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위 복수기저형에 대한 재론

        엄태수(Tae Su Aum)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6 No.-

        The main topic of this paper is a synchronic research on multi-underlying form. The alternation of subjective case postpositional particle ``i/ga`` is phonet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but this alternation cannot be explained by a single underlying form. Previous discussions on multi-underlying form are explained with selection rule and the representation of distribution. This paper points out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discussions and proposes a rule to derive surface form with a single underlying form. This rule is different from pure phonemic rules because it is a single morpheme rule which is conditioned phonologically. I suggest to divide Korean phonological component into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and pure phonological component.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is the output of syntactic component which forms phonological word with postpositional particle and ending. It is a birthplace of derivation rule of multi-underlying form and phonological phenomenons conditioned morpheme-syntactically.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is consisted of grammatic category sensitive rules, and it is different from pure phonological components. Pure phonological components creates the utterance and syllables, and it also controls the relationships between phonemes. They follow serial sonorific rule, which means a coda shows higher sonority compare to an onset.

      • KCI등재

        현대국어의 수의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일컬어진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몇 가지 수의적 음운현상의 특징에 대해서 논의했다. 공시적 음운현상만을 수의적 음운현상의 대상으로 삼았다. 공시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어휘 내부의 음운변화에 의한 어휘들이나 방언 차이에 의한 어휘들도 배제했다. 사회언어학적 조건에 의한 어휘들이나 정서적 감정, 문체나 발화 속도 차이에 의한 어휘들도 수의적 음운현상에서 제외했다. 특히 2장에서는 수의적 음운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음운규칙을 대상으로 논의했다. 2장은 음운규칙의 소멸과 생성으로 인한 어휘들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는 `ㄹ+ㄴ`구성에서의 `ㄹ` 탈락과 `ㄴ`의 유음화의 문제, `ㄴ+ㄹ`구성에서의 유음화와 비음화의 문제였다. 사라지는 규칙의 적용을 받는 어휘형과 새로운 규칙을 적용받는 어휘형은 서로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국어에서 공시적 규칙으로 수의적 음운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ㅎ`탈락과 위치동화이다. 둘 다 공시적인 결합 제약이 필수적인 규칙에 비해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수의적으로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의 이론으로는 이러한 수의적 현상을 형식화하기 힘든 것으로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clearly define the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The scope of the work is limited to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on. Variants by internal phonological change of lexeme or dialects were, therefore, not considered. Variants depend on sociolinguistic conditions, emotions, style of writing, or difference in pace of speech deliverance are also excluded. The highlight of this work is Chapter 2, where the problem of variants caused by creation and extinction of phonological rules are addressed. In specific, this problem is regarding the deletion of `1` in `1+n` form and the liquidization of `n`, as well as the liquidization and nasalization in `n+1` form. Word forms that are either subject of disappearing rule or subject of newly created rule cannot be considered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The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in Korean which can be considered synchronic is the deletion of `h` and place assimilation. Both cases seem to influence the rise of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because their binding constraints are all weaker than that of essential rules. However, this kind of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is difficult to be explained by existing works.

      • KCI등재

        국어 음운부의 조직과 음운규칙의 분류

        엄태수 ( Tae Su Aum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국어의 규칙적인 음운현상은 통사부의 출력을 음운부로 재조정하여 입력함으로써 시작된다. 음운부는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통사음운부이고 다른 하나는 순수음운부이다. 통사음운부는 최초로 음운론적 단어를 형성한다. 본고에서는 이들에 대한 원리를 제안했다. 통사음운부는 또한 복수기저형의 선택규칙, 형태소의존 음운규칙, 범주의존음운규칙이 적용된다. 이들을 위해 기저형의 기본적 범주는 삭제되지 않고 남아 있다고 가정한다. 음운론적 단어라는 종단범주만 남고 내부 범주가 삭제되는 것은 통사음운부의 출력에서이다. 순수음운부는 음절화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순수음운규칙이 적용된다. 이들 음운규칙에는 공명성연속원리가 적용된다. 국어에는 단어형성과 관련해서 생산적인 음운규칙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파생과 복합에 관련된 국어의 음운현상은 모두 어휘화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들 파생어와 복합어는 그 전체 단위가 모두 하나의 통사원자로 통사부에 입력되는 기저형이 된다. 형태론과 관련된 형태음운부를 열어두지만 지금으로서는 이들의 역할이 없다고 생각한다. The orderly phonological phenomenons in Korean starts with an input,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syntactic compoents output as phonemic components. Phonemic componen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and the other is syllabicated phonemic component. A phonological word is first generated from a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This paper suggests a new theory on the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follows the the rules in muti-underlying form sellection rule, the phonological rule dependent on morpheme, and the rules dependent on morpho-syntactic category. On these rules, this paper hypothesize that the basic categories of the underlying forms are not deleted, but rather they remain. Phonological word formation component output is the phonological word end category with all internal categories delete. Syllabication of phonemic component is governed by syllabication rules. Here, the various pure phonological rules are applied, and the princeple of sonoroant sequence are applied on those rules. The evidence of the productive phonological rules that related to the word formation is not found in Korean. Korean phonological phenomenons regarding derivation and compounding appears to be lexicalized. The entire unit of those derivation words and compound words are the syntactic atom and they become an underlying form for the syntactic component input. This paper leaves the room for the discussion on morpho-phonemic component related to morphology, because it appears they do not have any role to play in this paper as of now.

