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성 음료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과 인공타액에 의한 재광화

        안호영,이광희,김대업,Ahn, Ho-Young,Lee, Kwang-Hee,Kim, Dae-Eup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acidic drinks on the erosion of tooth enamel and the effect of fluoridated saliva on the remineralization. Twenty five drinks were sampled. The erosive potential and remineralizing effect were measured by the tooth surface microhardness test. The pH of most drinks were below pH 5.5. Reduction rates of enamel surface hardness by the flavored carbonated drink were 16.90%, 25.11%, 35.10%, and 41.62% after 5, 10, 30, and 60 minutes of demineralization, and recovery rates by remineralizaing solution were 61.52%, 67.96%, 72.13% and 75.93% after 1, 24, 48, and 72 hours of remineraliz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drinks in the markets have the potential to erode the teeth and that erosion occurs fast but remineralization proceeds slowly. 연구 목적은 시중 음료의 산성도를 조사하고 산성 음료가 유치 법랑질의 침식에 미치는 영향 및 침식된 법랑질에 대한 인공 타액과 불소의 재광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시중의 25 종류의 음료를 표집한 후 pH를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유치 법랑질의 침식 및 재광화 실험을 시행하였다. 음료의 pH는 대부분의 음료가 pH 5.5이하였다. 산성 음료에 의한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의 감소율은 착향탄산음료의 경우 5분 후가 16.90%, 10분 후가 25.11%, 30분 후가 35.10%, 60분 후가 41.62%이었고, 재광화용액에 담갔을 때 표면미세경도의 회복률은 1시간 후에 61.52%, 24시간 후에 67.96%, 48시간 후에 72.13%, 72시간 후에 75.93%이었다. 결과는 시중 음료의 대부분이 산성 음료이며 치아침식증의 발생은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에 재광화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경허(鏡虛)의 오도(悟道)와 실천의 문제 - 오도가(悟道歌)와 무애행(無碍行)을 중심으로 -

        안호영 ( Ahn Ho-young ),김영숙 ( Kim Yeong-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깨달음과 실천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바로 여기의 문제이며, 오늘날 경허(鏡虛)와 관련된 논쟁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이유이다. 기억된 경허와 그의 행리(行履)에서 촉발된 많은 논쟁들로 인해 불교 전문가들의 의견이 갈린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왜냐하면 경허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이미 그들의 마음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허와 관련된 `봄`과 `보임`이 만날 때, 구도를 향한 우리의 열망만큼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고, 그만큼 우리의 마음도 분열될 수 있다. 특히, `봄` 속에 녹아 있는 공동체의 합의를 따르려는 마음과 오도한 선사의 걸림없는 행을 흠모하는 마음의 충돌은 필화사건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다양한 쟁점들 중에서도 주요한 의문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경허는 오도(悟道)했는가?” 둘째, “悟道했는지 어떻게 아는가?” 그리고 셋째, “悟道한 사람의 행은 어떠해야 하는가?” 첫 번째 의문은 우리의 논의에서 많이 비껴나 있다. 왜냐하면 최소한 불교 공동체 속에서는 경허의 悟道를 문제로 삼지 않기 때문인데, 논자는 화두 참구와 오도가(悟道歌)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두 번째와 세 번째 의문은 논란의 여지가 많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근대불교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세심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수의 전문가들이 이 지점에서 의견이 갈리는데, 비록 경허의 悟道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가 보여준 무애행(無碍行)을 용인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논의의 흐름을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바꾸어서 경허의 悟道와 무애행을 논의할 것이다. 즉, 경허의 悟道를 인정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이며, 경허의 무애행을 본받는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논자는 이 의문을 해소하는 것이야말로 경허와 관련된 논란을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경허 오도가의 첫 구절과 마지막 구절(`四顧無人 衣鉢誰傳, 衣鉢誰傳 四顧無人`; `衣鉢誰傳 四顧無人, 四顧無人 衣鉢誰傳`)을 어떻게 볼것인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일 것이다. After classifying some discussions of Muaehaeng(無碍行, unobstructed action of a sage) of Gyeongheo(鏡虛) by himself, we investigate that it would be misunderstood and distorted positively or negatively in any respects. In center of these misunderstandings and distortions, there i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of between Bub-hwa(法化, dharma) and Haeng-li(行屬, deeds) presented by Hanam(漢岩). Since then, papers of a few researchers and Hanam`s peer group who had accepted this view would begin their arguments. We notice that they did not concentrate on the O-do(悟道, enlightenment) of Gyeongheo, but after the discrimination between O-do and Haeng-li(行屬, deeds), they had distinct and criticized his Haeng-li divided by positive and negative things. But the Haeng-li of the Awakened One bases on his O-do. However, there is the radical problem not only for this discrimination but also for finding out any faults, since someone who finds out faults of the Awakened One should reveal his faults for the thought of discrimination and knowledge by himself. That is to say, cause that faults came from his structure of recognition, the counter parts of his recognition are to be himself. Therefore, it is realized their criticism that they did not know that his fault becoming immediately to find out the other`s faults is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of the mislead. We also investigate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for their not knowing the Gyen-Cheo(見處) of his enlightenment. When even if they could not know his O-do-song(悟道頌, gatha of enlightenment), they would criticize his O-do and Haeng-li(行屬, deeds), it should be mislead. The message that Gyeongheo would deliver to ordinary people is their religious awakening, it would develop the born-nature even which they posses already. It is the reason that comes from the first and last phrases of from his O-do-song(四顧無人 衣鉢誰傳, 衣鉢誰傳 四顧無人; 衣 鉢誰傳 四顧無人, 四顧無人 衣鉢誰傳). We should know as the expression of his intentional benevolence(慈悲), but to deplore that there are not competent persons, it stems from the feeling and affection(情識) of a few researchers. We should address that his Muaehaeng is based on the Gyen-Cheo of his enlightenment.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직접성(直接性)의 문제와 『육조단경(六祖壇經)』의 "자성자도(自性自度)"

