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키넥트를 이용한 모바일 원격 제어 시스템

        양윤식(Yoonsik Yang),공민제(Minje Kong),심진욱(Jinwook Shim),한탁돈(Tak-Don Ha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을 키넥트로 인식하여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바일 기기 제어 방식은 키넥트로 받은 컬러 영상에서 Skin-Color 알고리즘을 통해 피부 색상을 분리하고,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상 되는 픽셀들을 제거한 후 이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손의 ROI를 검출한다. 또한 손의 ROI에서 Finger-tip을 찾기 위해 K-curvature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손가락 개수에 따른 다양한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인식된 손을 Kalman filter를 이용해 추적한다. 이렇게 인식된 데이터를 가지고 모바일에 맵핑시켜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This paper propose the system that recognizes the users hand by Kinect and controls mobile devices. Proposed mobile remote control system gets the color image and segments the skin color by using skin-color algorithm, after removing the pixels which i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by using the depth image. Using this two images detects the hand ROI. Also from the hand ROI we use K-curvature algorithm to find the Finger-ti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it enables various interactions. By using the detected hand we use kalman filter to track hand. Using this recognized data for mapping on the mobile it offers control system like mouse.

      • KCI등재

        긴장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 문제를 중심으로

        양윤식(Yang, Yoonsik),김수민(Kim, Soomin),이태헌(Lee, Taeh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청소년기의 비행 행동에 대한 원인 파악과 대책 강구는 청소년의 비행 억제와 동시에 향후 성인기 범죄 예방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을 바탕으로 긴장과 비행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 문제의 개인차에 초점을 맞추었다. 긴장은 정서 문제를 유발하고 이는 비행 행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의 비행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 확인은 진단 및 향후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한국 아동 청소년 초4 패널의 6차 년도(중학교 3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서 문제의 개인차를 다섯 가지 잠재 집단 형태로 도출할 수 있었다. 각 잠재 집단은 가장 긍정적인 정서의 ‘건강’, 주의집중력 문제와 공격성 문제가 두드러지는 ‘주의공격 우세’, 사회적 위축이 두드러지는 ‘위축 우세’, 가장 많은 청소년들이 포함되는 ‘보통’, 가장 많은 부정적 정서를 보고하는 ‘정서 문제’ 집단이다. 잠재 집단에 따라 긴장과 비행의 관계 양상은 달리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범하는 비행은 각 청소년이 가진 정서적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일반긴장이론을 지지하지만 그렇지 않은 결과도 도출되었다. 이는 긴장과 비행 행동의 관계연구에서 정서 외 다른 요인들의 영향 역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비행 행동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적절한 후속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Understanding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providing adequate solutions to them are important for retraining and preventing crime in adulthoo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General Strain Theor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delinquent behavior with a particular focus on emotional disturbance. We began from the assumption that,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can be helpful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 found five latent class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disturbanc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delinquency varies by classes. Whilst our results at large support the general strain theory, a number of unexplained findings remain. It seems that emo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ink between strain and delinquenc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on juvenile delinquency are discussed and other methods and research idea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강인한 포즈 예측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 기반의 온라인 학습 기법

        채승호(Seungho Chae),양윤식(Yoonsik Yang),한탁돈(Tack-Don Han)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11

        객체 인식 기술은 컴퓨터 비전 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본 논문은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에서 객체 인식을 위한 실시간 특징점 기반 추적 기법과 포즈 예측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간 객체 추적을 위한 연구는 이전부터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급격한 영상 변화 등 복잡한 환경에서는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특징점 필터링, 하이브리드 구조 기반의 온라인 학습의 2단계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징점 필터링 단계는 강인한 추적을 위해 특징점 매칭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로, 추출된 특징점의 공간적 분포와 질을 고려하여 특징점을 추출한다. 하이브리드 구조기반의 온라인 학습 단계에서는 강인한 포즈인식을 위해 Structured support vector machine (SSVM) 기반 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공용 DB 와 자체제작 DB를 포함한 총 13개의 비디오를 사용하여 다양한 검출기-서술자 기반의 성능검증 실험을 진행하고, 최신 연구와의 비교실험을 통해 만족할만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Object-recognition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computer vision-based applications. We propose a real-time keypoint-based object tracking and pose estimation method for object recognition in continually changing environments. Our approach is based on three main steps: keypoint refinement, hybrid structure-based online learning, and anomaly removal. Keypoint refinement is performed before keypoint matching to promote the pose estimation accuracy by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quality of extracted keypoints. Hybrid structure-based online learning is applied during object tracking to correctly match keypoints as much as possible for accurate pose estimation (homography optimization) by updating the structured support vector machine. Finally, anomaly removal is performed based on two criteria, inverse-homography calculation and keypoint inliers/outliers for maintaining invariant keypoint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object tracking compared to existing state-of-the-art keypoint-based tracking methods on a publicly available dataset and various self-made dataset detectors and descriptors.

