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만해 한용운 선사 「불교대전(佛敎大典)」의 교의적 성격

        양은용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0 No.-

        The modern Korean Buddhism reflected a reformative trend under the violent change of social situation at the times. Seon Master Manhae Yong - un(萬海龍雲,1879~1944) was one of the most famous pioneers. His main texts, among many writings, the reformative ideological book Joseon bulgyo yusillon(朝鮮佛教維新論 Revit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mpletion of a manuscript 1910, publication 1913) and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guide book, Bulgyo Daejeon(佛敎大典 The Great Summary of Buddhism, 9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doctrinal character of Bulgyo Daejeon by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structure of Bulgyo Daejeon as follows: Firstly, the Bulgyo Daejeon(佛敎大典) is the first Buddhist canon of it's kind published in Korea which symbolically led the reform trend of modern Buddhism. The Joseon bulgyo yusillon(朝鮮佛敎維新論) explains the practical ideology while Bulgyo Daejeon(佛敎大典) is a guideline that leads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Accordingly, both texts are deeply inter-related each other as they are published at the same period. Secondly, Master Manhae visited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specifically the Buddhist situation there before his writing about the Bulgyo Daejeon(佛敎大典). Maybe he was influenced by Nanjo Bunyu (南條文雄)·Maeda eun (前田慧雲) who edited the Bukkyō shōten(佛敎聖典 1905). Even though the qu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he Bulgyo Daejeon is similar to the that of Bukkyō shōten in terms of format, the structure of contents in the Bulgyo Daejeon's is clearly independent. Thirdly, the Bulgyo Daejeon consists of 9 chapters and edited by quoting all sūtra-piṭaka (sermons collection) across sūtra, vinaya, śāstra (經律論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It mentions about 439 scriptures, 1,711 timesof them. All the scriptures were very popular ones here in Korea. Master Manhae persued 1,511 sections, 6,802 rolls of the Goryeo daejang gyeong(高麗大藏經 Korean Buddhist Canon) and interpreted them in detail. Fourthly, the Bulgyo Daejeon connects directly the faith system centered on the Three Treasures(三寶;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aṃgha) to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social salvation. Master Manhae arranged the directly quoted 61 articles of chapter·division·section from Buddhist scriptures and gave each subtitle to them. These subtitles clearly explain the intention of Master Manhae and also show the doctrinal character he intended. Fifthly, the Bulgyo Daejeon has enhanced the social status of Buddhism and also influenced greatly to the editing of many Buddhist texts. In addition to that, the Bulgyo Daejeon still keeps it's vitality as holy text in Buddhism up to the present. 한국근대 불교는 격변하는 사회상황 아래서 개혁사조를 띄고 있다. 이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만해 용운(萬海龍雲, 1879~1944)선사이며, 그에게는 개혁 이념서로 <조선불교유신론>(1910 탈고, 1913 출간)과 신행 지침서로 <불교대전>(1914) 등 많은 저술이 전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 <불교대전>의 성립과 구조를 분석하여 교의적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으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대전>은 한국에서 처음 편찬된 불교성전으로, 근대 불교개혁사조를 이끌어나간 상징적인 작품이다. 만해선사의 <조선불교유신론>이 그 실천이념을 밝힌 것이라면, 이 <불교대전>은 신행(信行)을 이끌어나갈 지침서이며, 이들은 같은 시대에 이루어져 상호관련을 가지고 있다. 둘째, <불교대전>의 편찬에 앞서 만해선사는 일본을 방문하여 불교계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며, 난조 분유(南條文雄)·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불교성전(佛敎聖典)>(1905)의 영향을 받고 있다. 즉 경전 인용의 형식 등에서는 같은 점이 보이나, 내용구성의 체계 등은 독자성이 확연하다. 셋째, <불교대전>은 전권을 9품으로 구성하여 경·율·론 삼장에 걸친 경전 439종 1,711회의 인용으로 편찬하고 있다. 이들은 한결같이 한국에서 유행한 경전으로, <<고려대장경>> 1,511부 6,802권을 열람하여 금구(金句)를 채록하고 해석·현토한 것이다. 넷째, <불교대전>은 불·법·승 삼보의 신앙체계를 중심으로 사회구제인 포교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경전을 직접 인용한 품·장·절 61항을 마련하여 각각 소제목을 주고 있는데, 이들 소제목을 살피면 만해선사의 편찬의도인 교의적 성격이 드러난다. 다섯째, <불교대전>은 편찬출간 이후 불교의 사회적 위상을 고양시키는 한편 불교전적의 찬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는 현재까지 성전으로서의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 高麗道敎의 醮禮廳詞資料

