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교사의 놀이 성찰에서 나타난 전문성 탐색

        양혜련(Hye-Ryeon Yang),박수연(Su-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놀이 성찰에서 나타난 전문성을 관계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 교사 2인과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전문성이 잘 드러나는 세 가지의 놀이를 중심으로 전문성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먼저, 달팽이 되기에서는 놀이의 긴 호흡을 유지하는 교육과정 실행력과 서로가 책임을 가지는 윤리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를 끌어당기는 물뿌리개와 징검다리 놀이는 물성을 만나는 유아에게 교육과정을 입히는 교사가 도처에 널려있는 배움에 대한 민감성을 지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흐르는 무지개 스카프 놀이는 놀이의 흐름을 알아차리는 감각과 교실 내 힘의 작용에 대한 유연성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전문성은 이론적 지식의 앎뿐만 아니라 실천적 능력이 함께 작동하는 것이므로 교사의 실천적 전문성 향상을 위한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 교사의 배움은 존재론적이고 윤리적인 특성을 지닌 내부 작용임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 여건의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ontolog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xpertise that appeared in the play refl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interviews with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ducted, and the meaning of expertise was explored, focusing on play that showed the teacher's expertise well. First, in becoming a snail, the curriculum execution ability to maintain a long breath of play and the ethics of each other's responsibility appeared. Next, it was found that watering dogs and stepping stones that attract children have a sensitivity to learning that teachers who apply the curriculum to children who meet physical properties are everywhere. Finally, the flowing rainbow scarf play showed a sense of recognizing the flow of play and flexibility in the action of power in the classroom.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that not only intellectual but also practical skills work together, so experience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practical expertise, that teachers' learning is an internal-action with ontological and ethical characteristics, and that personal efforts and educational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Schiller 미학이론에 기초한 영유아 부모 미학모임 참여 경험: 어머니의 반성을 중심으로

        양혜련 ( Yang Hye Ryeon ),임부연 ( Lim Boo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Schiller 미학이론을 기초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영유아 부모의 미적 성장을 위한 미학 모임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영유아 부모 미학모임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9명과 함께 2016년 1월부터 6월까지 12회기에 걸쳐서 진행되었고, 미학을 비롯한 철학적·교육학적 내용에 대한 강의를 중심으로 워크숍과 토론, 예술 경험 등을 병행하였다. 또한 미학모임 경험을 통한 참여자들의 성장과 반성을 살펴보기 위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부모 미학모임을 통하여 나에 대한 탐구정신이 발아하고, 물신성을 넘어서는 자유를 갖게 되었으며, 주체적인 양육 역량을 생성해나가고 있었다. 또한 예술을 통해 자녀와 조우하고, 혼돈과 질서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부모와 자신으로서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학이 부모의 양육철학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하고, 부모의 성찰이 부모로서의 역량을 신장시키며, 예술이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교육적 가치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un an aesthetic group for the aesthetic growth of young children s mothers living in modern society based on Schiller s aesthetic theory and through this,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s participants had and what the experiences meant. The aesthetic group of young children s mothers was made up of 9 members and was held for 12 sessions from January to June 2016. The meetings focused on lectures on aesthetic, philosophical, and pedagogical contents, and involved activities such as workshop, discussion and art experience.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rowth and reflection of participa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aesthetic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germinating self -exploration, reflecting on heavy reliance materialism, creating autonomous parenting capacity, encountering children through art, crossing the boundary of confusion and order,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growth as parents and as themselves. Through this, it could be found that Aesthetic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parenting philosophy, that reflection of parents enhances the capacity of the parents, and that art has educational value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양혜련 ( Hye Ryeon Yang ),임부연 ( Boo Yeun L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예술을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잡고 있는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을 고찰하여 그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들은 각자가 처하였던 시대적·문화적 상황의 차이로 인해 예술과 놀이, 지식에 관한 상이한 접근을 보이고 있다. Schiller 미학이론에서는 유희충동과 아름다운 예술, 인간성의 고양을 핵심사상으로, Dewey의 미학이론에서는 프래그머티즘, 경험, 예술의 교육적 기능을 핵심사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Schiller의 미학이론에서는 유희충동을 통한 유아의 신성 구현, 이상적인 유아를 위한 아름다운 예술, 인간성의 고양으로 유아의 전인교육의 실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고, Dewey의 미학이론에서는 유아교육에서의 프래그머티즘, 교육적 경험으로서 유아의 미적 경험, 유아교육의 예술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미적인간과 미적경험이라는 용어로 대변되는 이들의 이론은 유아교육에서 미의 범위와 역할을 확장시키고, 유아들의 예술 교육에 관한 재인식의 과정을 촉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a philosophical basis for early childhood aesthetic education by reviewing Schiller and Dewey`s aesthetic theories. Three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Schiller`s aesthetic theory: a divine nature embodiment of early children through play drive, a beautiful art building ideal children, and a rea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by humanity enhancement. Three implications were also drawn from Dewey`s aesthetic theory: the Pragmatism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aesthetic experience of children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and artist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chiller hypothesized an aesthetic human as the one who pursuits of a high-dimensional knowledge by fine arts. On the contrary, Dewey suggested a democratic citizen who is mature through the arts connected with daily life. While Schiller`s theory was based upon hypothesis, Dewey`s premise was more pragmatic. However despite the confliction between Schiller`s and Dewey`s theories, they can be a complement each other. It can be viewed as a key to overcome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aesthetic education. This conclusions will be made to take a synergy effe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뉴로피드백 훈련이 회상기억과 재인기억에 미치는 효과