      • Arm Touch: 핸드 포스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공민제(Minje Kong),양윤식(Yoonsik Yang),심진욱(Jinwook Shim),한탁돈(Tack-Don Ha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은 사용자에게 쉽게 사용 가능한 새로운 사용자 신체 기반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이 새로운 상호작용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중에서 팔과 손 포스처를 이용한다. 키넥트를 통해 사용자의 팔을 인식하고 인식된 팔에 상호작용할 메뉴를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맵핑한다. 인식된 팔의 깊이 값은 후에 인터페이스 메뉴와의 터치 인터렉션을 위해 기본 값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 포스처를 인식하여 손 포스처에 따라 팔에 각각의 다른 메뉴들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메뉴가 맵핑된 팔에 반대 손 손가락으로 메뉴를 터치하여 상호작용 한다. 이때 앞서 저장한 기본값과 터치 인터렉션을 일으킬 반대 손가락간의 거리가 일정 깊이 값내로 인식되면 터치로 인식한다. 우리는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들이 팔과 손 포스처를 이용하는 이 새로운 상호작용 방법에 긍정적인 평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body-centered interaction which user can easily interact. This new interaction method uses arm and hand posture among the body part. Through the Kinect, user’s arm is recognized and divided in certain distance for mapping the menu. The recognized arm’s depth values are saved as default value. By user’s posture, the different menus are generated on the arm which divided in certain space. User can select menu by touching the arm with the other hand’s finger. The system recognizes touch when saved default value and finger becomes certain value. We ascertain the positive results of this study from the user evaluation about his new interaction which uses arm and hand posture.

      • 색상 정보를 이용한 Cascade 방식의 손 영역 검출

        조지윤 ( Ji-yoon Jo ),채승호 ( Seungho Chae ),양윤식 ( Yoonsik Yang ),한탁돈 ( Tack-do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휴먼-컴퓨터 인터렉션과 같은 응용분야에서 손동작 인식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손동작 인식을 이용한 인터렉션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손 영역 검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Cascade 방식에 기반한 손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Cascade 방식으로 손 영 역을 검출할 경우보다 강인한 인식률을 얻기 위해서 색상정보를 이용하였으며, Haar-like 특징점으로 학습된 분류기를 통해 손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Unistroke 한글 문자 입력 시스템

        노효철(Hyocheol Ro),채승호(Seungho Chae),양윤식(Yoonsik Yang),변정현(Junghyun Byun),한탁돈(Tackdon Han)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포인터를 활용하여 Unistroke 기반의 한글 문자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프로젝션 기반의 증강 현실 환경에서, 기존의 문자 입력 방법인 키보드는 연결된 컴퓨터에 접근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좋은 직관성과 접근성을 가지지만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구현에 드는 비용이 달라지므로 프로젝션 기반의 증강 현실 환경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비교적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손 제스처를 이용하는 Unistroke 기반의 입력 방식은 제한된 인식 영역과 팔의 피로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반면에 논문에서 제안할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Unistroke 문자 입력 방식은 레이저 자체로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넓은 인식 영역과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이러한 입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영상 기반의 레이저 포인터 검출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입력된 한글 자소를 Chain code 와 Dynamic Time Warping(DTW) 알고리즘을 이용해 인식하도록 구현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을 통해 비교적 높은 인식률을 얻어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