        梁銀容 圓光大學校 1986 論文集 Vol.20 No.1

        The study on Korean Taoism is at the first stage now. This is obvious in point that basic documents are not systematically arranged. In Korea Taoism has been less prevalent tha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 reasons were especially Taoism had not religious body but supported hermits and believed as a folk religion. Therefore Taoist documents were more short. Taking these situations into account, Koryo Dynasty seems to be a theasure-ho- use of studies on Taoism. Koryo Dynasty indiscriminately accepted almost all religions and Taoism was the most dominating religious factor throughout the Korean history. As the result of it, so many Taoist documents were remained. They are arranged as two sorts. One is historical documents, the other is funeral-oration documents. The former has been arranged and veported in my article in " Korea Religion" No. 10 ; 1985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e for Religions, Won Kwang Univ, the latfer in this article. I focus on document in Koryo Dynasty, but works of Choi Chi Won(857~?) who lived in the end of Shilla Dynasty and Lee Seung So(1422~1484) who lived in early Yi Dynasty are in cluded. Therefore I think documents which are arranged in this article include all remained Korean funeral-oration have been regarded as typical samples. And works in Koryo Dynasty succeeded to Yi Dynasty when Taoist royal rituals were disappeared. We can rearrange and analyze the Taoist thoughts of Koryo Dynasty from these documents. And Social conditions of Taoism can be made clear by the fact that all writers of these documents were high bureaucrats and Confucian scholars.

      • KCI등재후보

        백제·일본 양국의 불교문화 교류와 익산

        양은용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6 No.-

        Baekje and Japan maintained close relations focusing on the exchange of the Buddhist religion. In the period of King Mu (600-641)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Iksan was completed. If we examine the record of that time, we are able to learn that relations between two nations were very friendly. Exchanges with regard to Buddhism were condu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coming and going of monks, the introduction of images of Buddha, maintenance of government structures, and Buddhist works of construction. Some of these activities or exchanges would have been centered around Iksan. When King Mu of Baekje constructed the palace that is presently located at Wanggung-myeon, Iksan-si, he erected the great Mireuk Temple as an outer temple at a location 4-5 km outside the palace castle. It became a key site and central part of the Maitreya (mireuk) faith of Korea and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important elements related to this faith were imparted to Japan as many Maitreya images were conveyed to that country. Following the example of King Mu, when Emperor Denchi (天智天皇) transferred the capital from Aska (飛鳥) to Otsu (大津) in 667, he established Sofukuji Temple (崇福寺), a Maitreya site of worship, as an outer temple 3-4 km to the north-west of the palace castle. The fact that, even after the collapse of Baekje (660), the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system of Baekje was implement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in Japan shows that a clos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wo countries and that there was a particular focus on Buddhist exchanges. That is why various relics and artifacts related to Baekje that were passed down can still be seen in Japan to this day. 백제와 일본은 불교교류를 중심으로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했다. 무왕대(600-641)에 이르면 익산천도가 이루어지는데, 당시의 기록을 정리해 보면 양국관계가 매우 돈독했음을 알 수 있다. 불교교류는 승려 내왕, 불상 전래, 제도 정비, 불사 건축 등 여러 가지며, 이들 중의 어떤 부분이 익산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다. 백제는 무왕이 현재의 익산시 왕궁면에 왕궁을 건설하면서 궁성 4-5km 지점에 외사(外寺)로 대찰 미륵사(彌勒寺)를 창건한다. 이것이 한국 미륵신앙의 중심축을 이루며, 이를 전후하여 일본에 미륵상 등이 다수 전해지며 관련 신앙도 전파된다. 덴치천황(天智天皇)이 667년 아스카(飛鳥)에서 오츠(大津)로 천도하면서 궁성의 서북쪽 3-4Km에 외사격인 숭복사(崇福寺)를 미륵도량으로 조영하고 있는 것은 무왕의 예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백제멸망(660) 후에도 일본에서 백제왕 제도가 대를 이어 시행된 것은 불교교류를 중심한 양국관계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말해준다. 오늘날 일본에 백제관련의 유물유적 등이 다양하게 전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불교 효사상의 본질

