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FDM-CDMA에 기반을 둔 분산 채널 할당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 LAM에 관한 연구

        양현호,Yang, H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5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 LAM(AWLAN)을 위한 새로운 자원 관리 방안으로 분산채널 할당 프로토롤(Distributed Channel Allocation Protocol, DCAP)을 제안한다 이 방안은 QoS (Quality-of-Service)를 보장하는 분산적 자원 관리를 OFDM-C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구조 위에 구현한 것이다. MPEG 트래픽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 DCAP는 광대역 무선 접근(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형 물리구조 기반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AWLAN을 위한 좋은 자원 관리 방안임이 판명되었다. We propose a new resource management scheme, Distributed Channel Allocation Protocol (DCAP), for multimedia Ad Hoc Wireless LANs (AWLANS). This scheme implements a Qualify-of-Service (QoS) providing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o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CDMA) channel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for MPEG traffic sources, DCAP can be a good choice of resource management scheme for AWLANs supporting multimedia services o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BWA)-type physical layer.

      • KCI등재

        IEEE 802.16e 기반무선 인터넷서비스 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방안에 관한 연구

        양현호,차재선,Yang, Hyun-Ho,Cha, Jae-S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10

        IEEE 802.16e는 여러 가지 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으며 그중 특히 고속 핸드오버는 사용자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후보 기지국을 활용하는 고속 핸드오버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IEEE 802.16e에 기반을 두고 있지 만 모의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핸드오버 지연을 기존 방식 대비 30%이상 감소시키며 핸드오버 탈락 확률 또한 5% 이상 향상시키는 성능개선 결과를 나타내었다. IEEE 802.16e has many points to be improved. Among them, fast handover is essential when user moves in high spe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ast handover scheme using handover candidate BS set. This scheme is based on IEEE 802.16e, howeve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through simulation; our proposed scheme shows more than 30% of handover delay reduction and at least 5% of handover drop probability improvement.

      • KCI등재

        RSSI의 회귀 분석을 이용한 무선센서노드의 위치관리

        양현호,Yang, H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9

        WSN(Wireless Sensor Network)의 기술 요소 중의 하나는 센서 노드의 위치 관리이다. GPS, 초음파 센서, RSSI 등이 전형적인 노드의 위치 관리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 위치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RSSI 측정에 회귀분석을 적용한 새로운 위치 관리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방식의 실험적인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평가한다. 결과에 따르면 우리 의 제안된 방식인 LM-RAR은 RSSI와 Friis 공식을 사용한 기존의 위치 관리 방식보다 향상된 정확성을 보인다. One of the key technical challenges of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location management of sensor nodes. Typical node location management methods use GPS, ultrasonic sensors or RSSI.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ocation management method which adopts regression analysis of RSSI measurement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nsor node position estimation. We als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existing scheme. According to the results, our proposed method, LM-RAR, shows better accuracy than existing location management scheme using RSSI and Friis' equation.

      • KCI등재

        FANET을 이용한 다중 무인비행체의 충돌회피 방안

        양현호(Hyun Ho Y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무인비행체와 관련된 기술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충돌 회피이다. 특히, 다중 무인비행체 간의 충돌 회피는 무인비행체의 응용분야를 다수의 무인비행체가 제한된 공간에서 운영되는 민간 분야로 확장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FANET(: Flying Ad Hoc Network)에 기반을 둔 충돌 회피 방안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식은 무선 데이터통신에서 사용되는 충돌회피 방식과 유사한 방법을 채택한다. 이 방식을 통하여 무인비행체들은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를 주고받을 뿐만 아니라 충돌 회피를 위한 비행 정보도 공유한다. One of the key issues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 UAV) technology is the collision avoidance. Specifically, the collision avoidance among multiple UAVs is critical to expand UAV applications to civil sector where large number of UAVs could be operated in the limited spac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collision avoidance scheme based on Flying Ad Hoc Network (: FANET). The proposed scheme adopts collision avoidance mechanism used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this scheme UAVs can not only communicate conventional user information, but also share flight information to avoid collision.

      • KCI등재

        유비쿼터스 센서 망에서의 에너지 절약형 매체접근 제어 프로토콜

        양현호(Hyun-Ho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응용분야를 계속 확장해가고 있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매체접근제어 (MAC)에 관한 연구는 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집중되어왔으며 전송지연(Latency)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상 다중 홉(multi-hop) 전송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환경에서 종단 간 전송지연은 특히 시간 종속적인 응용분야에서는 중요한 성능상 제약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적인 전송전력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다중 링크를 동시에 개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네트워크의 전송 전력을 줄임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전송지연시간을 개선 할 수 있는 매체접근제어(MAC)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검증 결과 제안하는 방식인 TPCS-MAC은 센서노드의 전력소모를 줄임과 동시에 특히 다중 홉(multi-hop) 센서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종단 간 지연 (end-to-end latency) 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Research on media access control (MAC) scheme for Wireless Sensor Network (WSN) has been mainly focused 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while interest on latency is relatively weak. However, end-to-end latency could be a critical limitation specifically in the multi-hop network such as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dia access control scheme with distributed transmission power control to improve end-to-end transmission latency as well as reduce power consumption in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scheme is turned out to be an energy efficient scheme with improved end-to-end transmission latency.

