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양다경 ( Yang Dakyoung ),이연승 ( Lee Yeons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이해, 교권보장, 침해원인, 교권 확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과 교권 확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 200부를 배부하여 최종 1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권 의미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교권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 중 신분·재산권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권침해 수준 및 원인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현재 교권침해 수준은 약간 침해받고 있다`에, 교사의 교권 확립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교육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국가의 교육정책` 에, 교사가 학부모로부터 교권을 침해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부당한 요구나 간섭` 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권 확립 대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교권보호를 위해 교사 스스로 노력해야 하며, 교권확립을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하다` 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form righteous social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and establish strong authority in of itself by analyzing the parent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guarantee of authority, causes of infringement and establishment because parents have a great impact on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To this end, this study gave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5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 of a teacher`s authority and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In terms of guaranteed authority, they perceived a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and rights to property the mos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ir authority is currently infringed to some extent` for the infringement of authority, and responded that the biggest factor hindering a teacher`s authority from being established is `th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the parents perceived that the teachers` authority is most infringed by `parents` unjust requests or interventions`. Third, the parents most perceived that `the teachers themselves have to try to protect their authority and a system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teacher`s authority.

      • KCI등재

        교권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양다경(Yang, Da-kyoung),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의무화가 쟁점이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교육을 위해 유아교육의 주체가 되는 유치원 교사의 사기와 직접 관련이 있는 교사의 권리에 관심을 두고, 유치원 교사들의 교권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며,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336명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육권이 법적으로는 보장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헌법 규정에 맞게 교육할 권리를 당당하게 가지고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authority and its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It was also us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improving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located in Busan schools. 336 questionnaire papers of distributed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The findings include the legal authority of a kindergarten teacher is guaranteed, but in reality it is the fact that limit, the right to educate according to constitutional provisions have proudly educational activities to do with the overall maintenance was required.

      •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권 인식과 경험

        이연승,양다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권 인식과 경험에 대해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방법과 교사의 경험 사례를 통한 심층면담 질적 연구방법(Merriam, 1998 /1994)을 활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16개 구군과 경상남도 김해시와 창원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현직교사를 연구자가 임의로 균등하게 선정하여 설문지 21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 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207부(98.5%)를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 대상은 양적연구 설문지에 응답한 교사들 중 최종 1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로 양적 연구는 SPSS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심층적 면담을 통한 비교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적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위한 교권 보장실태 즉 교육권, 신분·지위권, 재산권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교권확립저해 요인으로는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며, 가장 침해가 되는 부분은 ‘신분 관련’과 ‘부당한 요구나 간섭’, 교권침해에 대한 대처는 ‘동료에게 조언 및 협조를 구한다’고 나타났다. 교권확립을 위해 ‘교사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교권보호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교사를 존경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었다. 질적 연구 결과는 양적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교육현장에 있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근무환경과 신분보장, 교사의 지위 등을 개선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보고 있었다.

      • KCI등재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연승 ( Lee Yeonseung ),양다경 ( Yang Dak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환경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기대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사회의 유아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최종 251부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스마트러닝 교육환경,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 경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 경험, 유아의 스마트 기기 활용, 스마트러닝활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자료 보급, 스마트러닝의 학습 효과, 스마트러닝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 TV와 휴대용 태블릿 사용이 높았고, 교사 1명이 다수 유아를 대상으로 일반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당 스마트러닝 일수는 매일 또는 일주일에 1∼2회가 가장 높았고, 일일 스마트러닝 수업 시간은 30분미만이 가장 높았다. 스마트러닝 활용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통한 수업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음악, 동영상 시청이 가장 높았고, 쌍방소통의 교육보다는 일방적인 교육이 가장 높았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한 자료보급과 같은 기반이 적다고 인식하였고,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의 개발과 기기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smart-learning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learn about the challenges and problems and expectations of the smart-learning community,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promoting next generation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future. To underst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study subject, random sampling was done by targeting 16 kindergarten and nursery teachers in Busan and 251 final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smart-learning environment, earning experience utilizing smart devices, classroom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s, children using smart devices, application and data dissemination, effect on learning in smart-learning, and need for smart-learning.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devices mainly used were portable tablets and smart TVs and one teacher used the smart device targeting a group of children. The number of days of smart-learning of everyday or twice a week is the most, and the class hours of daily smart-learning is in under 30 minutes is the most. To increas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during smart learning lessons, listening to music and watching videos watching constituted a large part of the education. Smart-learning education was one-sided rather than frequent communication between two parties. In addition, there was an inadequate platform for using smart-learning such as data dissemination. To better use smart-learning, various education materials and learning devices and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 대학생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과 수면의 질 간의 관계

        김보민,김지은,김희진,문소연,문재민,송지원,양다경,이서연,정유담,허혜빈,배성희 이화여자대학교간호학회 2020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4

        Purpose: This study's main objectives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at bedtime and sleep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sample 189 Korean college students(20-26 years old( participated in a survey about smartphone use in bed time and sleep quality. Self-reported sleep quality, daytime fatigue and insomnia were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Korean version (PSQI-K). There are 3 sections of the questionnaire; 1) general information 2) sleep quality using PSQI-K 3) smartphone usage before bedtime. Data was analyzed using cross tabulation,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1. There was a difference whether they suffer from daily life due to the use of smartphones before bedtime between college student‘s sex and majors. 2.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ain purpose of using smartphone before bedtime by age. 3. Respondents who used their smartphones before bedtime everyday showed prolonged sleep latency than those who used smartphones before bedtime less frequentl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usage time and recognition on smartphone usage before bedtime and its disturbance of daily life. 5.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martphone usage before bedti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is the necessity of self-management among college students to enhance their sleep quality.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on the smartphone usage before bedtime is necessary due to the absence of the precedent studies and gender imbalance in the collect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