting for some one sitting for a while, however,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y moved along the traffic line avoiding the smokers when they did such behaviors. Through such study results, the problems such as space division, placement and kinds of facilities and insufficient smoking space in the open space were withdrawn and the construction of smoking space was suggested as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Analysis of the result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that come up for smokers and non-smokers alike, it will be necessary for appropriate measure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ore extensive analysis than to target various areas through these critical points and open the users behavior at the same time, the aesthetic and the bulletin on public notice that can satisfy the design should be presented more detailed alternatives to animal feed.

      • KCI등재

        어린이공원 색채계획 연구

        여화선(Hwa Sun Yeo),김도경(Do Kyong Kim),김건영(Kun 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로 우수한 놀이환경은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맞는 색채 환경을 만들어야 하지만 이러한 놀이시설물 색채는 전문가의 색채디자인이나 어린이의 선호를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자나 관리자의 색채선택에 의해 계획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색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놀이시설물의 색채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고양시 M초등학교 어린이 180명에게 6가지 긍정적, 부정적 색채를 제시하여 14색 중 5가지씩 선택하는 조사를 하였고, 2차적으로 같은 학교 어린이 60명에게 1차 선호도 조사 결과로 만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3가지 색채조화(동일색, 유사색, 대비색)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1차 어린이 색채 선호도 결과에 어린이들은 노랑, 하늘, 주황, 초록, 연두, 분홍, 빨강, 보라 순으로 선호하고 부정적인 색을 검정, 남색, 갈색, 살구, 보라, 빨강, 파랑을 선택하였다. 2차 시뮬레이션 선호도 결과는 동일색, 유사색보다 대비색을 선호하였다. 어린이들은 동일색보다 다양한 색으로 조화 된 색채를 선호하고, 유사색으로 배색 된 색채보다 대비색으로 배색 된 색채를 선호하였다. 어린이공원의 주이용자는 8∼13세 어린이들이고, 주이용 시설은 놀이시설물이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 공원 색채계획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The excellent quality of playing environment accelerates the growth of children. Therefore, painting the exact coloring, is a big part. However, the colorings of the playing environment has always been chosen by the constructor, and administrator not the children nor the coloring expe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ildren`s color preference and propose it to the playground. At first, I made a survey among 180 childeren of M elementary school in Kyung Gi do Ko Yangsi, letting them to each choose five colors among 14 colors, using each three of the positive, negative words that they thought of. Next, I conducted a research among 60 students of the same school by making them to choose the one they like among the three color harmony(monochrome, similar color, contrast color) using th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ositive colors selected by the first survey. The chronological order of yellow, sky blue, orange, green, yellowish green, pink. red, and purple are the preferred colors of the first survey. The contradictory color were black, indigo blue, brown, peach, purple, red, and blue. On the second simulation, the children preferred contrasting color over monochrome and analolous color. The children were more into variety of colors than monochrome, contrasting color than analolous color. The children`s favorite was variet of colors, them monochrome, and analolous color came the cast. The main users of the children parks are mostly 13 and under (8~13). Also, since the main facilities are the playground, as mentioned above, through this research this could be applied to the children`s park coloring plans.

