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연구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에서 운영된 민족 공학제도를 검토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등교육 단계에서 실업계 학교는 일반계 학교와는 달리 조선인과 일본인이 같은 학교에 재학하는 민족 공학제로 운영되었다. 민족이 혼합된 학급을 편성하고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는 등 노골적인 민족간의 차별을 낳는 요소를 없애고자 하였다. 이처럼 민족 공학제는 형식적 차별제도를 폐지하고 ‘일시동인’을 표방한 1920년대 이후 식민지 교육의 이상적 실험이었다. 그러나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운영은 조선인 학생들에게 매우 차별적인 것이었다. 신입생 선발에서 전체 지원자수 규모를 무시한 민족간 동수 선발 원칙은 조선인에게는 극심한 입학 경쟁을 낳는 불공평한 제도였다. 학교생활에서도 조선인 학생들은 같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차별적 관행을 경험해야 했으며, 학업성적 산출과정에서 일본인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었다. 또한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는 과정에서도 추천제 취업은 민족적 차별의 요소가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실업학교의 공학제는 식민당국에 의해 ‘내선융합’의 상징인 것처럼 선전되고 있었으나, 실제 운영은 매우 불공평하며 차별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인 학생들은 집단행동을 일으키며 당국의 민족 공학정책을 정면으로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실업학교 학생들의 집단적 저항은 고등보통학교나 보통학교에까지 민족 공학제를 확대하려는 일본 제국주의의 ‘동화주의’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thnic discrimination of the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Unlike general schools,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dopte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which allowed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o attend the same school. The aim of ethnic coeducation system was to remove the factors that caused blatant ethnic discrimination, claiming to ‘Fusion of Korea and Japan’ policy. Mixed ethnic groups were organized in a classroom for the same curriculum and a dormitory was also organized with mixed ethnic groups so they could also live in the same space. Furthermore, meticulous attention was paid to the maintennce of ethnic balance when selecting a student representative. Howev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vocational schools had highly discriminative features to Korean students. Since the ratio of ethnic group for the admission was fixed, the different admission rate applied to Korean and Japanese.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same number of candidat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neglecting the size of the entire number of applicants, made the system unfair to Korean, causing an intense admission competition. Moreover, even though Korean students successfully entered the school, they had to experience discriminative customs happening in the same classroom everyday. Especially Korean students highly complained about the calculation of school records, because they got comparatively low scores on items in which the subjectivity of an evaluator was involved, such as practice and conduct points, compared to Japanese students. The ethnic discriminative system of vocational schools applied to not even admission and school life but graduation and employment. Employment of students at vocational school at that moment was performed by a recommendation system. When administrative agencies or ordinary companies asked school for a recommendation of school graduates, school selected students suitable for each organization and asked the relevant organization for their employment. However, there were ethnic discriminative elements structurally hidden in such recommendation system. Organization that asked for a recommendation specified the conditions of desired ethnic group for such recommendation and school also selected and recommended students with a discriminative standard for each ethnic group. Consequently, Korean students could not be recommended for a desired job or failed to get a job, being pushed back by Japanese students having lower scores. As described above, the coeducation system at vocational schools having strong ethnic discriminative nature, but it was propagated as if it was a symbol of ‘assimilative educ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However, Korean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ve customs everyday und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and developed their ethnic awareness and took collective actions to oppose the coeducation policy. Such collective resistance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was about raising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ssimilation policy of the imperialism of Japan that attempted to expan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even to other general schools.

      • KCI등재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국민성” 양성 교육 연구: 일본어, 수신과, 공민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안홍선 ( Hongseon Ahn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3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도를 채택하고 있던 일본에서와 달리, 조선총독부는 이들 과목의 교과서만은 직접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과서 정책을 도입한 배경과 ‘국민성’ 양성 과목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식민지 중등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당시 중등교육은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 실업학교 등 각기 성격을 달리하는 복선형 체제였다. 핵심과목은 ‘충량한 국민’ 혹은 ‘건전한 국민’ 양성을 표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지만, 각 학교용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구체적인 인재상은 서로 달랐다. 또한 동일한 교과목이라 하더라도 제국 일본에서와 식민지 조선에서의 교육내용은 동일하지 않았다. 이들 학교 및 조선과 일본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식민지 지배정책의 모순으로 인해 각 교과에 투영된 식민지 중등교육의 목표는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웠다. 특히 공민과 도입 과정에서 식민지 교육의 모순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정치.경제.사회생활에서 자치적인 공민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민과 교육은 어떠한 정치적 권리도 주어지지 않은 조선의 상황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다. 결국 공민과 교육은 조선인에 대해 권리는 배제한 채 의무와 헌신만을 강요하는 가족주의적 국가관 주입과 도덕교육의 강화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공민과의 도입 과정은 ‘국민성’ 양성 교육의 모순성, 즉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교육이 갖는 모순성과 무능력이 배태한 폭력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agreement of Koreans, the colonial authorities made the curriculum of so-called spiritual education including morality, Japanese language and citoyen subject. The textbooks of these subjects were intended to discipline Korean students to internalize the obedience willingly. However,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as frequently confronted by the resistance movement of Korean students. These strained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Korean students gave traits unique to the colonial education.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education policy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spiritual education. For instance, the citoyen subject was a citizenship curriculum to boost mature civic awareness in Japan where universal suffrage was in effect. In colonial Korea, however, everything was different to Koreans who were not given any political rights. Consequently, the citoyen subject was designed to merely function to make sense the obligation duty and loyalty of Koreans to the Japanese Empire. In other words, the colonial education was never the same one in the imperial Japan even though the assimilation principle was claimed to stand for ethnic indiscrimination officially. Thus, the absurdity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stemmed from the contradic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itself, which was so violent to Koreans as well as illogical.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사범학교제도의 식민지적 성격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1

