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 간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및 행복 차이

        양난미(Yang, NanMee),이정훈(Lee, JeongHun),송미경(Song, Mikyoung),이은경(Lea, Eunk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이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행복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0~65세의 중년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 1 높은 분노관여 집단, 군집 2 적응적 분노조절 집단, 군집 3 억제 및 표출집단, 군집 4 낮은 분노관여 집단으로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을 다른 연령대와 비교한 결과, 연령대별로 분노표현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억제 및 표출 집단은 신체적 공격성과 언어적 공격성이 높고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사용하며 행복 수준이 낮아 4개 군집 중에서 가장 부적응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적응적인 삶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group of middle-aged people according to anger expression styles and their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aggress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happiness. 409 surveys of middle-aged people between 40 and 60 years old were analyzed. A result suggested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high anger-involving group, adaptive anger-control group,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and low anger-involving group). By comparing anger expression subgroups of middle-age to other ag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anger expression by age. Moreover,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showed most maladaptive aspect in 4 clusters with high physical and verbal aggression, low happiness and using maladaptive strategy than adaptive 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is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anger expression styles and adaptative life of middle age.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 내적통제성에 따른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 ( Yang Nanmee ),이아라 ( Lee Ara ),신현우 ( Shin Hyeonw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교사 375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 내적통제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교직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를 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내적통제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job stress according to internal contro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eachers’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BJW-self)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For this purpose, BJW-self, the internal control, teacher’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were measured from 375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JW-self and STJ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teacher’s job stress. The higher BJW-self, the lower th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tress, the low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JW-self and the job stress. When BJW-self was low,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owever, when BJW-self was high,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Third, in the effect of BJW-self on satisfaction with a teaching job,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job stress through internal control was moderat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f a teacher with a weak BJW-self had high internal control, the teacher’s job stress increased, thereby lowering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strong BJW-self had higher internal control, lower job stress which increases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 성차별지각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Nanmee Yang),이명신(Myungshin Lee),홍은솔(Eunsol Ho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성차별지각과 우울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중등학교에 재직중인 남녀교사를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우울, 성차별지각을 측정하였고, 4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차별지각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성차별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신념이 낮을수록 성차별지각의 수준이 높아졌는데 남성의 경우 그 관련성이 여성보다 강했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성차별지각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낮을수록 성차별지각의 수준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가 남성의 경우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y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in a just worl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belief in a just worl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depression and gender of the 412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Second, gender had moderation effect on belief in a just world an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The lower the belief in a just worl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men, the tendency was stronger than that of women. Third, the moderated meditation effect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belief in a just worl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which could lead to more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this pattern was more pronounced in me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특성분노와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자의식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양난미(Yang, NanM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행동을 탐색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특성분노, 자의식, 분노억제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68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성분노척도, 자의식척도, 분노억제척도와 음주문제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3가지 대안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방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특성분노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자의식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특성분노와 분노억제간의 관계에서 자의식은 부분매개를, 자의식과 음주문제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는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즉, 특성분노수준이 높을수록 자의식, 분노억제 및 음주문제 수준이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시에 자의식 수준이 높아질수록 분노억제 수준 역시 높아졌으며 분노억제수준이 높아질수록 음주문제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특성분노가 어떤 과정을 통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it-anger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problems and whether self-consciousness and anger-in mediated the effects. For this study, 468 undergraduates were recruited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and three alternative models. We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anger-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drinking problems. Concretely, self-conscious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anger-in, and anger-i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rinking problems. These results revealed the process of trait-anger influencing drinking problems, and w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관한 연구동향

        양난미 ( Nanmee Yang ),김미경 ( Mikyoung Kim ),이아라 ( Ara Lee ),장지선 ( Jiseo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JW)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년 이후부터 2021년 1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55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별 논문 수,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변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2002년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매년 1편 내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별 결과 중 연구대상의 연령대는 초기 성인기, 성별은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유형은 관계성 연구를 중심으로 양적연구가 많았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중에서는 Lucas et al.(2011)의 척도를 김은하 외(2017)가 타당화 한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관련변인별로는 인지 관련변인, 진로 및 취업, 정신건강 순으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연구방법 및 대상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belief in a just world that has increase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this end, 5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January 2021 were analyzed for publishing year, research methods,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variabl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er year show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from 2002 to the present of 2021. Second, th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were mostly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As for the type of research, there were many quantitative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s were the scale by Kim et al. (2017), the Korean version of Lucas et al. (2011). As a related variable, cognitive-related variable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career and employment,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 KCI등재

        국내 다문화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동향

        이수민 ( Sumin Lee ),양난미 ( Nanmee Yang ),이아라 ( Ara Lee ),김미경 ( Mikyoung Kim ),장지선 ( Jiseo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구성원으로 성장할 다문화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이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 출판된 논문72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11년부터 현재까지 연구들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으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전국표집연구, 연구 유형으로는 양적연구, 시간설계로는 횡단연구,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패널조사 자료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관련 변인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는 개인적 특성, 학교 및 기관, 가정 및 부모, 지역사회 및 국가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the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will grow up as major members of Korea.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for 72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11 to 202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by year, the researches from 2011 to the present showed a steadily increase. Secon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targeting, national sampling by region, quantitative research by research type, cross-sectional research by time design and panel research by data collection method were the most comm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by related variable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chool and institution, family and parents, community and count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이차피해태도, 공정성 실천, 다전문직간 관계가 연계에 미치는 영향

