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양정석 ( Jeong Seok Yang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양정석(2002, 2004, 2008a, 2012)에서 논한 국어의 형태통사론적 사실을 기본 인식으로 시간요소들의 의미 기술을 시도한 형식의미론적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었-’의 범주적 성격에 대한 판단이 시제 체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이를 단일한 시제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와 중의적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로 나누어 그 형식의미론적 의미 규정의 실례들을 비판하였다. ‘-었-’의 중의성에 기반한 이론들은 궁극적으로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두 요소가 상보적으로 분포할 때 결국 하나의 단위로 증명된다는, 상보성 원리에 의한 해석과 관련한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단일한 ‘-었-’에 기반한 시제 가설의 견해들은 이것이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와 함께 완결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없다. ‘-었-’의 완결상 의미는 중국어를 비롯한 무시제 언어들에서 그러한 것처럼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제 언어의 완결상 의미 기술을 ‘-었-’ 의미 기술에 원용하고, 이 외의 시간적 선후관계 해석을 도출하는 구문들, ‘-었었-’ 문장, 중화상 ‘Ф’의 문장, 명제태도 동사 구문, 시간 부가어 구문의 형식의미론적 의미 기술 방법을 제안하였다. It was argued in Yang(2008a)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mainstream view on Korean language as a tensed language, it is a tenseless language, and that the so-called ‘tense morphemes’ are in fact aspect and mood morphemes. Based on the morphosyntactic facts discussed in Yang(2008a), and on the temporal interpretations of Korean complex sentences in Yang(2008b), recent approaches to the description of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Korean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special attention to ‘-ess-’, which is a key temporal element to decide between tensed or tenseless nature about Korean languag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ess-’ eventually fall prey to the complementarity argument, i.e., two supposedly distinctive morphemes, ‘-ess-1’ and ‘-ess-2’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Korean morphosyntactic structures, and they have a certain common meaning, so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morphem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ssumption that ‘-ess-’ is just a tense marker maintain the semantic representation containing precedence relation, but they can not ultimately capture the perfect meaning which ‘-ess-’ has as its essential component. In this paper, I propose a temporal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aspect morphemes which contain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their formal semantic description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유적의 라키비움 구축과 디지털 트윈 전략 : 만월대 디지털 기록관의 지향점을 중심으로

        양정석(Yang Jeongseok)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기존의 라키비움에 대한 논의는 주로 아카이브기능을 하는 기록관의 영역이 확장하는 과정에서 도서관과의 관계, 나아가 전시라고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박물관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인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는 이미 아카이브가 일정한 수준으로 구축되어 있는문화유적과 관련된 분야에서도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사와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라키비움 구축이 현 단계에서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새롭게 구축된 만월대 디지털 전시관과 관련하여 확장시켜 보았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라키비움을 구축하기에충분한 여건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미 대부분의 자료가 디지털화되었고, 나아가 해당유적에 대한 디지털 트윈화도 시도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에 접근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개성의 만월대 문화유적은 현재의 상황에서 실제로는 접근하기 어렵지만 디지털기술을 이용한다면 개성이 아닌 또 다른 장소, 즉 가상공간에 존재하면서 그 안에 다양한정보가 체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메타버스적인 접근이 가능한 곳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디지털 트윈기반의 라키비움에서사용자들은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계를 쉽게 만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cussion of Larchiveum was based on a new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library, or even the relationship with the museum, which has the function of exhibitio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area of the archive. This discussion also took place in areas related to cultural Ruins where archives are already established at a certain level. As a result, various surveys and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discussions on how the construction of the Larchiveum would be possible at this stage. This discussion was extended in relation to the newly built Manwoldae Digital Archives. In the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Manwoldae Digital Archives were found to b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Most of the data has already been digitized, and furthermore, digital twinization of the ruins is approachable. If this is possible, the Manwoldae Cultural Heritage in Gaeseong is inaccessible in reality in the present situation, but using digital technology could be another place other than Gaeseong, where various information can be systematically provided to users. And with this digital twin-based Larchiveum, users will be able to easily meet a new world called Metaverse.

      • KCI등재

        타이완 ‘러링’ 학습에 대한 생사학적 고찰: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양정연 ( Jeongyeon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타이완 노년 교육의 기반이 되는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여, 노년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대책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되는 성공 노화, 활동 노화, 생산 노화 등 기존의 이론을 검토하고, ‘러링’학습이라고 통칭되는 타이완의 노년 교육을 통해 그 이론의 한계성을 검토하였다. 러링학습에서 생명교육 교재의 내용을 보면, 죽음과 생명 교육은 기존의 노화 이론에 근거하여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생사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rikson의 9단계 이론과 Tornstam의 노년 초월 개념에서는 삶의 만족과 긍정성, 삶의 의미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생사학의 죽음에 대한 관점과 노년 초월 개념에서 노화에 대한 인식에 공유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노화에 대한 인식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노년을 위한 정책과 교육 활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erceptions of aging and death, which are the basis of senior education in Taiwan, and seek for the direction of the senio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dered the theories such as successful aging, active aging, and productive aging, which are present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with aging, and examined the limitations of the theories through Taiwanese senior learning, commonly referred to as ‘Leling’[樂齡].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life education textbooks in the senior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on death and life is not based on the theories of aging, but on the Thanatological perspectives. In Erikson's ninth stage and Tornstam's concept of Gerotranscendence, they refer to life satisfaction, positivity, and the pursuit of meaning in lif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common ground in the perceptions of aging between the viewpoint of death in Thanatology and the concept of Gerotranscendence.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aging needs to be re-examined, and this change of perception can help to find a new direction for polic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
      •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양정석(Jeong-Seok Yang),안태연(Tae-Yeon Ahn),박재현(Jae-Hyeon Park),박창근(Chang Kun Park)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0

        금강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여러 관측소에서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18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강수량자료를 일정값 이상은 고정하여 수정된 강수량자료로 이동평균값을 구하고 이 값들과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10㎜에서 170㎜ 범위의 일최대침투량으로 가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낙동강유역의 자료에 대해서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