        안호영 ( Ho Young Ah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불교는 自覺의 종교이며, 깨달음의 종교이기 때문에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六祖壇經』에서는 ``自性自度``라는 한 句를 통해서 드러난다. 그러나 만약 이 句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방법론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의 본질로 구분하여 표현함으로써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깨달음은 간접적이며 매개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어떤 매개도 없는 ``直接性``의 문제를 마주해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自性自度``는 의미와 논의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본 논의의 목적은 慧能이 설하는 실천적인 의미에서 ``자성 보는 법``의 대의가 ``自性自度``라는 한 句에 담겨있음을 논증하려는 것이다. 먼저 자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실천[行]과 ``자성 보는 법``이 동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어서 이러한 실천[行]은 慧能의 삶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으며, ``자성 보는 법``을 체득하는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성 보는 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慧能이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을 ``自性自度``와 연결시킴으로써, 自性을 건네야 할 필요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건넬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네다[渡]에서 비롯된 옮김의 개념을 건네다[度]와 直接性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For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which is self-awakening and accomplishes the nirvana, the problem of both ``I`` and the ``nirvana``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problem is disclosed through the one phrase as the ``Cross-the-Self- Nature-Over(自性自度)`` in Altar Sutra of Hui-Neng(『六祖壇經』). But if we would see this phrase separately by expressing between the methodology of the process which approaches to the nirvana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essence of the nirvana in the contextual aspects, the nirvana would be going to the indirect and mediated thing. By this reason, we should confront the problem of the ``immediacy`` without any mediated things, then we could immediately enter into the region of the meaning and the discussion on the ``Cross-the-Self-Nature-Ov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rgue in practical aspects Hui-Neng(慧 能)``s addressing the primary summary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自性)`` which is contained in that one phrase.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self-nature, it is simultaneously both the practice[行] and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therefore we could discuss the argument which is related to the ``how to practically examine the self-nature``. Then we could find intactly this practice[行] in Hui-Neng``s life, accordingly reconstituting the self-experience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we could go forward the argument on the importance of this way. And then by connecting the ``how to examine practically the self-nature`` to the ``Cross-the-Self-Nature-Over``, we would discuss what is the necessity to cross the self-nature over and how is to cross over. Finally we would discuss how we could connect the cross-over[度] and the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of the move based on the cross-over[渡].