        이명신(Lee, Myung Shin),양난미(Yang, Nanmee),김점희(Kim, Jeom Hee),문유정(Moon, You Je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1

        성폭력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과 상담사의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상담사 109명과 경찰 11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계실태, 연계관련 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연계수준에 이차피해태도, 공정성, 다전문직간 관계가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경찰과 상담사 간 연계정도는 가장 높았으나 연계수준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전문직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경찰과 상담사는 이차피해태도(의심, 편견), 공정성(정보제공), 다전문직간 관계(역량인정, 의사소통)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경찰과 상담사의 연계수준에 다전문직간 관계(역량인정과 의사소통)는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사의 경우 그 이외의 변인은 연계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경찰의 연계수준에는 의심, 정보제공과 형사절차설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who work together with sexual-assault victims. Using data collected from 114 police officers and 109 counselors,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collabor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Analysis showed that the extent of collabor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was the highes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llaboration.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doubt and prejudice, ability to provid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respect for other professionals, and communic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Police officers’ levels of doubt and prejud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unselors, whose ability to provid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respect for other professionals, and commun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ce officers. It was also found that respect for other professionals as well as communication were strong predictors of collaboration for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For police officers, levels of doubt, ability to provid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and explanation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 KCI등재후보

        성격 평정에 대한 자기보고와 타인지각의 차이: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을 중심으로

        정명희 ( Myunghee Chung ),양난미 ( Nanmee Yang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0 No.2

        본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이 성격 5 요인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확인하고, 자기보고와 타인지각의 차이 연구를 실시하여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의 자기지각 경향과 자기 고양을 보이는 성격 영역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경남 소재 4년제 대학생 18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차 설문이 회수된 83부와 타인 평정을 위한 2차 설문 8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집단을 구분하여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첫째, 외현적 자기애, 자존감이 자기보고된 성격특성 영역과 갖는 관계를 살펴보면, 외현적 자기애는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존감은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신경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타인에 의해 지각된 성격특성에 대해서는, 외현적 자기애는 오직 외향성만이, 자존감은 단지 우호성만이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격 5 요인 각각에 대한 준거 대비 자기 고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외현적 자기애는 신경증을 제외한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우호성에서 자기 고양 경향을 보이며, 자존감은 우호성을 제외한 다른 4 요인에서 자기 고양 경향을 보였다. 넷째, 높은 외현적 자기애와 높은 자존감(높은 외현적 자기애가 포함되지 않은)은 타인 보고된 자기와 자신이 지각하는 자기가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에 대해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결과가 가지는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ese studies is to identify the self-other discrepancy in personality ratings concerning overt narcissism, and self-esteem. Sampling from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ivers (friends or family members), this study used Narcissistic Personalit Inventory(NPI),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IPIP) and Self-Deceptive Enhancement (SDE) for self-rating and only used IPIP for the ratings by others.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t narcissists rated themselves highly on four personality factors (except neuroticism) and high self-esteem individuals rated themselves highly on all of these traits. Second, perceivers rated overt narcissists as extraverted, and high self-esteem individuals as agreeable. Third, overt narcissism and self-esteem showed the tendency of self-enhancement. Fourth, high overt narcissism and high self-esteem(but not high overt narciss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openness, agreeableness, extraversion of criterion-based self-enhanc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ts meaning, limits, and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의 분노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송미경 ( Mikyoung Song ),이은경 ( Eunkyoung Lea ),양난미 ( Nanmee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이 가족관계에서 경험하는 분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년남성 20명(44~59세)을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 분노경험의 중심현상은 ‘상처받기 쉬운 자존심’이었다. 이는 ‘기대대로 되지않음’과 ‘무시당함’이 원인이 되어 ‘지위의 변화’,‘ 나이들어감에 대한 지각’, ‘가족가치와 가장역할에 대한 인식변화’의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경제적 부담’ ‘지지집단’ ‘가족의 정서적지지’, ‘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분노경험을 조절 혹은 억제하며 ‘폭발하기’, ‘회피하기’, ‘홀로견디기’, ‘자각하기’, ‘내려놓기’, ‘대화시도하기’가 상호작용전략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가족관계 프로그램과 중년 남성을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iddle-aged men’s anger experience in family relationships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20 middle-aged men(44 to 59 age)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was ‘vulnerable pride.’ ‘Not expected’ and ‘disappreciated’ were the causal conditions and ‘status change’, ‘perception of aging’, and ‘perception change of family value/role’ were contextual conditions. Financial burden, family and surrounding support, change of anger perception mediated the experience of anger. Interaction strategies were explosion or avoidance of anger, enduring, self-awareness, put down, and trying to communication. Suggestions for participants ar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ship program and psychological service.

      • KCI등재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유상건(Yu, SangGeon),박명진(Park, MyongJin),양난미(Yang, NanM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다문화 감수성의 개념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49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초등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한 결과, 18문항으로 이루어진 5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열린 마음’ 4문항, 2요인은 ‘다문화적 지식’ 4문항, 3요인은 ‘사회적 이완’ 4문항, 4요인은 ‘비판단적 태도’ 3문항, 5요인 ‘자기 개념’ 3문항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등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증분 타당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After reviewing of precedent studies,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of 49 preliminary items was produced. A survey of 150 elementary students was conducted, final 16 items and five sub-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elementary students data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18 items were finally confirmed such as; four items on open-mindedness, four on multicultural knowledge, four on social relaxation, four on non-judgmental, three on self-concept.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test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150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were appropriate for the model. Also,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current validity and the incremental validity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verified in the four-week tes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