        양혜련 ( Hye Ryeon Yang ),이재식 ( Jae Sik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뇌파 자기-조절 뉴로피드백 훈련이 회상기억과 재인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6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자기-조절 4 회기의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는 훈련집단과 이러한 처치가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각각 18명씩 무선할당한 후에, 각 회기에 따라 회상기억과 재인기억 수행의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상기억과 재인기억 모두 자기-조절 뉴로피드백 훈련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우수한 수행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훈련회기가 증가함에 따라 두 가지 수행치 모두 향상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기억해야 하는 표적단어의 수로 조작한 과제의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훈련 효과도 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 뉴로피드백 훈련이 피훈련자의 주의력을 향상시켜 주요 인지과정 중 하나인 단어 기억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neurofeedback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all and recognition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condition where no training was provided or training condition where participants were trained in 4 self-regulated neurofeedback training sessions. As the dependent measures, correct free recall rates and correct recognition rat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cores of recall and recognition were enhanc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training itself, and as the training sessions advance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training seemed to induce more positive effect on the both memory tasks when the task difficulty (manipula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arget words) was increased. These results implied that self-regulated neurofeedback training can induce increased recollection ability for words by enhancing attentional process.

      • KCI등재

        좋은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야기

        이연승 ( Lee Yeon Seung ),양혜련 ( Yang Hye Ryeon ),변선주 ( Byun Sun Joo ),조경미 ( Joe Gyung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와 신체활동에 대한 바람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추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박교사명(여성 3명, 남성 1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6월18일부터 7월까지 7월26일까지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를 살펴보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고자 하는 유아의 본능을 충족하고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좋은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자신의 신체적 역량에 따라 지식과 문화를 생성하고 이를 또래와 공유할 수 있는 활동뿐만 아니라 유아의 흥미와 교사의 교육적 의도 간 조화를 이룬 활동을 말한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좋은 신체활동에 대한 바람을 살펴보면, 좋은 신체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과 교사가 신체활동의 가치를 알고 유아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도와야 한다는 책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하였다. 방문체육교사가 진행하는 결과중심적 교육과정보다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적 교육과정 운영,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 및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유지할 수 있는 공간과 매체가 지원, 체육관련 전문과와의 협력적 교수에 대한 바람도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를 짚어보고, 더 나은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the purpose of deducing implications to ai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onstructive physical activitie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teachers (3 females, 1 male) currently employed at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achiev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6 and July 26 in 2019,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defined constructive physical activity as following: an activity that satisfied young children’s instinct for movement; an activity that facilitated the children’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 an activity where young children formed knowledge and culture shareable with others based on their own physical competence; and an activity where the children’s interest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intent were well aligned. Second, data showed that institute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be able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as well as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that serves as a place of physical and 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also expressed the need to plan and lead the curricula in a way that is thematically integrative to everyday life, and in a way that is process-oriented rather than results-oriented, as effected by the visiting teachers. Adequate amounts of space and tools that can generate and maintain young children’s motivation and interest for physical activity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dicated a wish for cooperative instruction between teachers and various specialists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이념과 실천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는 Schiller와 Dewey의 미학이론을 비교학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의 이념과 실천에 대한 의미를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미학편지』로 대표되는 Schiller의 미학이론은 근대성을 비판하고 절대적 가치를 가진 미를 강조함으로써 유아의 영성과 놀이, 예술에 대한 근원적인 의미를 되새겨 미적인간의 완성이라는 유아교육의 이념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에서 나타나는 Dewey의 미학이론은 일상적 경험과 미적 경험의 통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원리를 바탕으로 유아의 모든 경험이 미적경험이 되어야 한다는 유아교육의 실천적 측면에 시사하고 있다. 이들의 미학이론은 유아교육에서 상실되어가는 이념의 회복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직접적이고 실천되는 심미적 교육의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도록 한다. 