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정당한 자리매김을 위하여

        양영희(Yang Young-hee) 한글학회 2014 한글 Vol.- No.306

        본고는 ‘국어사 교육은 과연 필요한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국어교육에 대한 원론적인 관점과 그것의 필요성을 강조한 기존 입장들이 제시한 근거,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국어교육 목표 등을 분석하여서 국어사 교육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고, 그것의 당위성을 ‘국어 지식’적 측면에서 구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국어사를 문법 교육 영역에서 독립시켜 이 두 영역을 ‘국어 지식’으로 아우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먼저 지식 전수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국어사는 문법과 같은 영역으로 묶을 수 있으나 그것이 문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보다 훨씬 포괄적이어서 문법의 하위 범주로 포함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이렇게 국어 지식 영역 안에서 문법과 대등한 관계로 설정된 국어사는 고전에 각 시대의 국어에 대한 지식을 전수하는 방법으로 연계되며, 문법은 국어 활동을 신장시키는 기반 지식으로 관여하게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is paper, therefore, analyzes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asons suggested by existing perspectives which place an emphasis on its necessity. In addition, educational objectives set in the curriculum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reaches a conclusion tha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en searches its apporopriateness based on Korean Language Knowledge.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separate Korean Language History from the field of grammar education, and then to reconstitute two fields as Korean Language Knowledge. The reason for this is, first, Korean Language History could be integrated with the field of grammar because of its strong tendency to hand over knowledge. Its contents are, however,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grammar. It is, therefore, hard to be included as a subcategory of grammar. Korean Language History,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as an equal relationship, is connected through the way handing over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at various periods to classics. Grammar, also, interferes as basic knowledge which enhances Korean Language activities.

      • KCI등재

        암 조기발견 지식·암발생 위험성 지각과 암 조기검진 수검 여부와의 관계 : 40세 이상 일반인 대상으로

        양영희(Yang Young He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2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determine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and risk perception of cancer according to taking cancer screening tests in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1 people aged 40 years or old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warning signs, cancer screening methods, general knowledge for early detection), cancer risk perception and history of cancer screening during past 2 years. Results: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were 64.7% in knowledge about warning signs, 73.7% in knowledge of cancer screening tests and 80.1% in general knowledge for early detection. Participants had the highest knowledge about screening methods for stomach cancer and the lowest for liver and colon cancer.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was medium.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cancer screening showed low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who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screening. The primary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cancer screening was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cer risk perception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cancer screening and we need to study how to handle this problem. Additionally screening programs should focus on liver cancer and colon cancer.

      • KCI등재

        사회 방언(학)과 비판적 언어인식에 근거한 문법교육의 방향 설정

        양영희(Yang 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현재 문법 교육은 ‘문법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본 논의는 이러한 문법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문법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을 사회방언학과 비판적 언어 인식의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이들은 학습자의 사회적 맥락을 중요시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문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 내용은 사회 방언학적인 관점에 입각해서 선정할 것을 제언하였다. 사회방언학은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 변이에 관심을 두므로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 변이를 중심으로 교육하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내용을 교수·학습하는 방법으로는 비판적 언어인식의 관점을 제언하였다. 비판적 언어인식 관은 ‘(교육적) 실천 행위’에 방점을 두므로 이를 문법교육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자신의 어떤 목적에서 언어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렇게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자신의 언어생활을 객관적으로 비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까닭에서이다.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current grammar education focuses on the enhancement of ‘grammar ability’. This paper investigates directions of gramma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based on sociodialectology an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since these perspectives set high values on learner’s social context. To enhance grammar ability, fir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be selec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odialectology. As sociaodialectology focuses on language changes caused by social factors, it is possible to teach language changes in learner language and therefore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made possible. Second, the perspective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s suggested as a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stresses ‘(educational) practice behavior,’ and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educational) practice behavior’ to grammar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purpose of their language use and the effect of the language use by themselves. Moreover, it is also expected they will be able to criticize their language life obj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국어사 교육의 방향 설정

        양영희(Yang 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논의는 2015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음에 주목하여 그것의 일부인 국어사 교육의 변화 방향을 가늠할 목적으로 출발하여 ‘실용성’과 ‘국어사(史)에 대한 재인식’을 개선의 축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지 전개를 위하여 먼저 2012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의 국어교육과 문법교육 목표를 비교하는 한편으로 두 교육과정의 국어사 교육의 변화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실용성은 2015 교육과정의 핵심어로 간주되는 ‘과목(영역) 간 통합(융합)’에서 확보하 였다. 모든 국어 교과서에서 ‘훈민정음 언해본’을 자료로 제시한 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창제 동기를 국어학적 관점만이 아닌 사회ㆍ역사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게 할 의도로 ‘사회, 역사’과와 융합ㆍ연계하려는 방안이다. 국어사의 ‘사(史)’에 대한 재인식은 2015 교육과정에서 두드러진 국어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수용하는 차원에서 마련한 방안으로 과거 모든 시대의 언어를 학습하기보다 특정 시기의 국어와 현대 국어를 비교하여 학습자 자신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취지이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re has been a variety of changes in grammar education of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current study, therefore, aims to predict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concludes that practicality and new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can be the baseline for the improvement. To this end, the ai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are firstly compared, and then based on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practicality from ‘cross-curricular integration(convergence),’ which is considered as an integral par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noted that every Korean Language textbook presents Korean annotation of Hunminjeongeum as reference. This can be approached not only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but also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and it is possible to be integrated with social science and science subject. Additionally, ‘History’ can be understood from the new perspectiv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his study attempt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ir language by comparing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ith a language from a certain period of time, rather than learning languages of all ages.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숙달도 설정의 개선 방안

        양영희(Yang 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논의는 교육 현장의 요구와 실효성을 갖춘 한국어 교육과정 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 내용체계를 학습한국어와 생활한국어로 이분한 점이다. 문제 핵심은 한국어 교육은 일상생활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지 다른 교과목 용어나 개념을 학습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학습 한국어와 생활한국어를 구별하지 않은 내용체계를 구축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현행 내용체계에서 ‘기능’으로 일괄 처리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를 고유한 영역 으로 설정하는 한편으로 ‘언어재료’에 포괄된 ‘문법, 어휘’를 ‘읽기, 쓰기’ 등과 같은 계열의 영역으로 설정할 것을 제언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숙달 정도를 책정하는 방식이다. 현행 한국어 교육과정 에서는 한국어 숙달도를 먼저 초급, 중급, 고급의 3등급으로 구분하여 각 등급을 다시 2단계로 세분하여 6등급으로 나누어 이들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배정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어 숙달 정도를 ‘초급, 중급, 고급’으로만 구분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reestablish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effectiveness and needs of teachers. First, the present study points out tha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Academic Korean and Survival Korean. The point is that Korean education should not attempt to teach terms or concepts from other subjects but aim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veryday life.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constructing content system which does not distinguish Academic Korean from Survival Korean.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Reading, Secondly, proficiency level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discuss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proficiency levels are firstly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y are subsequently subdivided into two different levels and then theses six levels are assign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ose levels should be divided into just three levels of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