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살모넬라 부재 계란 및 닭고기 생산을 위한 위생관리

        양시용(S. Y. Yang),홍영호(Y. H. Hong),송창선(C. S. Song) 한국가금학회 2010 한국가금학회 심포지움 Vol.2010 No.5

        축산물은 사람의 주요 식품원으로서 중요하지만, 식중독균의 주요 매개체이기도 하다. FAO/WHO(2002) 보고에 따르면 유럽에서 발생하는 식중독의 약 26 %가 닭고기 및 계란을 포함한 가금유래로서, 식중독 발생의 77.1 %가 살모넬라균이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enteritidis가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살모넬라 오염 가금생산물의 공중보건학적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며, EU와 미국을 중심으로 살모넬라 제어를 위해 사육단계에서부터 도축 및 가공단계까지 전 과정에서의 살모넬라 제어프로그램을 적용 확대해가고 있다. 식품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살모넬라 차단방역 시스템 설계,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백신과 유기산, 경쟁적배제제, 프로바이오틱스, 박테리오파아지 등과 같은 살모넬라 저해제의 적용을 포함한 살모넬라 부재 가금 및 안전 계육 생산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Salmonella infections cause the disease in poultry and some zoonotic. Salmonella can be transmitted to human through poultry products, resulting in foodborne disease. The FAO/WHO report on foodborne diseases in EU reported that about 26 % of foods involve in outbreaks involves poultry and poultry products. Salmonella i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ausal agent of outbreaks in the EU, being possible for 77.1 % of outbreaks. Of these, more than one third were confirmed to be caused by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infections in birds are increasingly worldwide subject to control measures and programs due to the public health threats by Salmonella contaminated poultry products. The US and EU have initiated control programmes to reduce Salmonella in poultry. Control programmes include the whole poultry production chain, and include measures of biosecurity, Salmonella-free feed, management systems, hygiene and disinfection. Salmonella control programmes may include vaccinations and feed additives such as organic acids, competitive exclusion products, probiotics, prebiotics, essential oils and bacteriophages.

      • KCI등재
      • Phytase 생산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양시용,배경숙,김창원,오태광,박근규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1999 動物資源硏究誌 Vol.20 No.-

        본 연구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exo-type의 phytase 활성이 높은 균주의 선발 및 동정을 위해 실시하였다. 썩은 나무, 흙 등에서 분리한 1.500여 균주(곰팡이 700여 균주, 방선균 500여 균주, 세균 300여 균주)를 0.5% Ca-phytate를 함유한 phytase screening 배지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phyt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한 결과 300여 균주를 얻었으며, 2차로 Na-phytate를 기질로 하여 exo-type의 phyt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0.1 units/ml 이상의 높은 phytase 활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5균주를 얻었으며, 이중 가장 phytase 활성 및 specific activity가 높은 No. 343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여 동정한 결과 Penicillium waksmanii로 동정되었다. 5 L jar fermenter(2 vvm, 500 rpm)를 이용하여 YM 배지에서 28℃ 배양조건으로 배양한 결과 96 시간 경과시 가장 높은 phyt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배양액의 pH는 3.2∼3.5로 나타났다. Phytase (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 EC 3.1,3.8) catalyzes the hydrolysis of myo-inositol hexakisphosphate, commonly known as phytic acid, that is pricipal storage form of phosphorus in seeds and pollen. The phytase-producing microorganisms occurring on rotten woods and soils were selectively isolated on the phytase screening medium with 0.5% Ca-phytate. Among more than three-hundred isolated of phytase-producing microorganisms, one fungal isolate was selected, having the highest exo-phytase production. The exo-phytase producer, fungal isolate No. 343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Penicillium waksmanii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aximum production of phytase was reached after 96 hr of cultivation with aeration of 2 vvm in a 5 L jar fermenter.

      • 한방부산물의 발생 현황과 영양적 특성 및 한약재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박근규,정원형,김창원,최희숙,강창원,양시용,김태종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1999 動物資源硏究誌 Vol.20 No.-

        본 연구는 한방부산물의 사료화를 위한 기초자료고서 한방 부산물의 생산량과 이용 가능량의 추정 및 발생원별 성분 함량과 가금에게 유용한 한약재의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996년 기준으로 한방 부산물의 국내 총생산량 및 이용 가능량은 각각 100,900 M/T 및 35,670 M/T으로 추정되었다. 2. 한의원에서 수집된 시료의 조성분 함량은 건물, 조단백질, 조섬유 함량이 각각 40.7±9.0%, 12.1±1.1%(건물기준), 20.0±1.0%(건물기준)로 나타났으며, 봄, 여름간에 계절별 조성분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동물성 한방 부산물의 조성분 함량은 건물, 조단백질, 조섬유 함량이 각각 47.5±4.7%, 30.1±2.0%(건물기준), 15.8±2.1%(건물기준)로 나타났다. 4. 제약회사에서 수집된 시료의 조성분 함량은 건물, 조단백질, 조섬유 함량이 각각 29.8%±5.7%, 13.0±5.2%(건물기준), 28.9±13.8%(건물기준)로 다른 시료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고 단일약재의 경우 약재의 종류에 따라 조성분 함량이 크게 달랐다. 5. HPLC를 이용한 표준 생리활성 물질의 retention time을 분석한 결과 scopoletine, coumarine, adenosine, coumaric acid, saponin, oleanolic acid, berberin이 각각 4.32, 5.64, 2.38, 1.79, 2.04, 6.20, 15.50분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mount and availability of oriental medicine residue (OMR), to analyze chemical composition of OMR from different sources for developing feed resources, and to characterize bioactive substances of oriental medicines for poultr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Estimated total amount of domestic production and availability of OMR in 1996 were 100,900 M/T and 35,670 M/T, respectively. 2. Chemical composition of OMR collected from oriental medical clinic was 40.7±9.0%(DM), 12.1±1.1% (crude protein, DM basis) and 20.0±0.1% (crude fiber, DM basis). Seasonal differences between spring and summer were not detected. 3. Chemical composition of OMR from animal origin was 47.5±4.7%(DM), 30.1±2.0% (crude protein, DM basis) and 15.8±2.1% (crude fiber, DM basis) for DM,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respectively. 4. Chemical composition of OMR collected from pharmaceutical company was 29.8±5.7%, 13.0±5.2%(crude protein, DM basis), 28.9±13.8% (crude fiber, DM basis), having higher concentration of moisture than OMR collected from other sources. In case of using single oriental medicine, the composition of OMR was highly dependent on the chemical nature of oriental medicine. 5. Retention times of bioactive substances by HPLC analysis were 4.32, 5.64, 2.38, 1.79, 2.04, 6.20 and 15.50 for scopoletine, coumarine, adenosine, coumaric acid, saponin, oleanolic acid and berberi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