관념론적이고 가상적인 Schiller의 미적인간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Dewey의 미적경험은 매우 대비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미를 통한 교육이라는 공통분모를 공유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s of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through studying Schiller's and Dewey's aesthetic theories. According to Schiller's ideas mainly represented in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he criticized modernism and emphasized beauty as an absolute value Schiller's ideas are reflected in the idea of the aesthetic m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romoting children's spirituality and searching for the original meanings of play and arts. Dewey's aesthetic theories that are represented in Art as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have their roots on Pragmatism and they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aily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Dewey's ideas imply the need of practical effo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ake every experiences of the child aesthetic ones. With these two aesthetic theories, can we hope to recover the educational idea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xpect that the aesthetic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some opposing characteristics-Schiller's theory is idealistic and imaginary but Dewey's theory is specific and practical-they also have commonalities in the ideas of 'education through beauty' and hence they contribute to the ess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신체활동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이연승 ( Lee Yeon Seung ),양혜련 ( Yang Hye Ryeon ),변선주 ( Byun Sun Joo ),조경미 ( Joe Gyung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 평정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대응표본 t 검증과 IPA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영유아의 주도성이 존중되는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실행도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안전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좋은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항목은 ‘영유아의 흥미(관심)를 고려하여 구성한 신체활동’이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항목 중에서는 ‘수업의 적절성 및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자기반성이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장기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교사가 영유아 신체발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목표, 내용, 방법 등을 결정하고 자기반성적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examine the level of their actual performance in that regard, an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pract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7 early childhood teachers, asking them to rat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s’ t-test and IPA technique. The following have been observed.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finally activities in which the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is respected. Meanwhile, in terms of their actual performance,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ranked the highest, with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second place, and activities conducted in safe places in the third. Second, among areas of improvements for good physical activities were physical activitie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One of the areas which scored the lowest points in terms of bo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activities containing teachers’ self-reflection on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clas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long-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improvem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determine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to conduct self-reflective instruction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마을공동체 문화에서 행위주체자로서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손환희(Hwan-Hee Son),양혜련(Hye-Ryeon Ya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경험을 통해 마을공동체 내에서 행위주체자로서의 부모됨의 의미를 탐색하여 아이가 성장해 나가는 삶의 터전과 공동체에 대해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로서 지향해야 할 삶과 양육의 가치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학부모 두 쌍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분석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주제별 기술적 분석(thematic descriptive analysis)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마을공동체와 함께 자녀 양육하기’, 둘째, ‘농촌교육에서 주체적 역할 담당하기’, 셋째, ‘자연에서의 육아 예술 향유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의 공동체 문화 속에서 마을에 소속되기 위한 부모의 중재자로서의 역할과 상호 협력적 관계에 대한 성찰, 농촌의 인구절벽 문제와 맞물린 교육 현실에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부모의 준비, 자연과 자녀 사이에서의 적절한 부모 역할을 찾기 위한 미적교육의 중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의 마을공동체 문화에서 자녀 양육 및 교육의 행위주체자로서의 부모 역할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부모와 자녀가 희망하는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ing a parent as an agent in the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nd returned to farming,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value of life and nurturing that should be pursued as a parent. To do thi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pair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ho returned to Mungyeong and Sangju, Gyeongsangbuk-do, an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 analytical induc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raising as a child of the village community’, Second, ‘to play a subjective role in education’ consisting of subcategories such as ‘to stand as the subject in rural life’ and ‘to respond to educational difficulties’, Third, enjoy parenting art in nature composed of subcategories such as enjoying the power from nature and finding the role of parents between nature and children .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role and meaning of parents as an agent i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through a new perspective and vision about the home of parents and children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proposed to build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parents wish for their children s education