      • KCI등재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에 관한 연구

        여화선(Hwa Sun Yeo),최정욱(Jeong Wook Choi),김은정(Un Chong Kim),김혜경(Hae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 방향을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의류브랜드 중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 브랜드를 컨셉에 따라 ``포멀웨어``, ``캐쥬얼``, ``아웃도어``로 나누고, 이 중 일반 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와 뉴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다시 나누어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이들 브랜드의 제품을 분광측색기를 사용하여 측색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와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내에서도 성별, 시즌, 아이템에 따라 어떻게 색상전개를 달리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겨냥한 색채계획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타깃세대 구분에 따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경우 고명도에서 저명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명도를 가진 저채도 색상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IRI Hue & Tone 120 System에 의거하여 색상분포를 분석한 결과, Yellow, Yellow Red,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고르게 분산되어있으나 특히 Light와 Gray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무채색의 경우, 고명도 무채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경우. 저명도를 선호하고, Green과 Red의 중간 Purple Blue 계열과 Blue 계열의 색상을 주로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색상분포는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Bright와 Dark톤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무채색의 경우, 저명도 무채색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색상에서 블루계열과 옐로우계열로 두드러지게 대별되며 공통적으로 그레이톤의 저채도 저명도 색상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시즌별 차이는 색상의 경우, 한색인 블루계열과 난색인 옐로우계열로 극명하게 구분되어졌다. 뿐만 아니라 톤도 S/S엔 밝고 가벼운 톤이, F/W에는 무겁고 어두운 톤의 색상이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아이템별 색상전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장과 캐쥬얼의 경우 색상은 비슷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톤에 있어 정장은 Dull하거나 Dark한 계열 많이 보여졌고, 캐주얼은 Strong에서 Dark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톤이 전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아웃도어는 매우 다양한 색상이 전개되었고 톤도 그 활용범위가 넓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color development of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 color guidelin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Regarding the range of study, it divides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among local apparel brands by the concepts of ``formal wear``, ``casual``, and ``outdoor``, and among these, it again categorizes them into brands preferred by the general silver generation and those preferred by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set up the range of research. And measuring colors of the products made by the brands with a spectrophotometer, it analyzes the result.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arget generation, new silver target brand was analyzed to propose the low chroma color with various brightness from high chroma to low chroma. As a result of analyzing its color distribution according to IRI Hue & Tone 120 System, appearance frequency of Yellow, Yellow Red and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ir tones were distributed evenly, but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Light and Gray tone was relatively high.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have many high brightness achromatic colors. Brands targeting silver generation prefer low brightness and were analyzed to mainly propose the color in blue series and PurpleBlue series between Green and Red. For color distributi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 tone was separated into Bright and Dark tone.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concentrate in low brightness achromatic color.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x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blue series and yellow series colors are strikingly distinguished, there are more low chroma low brightness color in gray tone in common. As for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ason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they were separated into cold color of blue series and warm color of yellow series clearly. In addition, bright and light tone appeared in S/S while heavy and dark tone color appeared in F/W. In the e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color deployment of brands targeting new silver brand per item, color was deployed similar in formal suit and casual. However, for the tone, dull and dark series much appeared in the formal suit and various tones appeared from strong to dark in the casual. In the mean time, very diverse colors were expanded. In the mean time, various colors were deployed for outdoor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for tone was wide.

      • KCI등재

        매체(媒體) 연출 기법을 적용한 화예 디자인 특징 연구

        여화선(Yeo Hwa Sun),우경숙(Woo Kyung 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현대미술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치며 미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고, 시대를 반영하며 사람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미술의 변화로 화예 디자인도 새로운 주제, 기법, 형식, 재료 등 다양한 표현 방법에 대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영구적이지 못한 식물만을 가지고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해결방안으로 매체를 적용하게 되었다. 화예 디자인은 매체와 자연이라는 재료의 결합으로 기존의 정해진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와 성격으로 변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되었고 자연의 절대미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갖는 조형예술로 재탄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체를 적용한 화예 디자인의 변화를 꽃 전문 월간잡지 SAY FLORY에서 40%이상 식물이 아닌 매체가 사용된 연출 사례 80개를 선별하여 재료, 색채, 기법으로 분류하여 특징을 통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매체를 적용한 화예 디자인은 ① 식물 소재의 발전 ② 테크놀로지의 확장 ③ 형식의 변화 ④ 의미부여 ⑤ 화예 디자인의 경쟁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화예 디자인에서 매체를 사용하여 연출하는 시도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이며 인간의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면서 동시에 화예 디자인의 역할을 부각시켜 영역을 확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Along with the changes of contemporary arts, the floral designs have also become varied in their artistic expressions that are creative and unique, instead of merely being a decorative object with realistic figures. Floral Design for a way to express a variety of new subjects, techniques, formats, materials, etc. are try. but, Plants have express limitations solution was applied to the medi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um, its implication on art form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nd even in floral designs, many art pieces are being produced with the use of experimental mass medium subjects and new type of artistic expressions. The following thesis shows the analysis of material, colors, and techniques of art works that have been featured on SAY FLORY monthly floral design magazine that have utilized over 40% of the mass medium related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a conclusion has been drawn that the development of plant material, mediumization of technology, form alteration, ascription of meaning, and switch from imitative objective of floral arts to new experimental art works is being cultivated and changed over time.Although the use of mass medium into floral arts is not active yet, the experimental efforts are increasing, which is foreseen that it is also a part of the altering trend of modern arts.Floral art form is expected and hoped to open a new door as it applies the mass medium materials through its experimental efforts that will raise the level of living standards and simultaneously emphasize the role of floral arts to expand and broaden its domai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