      • KCI등재

        ‘복잡성 논증’의 일상언어적 이해와 INUS조건

        안호영(Ahn, Ho-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오늘날 복잡계가 과학을 넘어 인문 및 사회과학에서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음에도, 질서의 범주 속에서 복잡계를 설명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는 여전히 많은 논쟁거리를 양산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논쟁이 형식적으로는 ‘인공언어’와 ‘일상언어’의 충돌이었고, 내용적으로는 ‘법칙적 질서의 일상성’ 대 ‘질서 일반의 비법칙적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대결로 규정하려고 한다. 내용적 불일치는 차치하더라도 오히려 논쟁의 형식적인 측면, 즉 양자 간 사용하는 언어체계의 상이함에 그 주된 원인이 놓여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복잡계는 지극히 일상언어적 측면에서 환원과 창발의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에 초점이 맞추고 있는 반면에, 물리학과 수학으로 대표되는 과학은 이것을 인공언어적 측면에서 설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공언어적 측면만으로 이해하려고 할 때, 복잡계가 보여주는 질서는 우연적이고 일회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복잡계가 여전히 질서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일상언어적 특징도 함께 드러낼 수 있겠는가? 논자는 분석철학에서 사용하는 ‘INUS조건’이 복잡계의 일상언어적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INUS조건이란 ‘어떤 결과의 발생에 대해 필요하다기보다는 충분한 조건들 속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요인’을 가리킨다. 복잡계의 논의에서 등장하는 ‘단순’ 관념 및 ‘상향적’ 용어와 ‘복잡’ 관념 및 ‘하향적’ 용어는 환원과 창발의 논의에서 각각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요인’을 의미한다. 즉 환원에서는 ‘단순’ 관념이 창발에서는 ‘복잡’ 관념이 INUS조건이다. 이때 ‘단순’ 관념에 창발과 관련된 조건이, ‘복잡’ 관념에 환원과 관련된 조건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이렇게 이해할 때 복잡성의 창발은 기존 과학의 관점을 배재하지 않는다. 다만 일상언어의 측면에서 무엇이 창발 혹은 환원의 주된 원인인지를 밝히고 있을 뿐인 것이다. Whether a complex system could be included in the criterion of the order or not, it looks like the crash between the ‘artificial language’ and the ‘ordinary language’ in the view of the form, and also ‘everydayness of lawful order’ and ‘anxiety for the orderless possibility of the order in general’ in the view of the context. But this disputes are sustained not by the contextual disagreement but mainly by the formal respect,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ystems of adopted languages by them. Whereas the complex system would focus on what it is the prime origin of the reduction and emergence in the aspect of the ordinary language, the science like physics and mathematics would focus on this in the aspect of the artificial language. However, orders of the complex system could be contingent and disposable in the respect of artificial language. Then how could we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 ordinary language even including in the criterion of the order altogether? I think that it could reveal thes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INUS conditions’ in the analytic philosophy, where INUS stands for “Insufficient and Non-redundant parts of Unnecessary but Sufficient causes”. In ‘complexity argument’, the concept of ‘simpleness’ & ‘bottom-up’ term and the concept of ‘complexness’ & ‘top-down’ term are ‘Insufficient and Non-redundant parts’ in the view of the reduction and the emergence respectively, it is the INUS conditions that is ‘simpleness’ and ‘complexness’ in the view of the reduction and the emergence respectively. But it is not saying that there is not emergent conditions in ‘simpleness’ or reductionist conditions in ‘complexness’. On the contrary, the emergence of complexity is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sciences. It just turns out only what the prime origin is in the aspect of the ordinary language.

      • KCI등재후보

        융복합 교육으로서의 과학 교양교육-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호영(Ahn, Ho 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2

        본 논문에서는 시대정신으로서 융복합 교양교육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검토한 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는 STEAM 교육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접목, 그리고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동국대의 진행 사례를 들어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특징에 대한 검토로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국대의 과학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할 것이다. 첫째, 문·이과 분리의 폐해가 매우 심각하다는 데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이러한 폐해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생명과 마음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교과목들에서 분명해진다. 둘째, 동국대는 종립 대학으로서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심성을 스스로 돌이켜 볼 수 있도록 불교 정신을 융복합 교과목 속에서 구현하려고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을 통해서 이런 특징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셋째, ‘인간’을 위한 융합 교육은 인간 자신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따라서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은 인간학을 지향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융합이란 자신이 마주한 한계적 질문을 앞에 두고서,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onverging general education as the spirit of the age by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then we would research the direction which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should go toward. We would address that there are the conjunction between STEAM and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and the attempt to intensify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Also by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we would examine how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could be characterized We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by giving its three ideas. First, we hold in common for bad influences of two cultures, these influences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science in converging education. It is obvious at the educational courses which are explained by the science and reflected by the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econd, since th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for students to introspect their born-nature by themselves, it is very distinctive to embody the spirit of Buddhist in the converging educational courses. We would explain by exampl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science and the humanities how these features could be embodied. Third, the converging education for ‘human’ is the study for investigating by themselves, then it also is distinctive to accomplish the anthropology. After all, what the convergence is, while confronting the ultimate question by themselves, it is concretized by the attempt to solve this ques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 고정된 카메라 내부 속성을 가정한 Self-Calibration