      • KCI등재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이 논문은 현대국어의 사이시옷 현상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시도한다. 제일 먼저 사이시옷 현상을 구성에 따라 분류한다. 각 구성이 가지는 사이시옷의 특징을 살핀다. 통사적 사이시옷, 형태적 사이시옷, 어휘적 사이시옷, 한자어 구성에 나타난 경음화를 구분한다. 통사적 사이시옷은 문장 형성과 관련된다. 형태적 사이시옷은 구의 단어화로 본다. 어휘적 사이시옷은 통시적 과정의 어휘화로 본다. 어휘적 사이시옷은 병렬관계와 수식관계로 다시 구분하여 논의한다. 수식관계는 속격구조와 비속격구조로 나눈다. 여기서 t전치/후치명사를 설정하고 세 개의 사이시옷 개입원리를 설정한다. 제1원리는 병렬관계에서는 사이시옷이 개입하지 않는다. 제2원리는 t전치/후치명사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3의 원리는 무정체언의 속격구조에 개입한다. 무정체언의 비속격구조는 많은 수의성을 갖는데 이는 다양한 의미,음운, 형태적 제약에 의한다. 마지막으로 한자어에 관련된 현상은 공시적으로 사이시옷과 관계없다. 한자어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기능변화와 관련된다. 다른 하나는 설명이 불가능한 불규칙적인 많은 한자어가 존재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various problems of Sai-siot phenomenon in modern Korean. First, I will classify the construction of Sai-siot into four different types: syntactic-Saisiot, morphological-Saisiot, lexicalized- Saisiot, and tensefication of the Sino-Korean words. Syntactic-Saisiots perform the command function in a sentence. Morphological-Saisiots transform phrases into words. Lexicalized- Saisiots are results of the diachronic process. Lexicalized-Saisiots only appear in the form of a compound noun. I propose three principles to distinguish lexicalized-Saisiots. First, lexicalized-Saisiots do not appear in parallelism construction. Second, it should be decided by the t-preceding and following noun. Third, lexicalized-Sasiots appear in possession constitution of a concrete noun. There are, however, many exceptions to these principles. They are explained by semantic,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constraints. Tensefication of the Sino-Korean words is not a part of the Sai-siot phenomenon. There are two classes of tensefication. One class occurs because of a change of function. The other occurs irregularly.

      • KCI등재

        `ㄹ`초성 한자어의 음운현상과 어휘표시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1 No.-

        이 논문은 `ㄹ`을 初聲으로 가지는 漢字語에 대한 어휘부의 표시에 대한 연구다. 한자어를 다룰 때 한문문법의 관점과 국어문법의 관점을 구분하고 여기서는 국어문법의 관점에서 한자어를 분석했다. 한자어를 자립형식과 의존 형식으로 분류해서 어휘표시를 결정했다. 그러한 이유는 자립형식과 의존형식의 교체형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소위 두음법칙으로 말해온 것은 자립형식의 경우로 그들은 형태론적 단어에 민감한 규칙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어휘들의 목록을 제시했다. 교체형을 통해서 `ㄹ`비음화 규칙과 두 종류의 두음법칙을 확인했다. 교체형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표면의 발음형을 어휘부에 표시하자고 제안했다. [ㄴㄴ]발음과 [ㄹㄹ]발음의 혼동은 3자어 화자가 2자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어두의 제약이 약화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This paper study about Sino-Korean words beginning with l-sound(henceforth LSK). Especially, I study the lexical representation of lexicon for LSK. I divide LSK into Korean grammar and China grammar. I only treat Korean grammar for LSK. I classify LSK as the free form and the bound form, then show the their list. I argue `l` nasalization and two rules for LSK because of the alternation form. The surface form represents in the lexicon when the alternation form is not. We sometimes hear [nn]sound and [ll]sound at `l+n` connection of LSK. I conclude [ll] sound is the influence of China grammar. I talk about the constraint of LSK disappear nowadays.