      • KCI등재

        새로운 자극제시방법을 사용한 P300 문자입력기

        엄진섭 ( Jin Sup Eom ),양혜련 ( Hye Ryeon Yang ),박미숙 ( Mi Sook Park ),손진훈 ( Jin Hun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1

        P300 문자입력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극제시방법은 행-열 패러다임(RCP)이다. 그러나 RCP는 근접-혼동 오류와 이중-깜박임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CP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오류의 원천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하위블록 패러다임(SBP)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15명의 실험참가자에게 RCP와 SBP를 모두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였다. 뇌파는 Fz와 Cz, Pz, P3, P4, PO7, PO8에서 측정하였다. 각 패러다임은 분류기를 학습시키기 위한 훈련단계와 문자입력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훈련단계에서 18개의 문자를 입력하였으며, 검사단계에서 5명은 50개의 단어를 입력하였고 나머지 10명은 25개의 단어를 입력하였다. 정확도를 산출한 결과, SBP의 정확도는 83.73%로 RCP의 정확도 66.4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Pz에서 측정한 ERP를 분석하였을 때, 목표자극에 대한 정적 정점의 진폭이 RCP보다 SBP에서 더 크게 나타나 실험 참가자들이 SBP에서 특정 문자에 더 많은 주의를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P300 문자입력기에 대한 사용용이성을 7점 척도로 측정하였을 때, SBP가 RCP보다 더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CP의 사용용이성은 대부분의 실험참가자들이 ‘힘들었다’는 범주에 응답한 반면, SBP의 사용용이성은 모든 피험자들이 ‘보통’ 과 ‘쉬웠다’ 의 범주에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SBP가 RCP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논의에 SBP의 한계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In the implementation of a P300 speller, rows and columns paradigm (RCP) is most commonly used. However, the RCP remains subject to adjacency-distraction error and double-flash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a novel P300 spellerstimuli presentation-the sub-block paradigm (SBP) that is likely to solve the problems effectively. Fifte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here both SBP and RCP were used to implement the P300 speller. Electroencephalography (EEG) activity was recorded from Fz, Cz, Pz, Oz, P3, P4, PO7, and PO8. Each paradigm consisted of a training phase to train a classifier and a testing phase to evaluate the speller. Eighteen characters were used for the target stimuli in the training phase. Additionally, 5 subjects were required to spell 50 characters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were to spell 25 characters in the testing phase. Classification accuracy results show that average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BP as of 83.73% than that of RCP as of 66.40%. Grand mean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at Pz show that positive peak amplitude for the target stimuli was greater in SBP compared to that of RCP. It was found that subjects tended to attend more to the characters in SBP.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ratings on how comfortable they were with using each type of paradigm on 7-point Likert scale, most subjects responded ``very difficult`` in RCP while responding ``medium`` and ``easy`` in SBP. The result showed that SBP was felt more comfortable than RCP by the subjects. In sum, the SBP was more correct in P300 speller performance as well as more convenient for users than the RCP. The actual limitations in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