        한국의 교육사 이해에서 식민지시기 사범학교제도는 우수한 학생 선발,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 안정적인 교원 공급 등의 측면에서 목적형 양성체제의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가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것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범학교제도가 성공적으로 기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식민지적 상황이라는 매우 특수한 조건에 있었다. 먼저,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었던 것은 중등교육 기회 제약 및 고학력 지위의 일본인 독점에 따른 반사적 효과였다. 그리고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에서도 당시 사범학교는 중등교육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 전면적인 시행이 어려웠다. 더구나 양성기간이 길었던 사범학교제도는 안정적인 교원 공급에 매우 불리한 제도였다. 급증하는 교원 수요에 대처하지 못하였고, 부족한 교원은 단기 양성과정이나 일본으로부터의 유입에 의존해야 했다. 이처럼 취약한 사범학교제도가 식민지시기에 목적형 양성체제로서 운영되었던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 일본에서보다 강화된 폐쇄형 제도를 통해 일반 보통교육을 통해서는 채울 수 없는 교사의 품성 계발을 목적에 둔 것이었다. 교원이 되려는 자를 어린 나이에 조기 선발하여, 장기간의 ‘훈육’을 통해, 국가주의적 교육관을 체득하고 천황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식민지적 교원양성제도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ssess the prevailing thought that the Normal School System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1910-1945) was a model of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often said that the Normal Schools succeeded in recruiting excellent students, producing qualified teachers and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 through long-term educ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success of the Normal Schools was due to the oppressed colonial circumstances, not the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self. So,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came to an end, the strong point of the Normal Schools was supposed to be weak. As of now, we can witness that normal school system as a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was transformed into obstacle to producing creative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기간제교원제도 운영에 관한 기간제교원의 인식 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윤초희(Yoon, Chohee),안홍선(Ahn, Hongseon),장환영(Jang, Hwa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기간제교원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쟁점에 대해 기간제교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에 기초하여9가지 쟁점(법적 지위, 고용의 안정성, 채용과정의 적절성, 계약조건의 합리성, 처우·복지, 업무분장, 소속감 및 자존감 제고, 전문성 개발 및 연수 기회, 교육활동 성과 관리 및 평가)에 관한 분석 범주를 도출하였고, 전국의 기간제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기간제교원의 1/3에 해당하는 14,592명의 유효한 응답 샘플을 분석한 결과, 기간제교원들은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모든 요소에 대 해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반면에,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요도-만족도 간차이가 크게 나타난 항목은 고용안정성이었으며, 이어서 처우·복지, 합리적인 업무분장 순이었다. 이들쟁점사항의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개인특성 및 소속학교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이유,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학교유형과 학교급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으로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집단, 7~10년 경력자, 국공립학교 재직자,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반면,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 집단, 7~10년 경력자, 사립학교 재직자, 고등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the fixed-term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and investigates if these perceptions change depending on various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study subjects were fixed-term teachers that had been employed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July 2018.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s, and the amount of legitimate responses gathered comprised about 1/3 of the fixed-term teacher popul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ixed-term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employment s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s. Secon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reasons for choosing career, females, teachers in their 40s, teachers who chose to be a fixed-term teacher for financial reasons, and teachers who had 7-10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term teacher policy and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Thir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the type and level of school, on some aspects teachers working in public schools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 term teacher policy while privat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change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교사의 교직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분석: 초점집단 면담을 중심으로

        윤초희(Chohee Yoon),안홍선(Hongseon Ahn),장환영(Hwanyoung J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4

        기간제교사는 제도가 도입된 1997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교육적 담론에서 배제되어 왔고, 이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교직생활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중등학교 중장기 경력 기간제교사가 경험하는 교직경험의 의미와 제도 개선에 대한 이들의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기간제교사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목소리는 심층면담과 주제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성하는 12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다시 세 가지의 상위 범주-기간제교사의 교직경험, 기간제교사의 정체성, 기간제교사의 요구-로 통합되었다. 기간제교사들은 ‘개인적 필요’에 의해 교직을 ‘선택’하지만, ‘채용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역할모호성에 기인하는 ‘업무에서의 어려움’을 가지며, 생존과 실존의 ‘불안’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러나 교직에의 ‘헌신’을 통해 이러한 불안과 어려움에 대처해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간제교사들은 스스로에 대해 임시교사/대체교사라는 ‘자의식’이 강하고, ‘주변인’과 ‘전문 교사’라는 혼합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간제교사들은 ‘전문성 인정’, ‘고용의 안정화’, ‘공정한 채용’, ‘성장과 발달의 기회’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시사점으로, 제도 운영의 불합리한 측면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언되었고, 공정하고 배려 지향적인 학교문화의 조성을 위한 단위학교의 책임감 있는 운영과 구성원의 노력이 강조되었다. The fixed-term contract teacher has been excluded from the educational discourse although the number of fixed term teachers has been on the rise since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was introduced in 1997.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life of these contract teachers in the field has only started relatively recent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d by middle- and long-term caree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Twelve fixed-term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voices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twelve themes that make up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three higher themes: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of fixed-term teachers, the identity of fixed-term teachers, and the needs of fixed-term teachers. Fixed-term contract teachers choose teaching by personal needs but experience barriers to employment, have difficulty at work due to role ambiguity, and live with anxiety of survival and existence. However, they deal with these anxieties and difficulties through the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fixed-term teachers are conscious of themselves as a temporary/substitute teacher, and have a mixed identity of "marginalized’ people and a professional teacher. Finally, fixed-term teachers have demands for professional recognition, stabilization of employment, fairness in the hiring process,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As implications,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ir job conditions were suggested, and the responsible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the efforts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to create a fair and considerate school culture were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