      • KCI등재

        복합어의 중화 현상에 대한 연구

        엄태수 ( Aum Tae-su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9 No.-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com-plex word as a phenomenon has been traditionally viewed as being in the same category as the common flat implosive. This paper distinguishes the neutraliza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and synthesis of syllables as distinct from the neutralization that arises in the normal syllabification process. The normal neutrali-zation process in Korean relates to the coda-condition constraints that allow only the flat implosive of the coda. In comparison,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complex word is a type of morphophoneme that stems from the lexical component. Existing literature has argu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yllabification process in the lexical component in order to equalize the neutralization of the pure phonological compo-nent coda and the neutralization of the complex word presents unnecessary gram-matical complications and further, has no phonological basi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morphophoneme rule of the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com-plex word which, similarly to other morphophoneme rules, originates in specific categories, has exceptions and has no basis in phonetics. Historical review of phe-nomena related to the /h/ coda or relationships of the /n/ insertion also yields the same conclusion that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complex word should be viewed as a unique morphophoneme phenomenon that is distinct from occurrences of flat implosives.

      • KCI등재

        ㄴ첨가에 대한 표준어 규정의 연구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50 No.-

        이 논문은 ㄴ첨가 현상에 대한 표준어 규정에 대한 연구이다. ㄴ첨가 현상은 유동적인 현상으로 그동안 논란이 많았다. 먼저 ㄴ첨가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y앞에서는 규칙적이고 i모음 앞에서는 ㄴ첨가가 어휘적이라는 점을 주장했다. i모음 앞에서의 ㄴ첨가는 점차 사라지는 규칙이다. 그러한 이유는 한자어뿐만 아니라 고유어에도 점차 적용되지 않는 단어가 늘어나고, 젊은 층으로 갈수록 사용이 제한되어 가기 때문이다. 또한 i모음 앞에서의 ㄴ첨가는 y앞에서의 ㄴ첨가와는 달리 ㄴ첨가와 비첨가의 수의적 교체가 현저하게 많다. 이상과 같은 ㄴ첨가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표준어 규정을 다음과 같이 할 것을 주장했다. 첫째 음운론적 단어를 이루는 어휘들의 결합에서 선행요소의 종성이 자음으로 끝나고 후행요소가 y로 시작할 경우에 규칙적으로 ㄴ을 첨가하는 규정을 정한다. 둘째, 후행요소가 i모음으로 시작할 경우에는 두 가지의 규정이 필요하다. 필수적으로 ㄴ이 들어간 경우에는 어휘화된 것으로 간주하여 규정에 단일한 표준어로 정한다. 수의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교체된 두 가지 단어 모두를 표준어로 정한다. ㄴ이 첨가되지 않는 단어와 구의 경우에는 규정을 정하지 않는다. 어근복합어는 형태론적 규칙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표면의 발음을 기저형으로 간주하여 규정에 넣지 않는다. 어근 복합어의 경우는 표면의 발음을 기저형으로 하여 표준어 사전에 수록하면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henomenon of “n”-insertion in standard Korean`s regulation. Much debate has surrounded the “n”-insertion phenomenon, primarily centering around its fluidity of use.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existing studies regarding “n”-insertion are reviewed. In the second part, I discuss my findings that “n”-insertion is used regularly before “y”, but only lexically before “i”. Further, “n”-insertion rule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colloquial use as language evolves away from Sino-Korean traditions, with increasingly restricted utilization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As a result, “n”-insertion before “i” is frequently left as a fluid option for the speaker, in contrast to the standardized use before “y”. Based on such findings, I propose that “n”-insertion` regulation should be standardi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ly, “n”-insertion in the phonological word in cases when the final sounds of the preceding elements is a consonant and the following element is “y”, “n”-insertion should be regularly added. Secondly, two different and dynamic rules of standardization are needed in cases when the following elements is “i”. In cases when “n” is always necessarily inserted before “i”, a single standard suffices; when “n” is optionally inserted before “i”, both of the word forms should be accepted as standard Korean`s regulation. Finally, stem-compound words should not be included in “n”-insertion rules, as the surface pronunciation is effectively accepted as the standard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