        양은용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2 No.-

        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異문화)사회에의 토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한 『부모은중경』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 의 동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위경(僞經)이지만, 현장성을 중심으로 보면 역동성을 상징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부모은중경』과 『우란분경』을 중심으로 불교 효사상, 즉 부보은사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충효윤리를 중심한 중국사회에 출가윤리가 중심인 불교의 전래는 커다란 문화적 충격을 안겨 주었다. 유교에서는 불교를 「무부무군(無父無君의 호교(胡敎)」로 핍칭 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 하는 과정에서 부모은사상이 발아되었고, 그 정점에 『부모은중경』의 성립을 보게 된다. 유교의 효는 부모의 봉양에서부터 임금을 섬기고 마침내 자신을 올바로 간수하며, 선인의 유지를 받드는 등의 단계가 있다. 그러나 그 가르침 자체가 현세 위주이다. 이에 대하여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은 연기이법에 바탕하여, 한편에서는 삼세부모사상 으로 전개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봉양은 물론 이고득락(離苦得樂)하는 천도(薦度)를 본질로 하 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효사상 전개는 동토에 있어서 효사상의 새로운 차원을 열고 있는 것이 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부모은중경』을 성립시킨 역동성, 곧 현장성은 인류의 커다란 복전 이 될 것으로 본다. Buddhism to a global religion by Buddha's enlightenment means the naturalization in different culture societi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ith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This sutra is an apocryphal sutra writte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Buddhism to East though, it symbols dynamism from the outlook of present sense. In this dissertation, it is the purpose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focusing on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nd Uranbungyeong. The import of Buddhism with Leaving home ethics gave a big cultural impact to Chinese society which considered Filial Piety Ethics as a significant factor. In Confucianism, Buddhism was called, 'barbaric religion without parents', in the process overcoming this negative flow,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was germinated, an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as established at the height of this phenomenon.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has some steps of, serving from parents to King, in the end, taking care of oneself, and honoring ancestors' wishes etc. But its teaching itself is mainly with the present world. About this,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is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on the one hand, it developed to parents' ideology of the three worlds, on the other hand, it considers Cheondo(薦度), the way to heaven, which leaves suffering and gains pleasure including serving parents, as the essence. Among them, there contains ethics of the mundane world. Therefore, it was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opening a new dimension of filial piety ideology in the eastern land. In a contemporary society, I think the dynamism which establishe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that is, the present sense can be a big fortune farm of mankind.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삼국∼고려시대의 국학사상

        양은용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7 No.-

        중등학교 학생들의 역사교육은 청소년의 민족사관 확립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역사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는 하나의 지남인데, 이 가운데 국학이 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를 󰡔(고등학교) 한국사󰡕(2014년도 전시본 8종)의 삼국∼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 본 연구이다. 󰡔한국사󰡕 교과서는 교육부 검인정제도 아래 이루어지며, 따라서 목(編目)과 취급 범위가 주어져, 저자는 절의 구성을 통해 내용을이룬다. 대체로 전체의 400∼450쪽에서 삼국∼고려시대는 70∼100쪽분량으로 서술되고 있다. 교과서가 근⋅현대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있으므로, 이 기간 즉 삼국시대⋅남북국시대⋅고려시대는 기간으로볼 때 1400년 이상을 차지하지만, 페이지수의 한정으로 인해서 기술내용이 약술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 판에 있어서고려시대를 편으로 별립시킨 것은 2013년도 판에 비해 달라진 역사인식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국학에 관해서는 특별한 문제의식이나 배려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내용으로 볼 때, 삼국시대의 고유사상이나 풍류도, 고려시대의 역사서 찬술과 호국의례 등 국학사상과 관련된 사항이 적지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교과서의 기술에 있어서 민족정기를 살릴만한 심층적인 내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213년도의 교과서에 좀더 나은 기술이 이루어진 경우도 없지 않았다. 역사교육에 있어서 민족의식을 살려나갈 수 있는 국학사상이 내용기술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주제어 : 한국사, 국학, 역사교육, 풍류도, 역사서, 호국의례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