      • KCI등재

        육계의 체온 관찰을 위한 무선 원격측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양현호(Yang, Hyun-Ho),민원기(Min, Won-Gi),배영환(Bae, Ye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1

        가금류에서 발생 가능한 질병을 관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육계의 체온(DBT)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무선 원격측정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육계의 DBT를 ±0.1℃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40일령의 육계가 보이는 일간 체온 변화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BT 측정에 기반을 두어 실시간으로 가금류 사육시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전용 수신기의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A radio telemetry system was fabricated to continuously measure the deep body temperature (DBT) of broilers as an effort to monitor the occurrences of possible poultry diseases. It was shown that the DBT of broilers could be measured with an accuracy of ±0.1℃. Daily fluctuation of DBT in case of a 40 days old broiler was evaluated. To develop a system which can control the environment of poultry housing in real time based on DBT measurements, we proposed the design criteria of a dedicated receiver unit.

      • KCI등재

        산란계의 체온 감시를 위한 이식형 소형 센서 노드

        김현중,양현호,Kim, Hyun-Joong,Yang, H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10

        최근 최첨단 IT 기술을 선도하는 USN은 사회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u-City, u-Home, u-Education, u-Farming 과 같은 다양한 USN 응용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으며 도시를 지나 농촌에서도 유비쿼터스 기술이 '제 2의 농업 혁명'을 불러 오고 있다. 유비쿼터스 농업은 가축이나, 농작물 등의 생산 단계에서 USN 기술을 적용해 기온, 습도, 조도와 같은 생육 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있으며 기존 농업 환경에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식형 소형 센서 노드는 센서 네트워크용 SoC(System-on-Chip)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닭의 흉부에 이식하여 몸체의 체온을 직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한 여러 활용 방안 및 추가적인 고려사항에 대하여 논하였다. Recently, USN technology has been spreaded to all areas of application systems. In addition to urban application systems such as u-City, u-Home and u-Education, u-Farming(ubiquitous farming) technology supports agricultural innovations in the farm. In the u-farming environment for livestock or plant production, key environmental factors i.e. temperature, humidity and luminosity are to be set optimally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safety by applying USN technology. This approach could chang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mplantable micro sensor node to be implanted into laying hen to monitor deep body temperature. This sensor node uses SoC(System-on-Chip) designed for USN. In addition to that, we discussed about further considerations on the practical use of proposed sensor node.

      • KCI등재

        U-헬스케어를 위한 패치형 체온 측정 시스템

        김현중,양현호,Kim, Hyun-Joong,Yang, H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7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와 접목되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서비스인 U-헬스케어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U-헬스케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중 안정적인 생체정보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사용자를 구속하지 않으면서 생체정보를 간편히 측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를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기반의 소형, 경량의 온도 센서노드를 제작하고 패치 형태로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이 없이 실시간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advancement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Healthcare (i.e. ubiquitous health care), is regarded as a key application for information society, which provides health management service at anytime in anywhere. To implement U-Healthcare system, it is essential to monitor stable biological information in daily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mall size, light weight, patch type real tim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chnology to monitor patients' body temperature without any inconvenience of activity.

      • KCI등재

        RSSI 기반 센서 노드 위치 관리 기법을 적용한 캠퍼스 차량 관리 시스템 구현

        김현중,양현호,Kim, Hyun-Joong,Yang, H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4

        Most of campus vehicle management systems, so far, simply manages coming in or go out of vehicles, issuing a parking tickets. Recently some of them use RFID tags to count total numbers of cars in the campus, excluding exact parking position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ampus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location management scheme. This system adopts RSSI based location management method with some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 this proposed scheme can be used to implement an effective campus vehicle management system. 이제까지 제안된 캠퍼스 내 차량 관리 시스템은 단순한 차량의 출입만을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이며 주차권을 발급하거나 CCTV를 이용한 차량 식별, 또는 간단히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차단기의 계폐를 통제하는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이 시스템들은 차량의 출입만 통제할 뿐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주차관리에 적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노드를 이동차량에 부착해 WSN의 위치추적기술의 하나인 센서노드에서 발신되는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수신 신호 세기(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차량과의 거리계산과 위치까지 추적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함으로써 캠퍼스 내 차량의 위치 파악과 주차관리 등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SOS, AWS, 티센망 데이터를 이용한 딥신경망의 저수율 예측 성과에 관한 비교 연구

        박혜승(Hye-Seung Park),양현호(Hyun-Ho Yang),이호준(Ho-Jun Lee),윤종욱(Jongwook Y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9 No.3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udy aimed at analyzing how different rainfall measurement methods affect the performance of reservoir water level predictions. This work is particularly timely given the increasing emphasis on climate change and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To this end, we have employed rainfall data from ASOS, AWS, and Thiessen Network-based measures provided by the KMA Weather Data Service to train our neural network models for reservoir yield predictions. Our analysis, which encompasses 34 reservoirs in Jeollabuk-do Province, examines how each method contributes to enhancing prediction accuracy. The results reveal that models using rainfall data based on the Thiessen Networks area rainfall ratio yield the highest accurac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method’s accounting for precise distances between observation stations, offering a more accurate reflection of the actual rainfall across different regio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recise regional rainfall data in predicting reservoir yields. Additionally, the paper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meticulous rainfall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and discusses the prediction models potential applications in agriculture, urban planning, and floo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