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김호영(Ho-Young Kim),어승섭(Seung-Seob Euh),전영두(Young-Doo Jun),유승훈(Seung-Hoon Y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4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전자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고용유발 우위기술에 속하는 정보통신, 기계?소재 기술분야는 산업간 파급효과를 통한 중장기적 고용창출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개방형혁신 등을 통해 기술 확산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Under the diagnosis of low employment rate and low growth, the government regards the creation of new jobs through the creative and innovative R&D as an important national plans.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R&D invest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us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oadly. The employment effect can be divided into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direct employment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R&D investment of government industrial technology is measured to be 8-12 peoples per 1 billion KRW investment. This results mean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 is a effective policy for employment cre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D policies that reflect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In short term, it is important that the government invest the superior technology of total employment and direct employment as essential means of employment creation b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In mid-long term,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echnology spread as technology transfer and opening innovation strategy for employment creation to support superior technology of employment induc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nalysis on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related to industrial technology R&D.

      • KCI등재

        행사성 사업의 효과 분석 방안

        최영은(Youngeun Choi),윤영학(YoungHak Yoon),어승섭(Seung-Seob Euh),최은철(Eun Chul Choi)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2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공동체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다양한 행사성 사업을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에 행사성 사업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 행사성 사업의 효과 분석 및 예측과 관련된 정량 연구는 여전히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울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행사성 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시계열 자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추세(연간/주간/일간/시간)를 고려할 수 있는 TBATS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행사성 사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해당 행사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론적 절차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해당 방법론을 통해 실제 행사성 사업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향후 행사성 사업의 수요를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기존의 정성적 판단에 비해 보다 직접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ctively organizing various event-based projects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community ties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ies.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objective methodologies to evaluate the efficiency and validity of these public events projects.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this area,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the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vent-based projects remains scar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using the “Seoul Living Population Data”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predict the effects of event-based projects. Specifically, by applying the TBATS model, which can consider various trends in time-series data (annual, weekly, daily, hourly), we aim to objec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event-based projects and present a methodological procedure for quantifying the actual impact of these events. As a result, we confirm that this methodology enable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ctual effects of event-based project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assessing the demand for future event-based projects and is anticipated to provide more direct data compared to conventional qualitative assessments.

      • KCI등재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정신건강 증진 효과 : 완도 해양치유 프로그램 리빙랩 운영 결과

        이지현(Jea-Hyun Lee),안홍수(Hong Su Ahn),어승섭(Seung Seob Euh),성시윤(Si-Yoon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해양치유 프로그램이 정신건강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완도 리빙랩 연구에 참여한 36명을 대상으로 마린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기분 상태 평가척도(K-POMS-B)와 Neuro HarmonyS(Panaxtos Inc, Korea)를 사용하여 2채널 뇌파를 실험 전과 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SPS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25.0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의 긴장, 분노, 우울, 피로 지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에 뇌파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뇌의 피로도를 반영하여 이완·안정의 효과가 없었다. 1시간 내외의 체험 형식은 일시적인 기분전환에는 효과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신체·정신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해양치유프로그램을 3일 이상 또는 회기당 1시간 내외의 총 6회 이상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ine healing programs on mental health promotion. The study subjects conducted a Marine-art therapy program for 36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Wando-gun Living Lab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wo-channel brain wav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using the K-POMS-B and EEG. The evaluation result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c software version 25.0. The tension, anger, depression, and fatigue index of all subjects de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brain waves decreased as a whole, which reflected brain fatigue and had no effect on relaxation or stabilization. The one-hour experience format is effective for temporary refreshment. On the other hand, to fundamentally achieve physical and mental effects, it is suggested that the marine healing program be conducted for more than three days or a total of six times per s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