        안호영 ( Ho-young Ahn ),박종승 ( Jong-seo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Self-calibration에서 3차원 좌표의 복원은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하면 얻을 수 있다. 이 호모그래피 행렬을 얻는 방법은 dual absolute quadric, Kruppa Equation(dual conic), plane at infinity(modulus constraint)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안하는 방식은 dual absolute quadric을 사용한다. 카메라 내부 속성이 모든 뷰에서 동일하고 비틀림이나 영상의 원점이 중심이라는 가정을 두고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한다. 실험을 통해서 주어진 가정으로 정밀한 복원이 가능함을 보였다.

      • CamShift 알고리즘을 사용한 레이저 포인터 추적

        안호영 ( Ho-young Ahn ),박종승 ( Jong-seung Park ),최순필 ( Soon-pil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1

        레이저 포인터를 검출하는 과정은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입력된 레이저 포인터의 좌표를 모니터의 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추적에 있어서 다변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강건성의 확보가 어렵다. 기존의 추적 방식인 Mean-Shift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계산량이 많아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에는 부적합하다. 반면에 CamShift 알고리즘은 빠른 수행이 가능하여 비디오 영상 및 실시간 영상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배경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또한 검출하려는 색과 같은 색에 의해서 간섭 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경이 복잡한 형태이거나 배경이 동적으로 움직일 때에도 강건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환경에 적용한 결과 검출하고자 하는 물체가 예측 영역을 넘나들거나 또는 화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가까워져서 상대적인 크기가 변화할 수 있는 불확실한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질서를 바라보는 두 관념 : 법칙성과 복잡성

        안호영(Ahn, h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4 문화와 융합 Vol.36 No.-

        어떤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또는 보수적으로 질서의 복잡함만을 강조하기보다는 능동적으로 또는 진보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부여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런 상황과 맞물려서 복잡성 과학이 등장하였다. 특히 20세기 후반에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가로지르고 융합시키려고 할 때 창발성이라는 개념과 더불어 복잡성 과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분석과 환원에 의존하던 기존 과학은 그 절정의 순간에 거대한 장애물을 마주하게 된 것이다. 오늘날 창발적 현상에 대한 수리모형이나 계량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그리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론적 메커니즘의 구현에 노력을 경주하게 된 것은 지배적인 질서에 대한 반발로서 새로운 질서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논의는, 기존의 질서를 그대로 답습하기 때문에, 수동적인 의미를 갖는 법칙성이‘ 환원된 질서’와 관련이 있고, 새로운 질서를 찾아 나서기 때문에, 능동적인 의미를 갖는 복잡성이‘ 창발된 질서’와 관련이 있음을, 이 두 질서에 대한 이론의 형성과정을 통해서 검토하려고 한다. 먼저, 환원주의와 창발성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간략하게 논의한 후, 이어서 창발성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또한 법칙성과 창발성을 질서의 관념에 포섭하려는 시도를 검토하고 있다. 끝으로 이러한 시론적인 성격의 글을 통해서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간략하게 논의한다. To understand certain phenomena, there are casew that we should give new order positively or conservatively rather than would stress the complication of order itself passively or progressively. The science of complexity is brought out in this situation. Especially when crossing and converging between the natural science and the social science, with the concept of emergence, the science of complexity would have new epoch. The traditional science depending on both the analysis and the reduction, at its triumphant moment, would face the huge obstacles. In these days, trying to the numerical model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sured data on the emergent phenomena, and the realization of the theoretical mechanism on these phenomena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it would prove the initiation of noticing the new order against the already dominant order. In this study, we would investigate that the law with negative meaning, since conserving the old order, is related with‘ the reduced order’ and the complexity with positive meaning, since searching for the new order, is related with‘ the emergent order’,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eory on these two orders. Previously, after we would address briefly the history on how could appear both the reductionism and the emergence, then would explain how the emergence could conceptualize. And we would review the attempt to embrace both the law and the emergence into the idea of order. Finally we would propose the further works.

      • 한국이 추진할 가치외교

        안호영 ( Ahn Ho-young ) 한국외교협회 2023 외교 Vol.145 No.0

        After 1948, the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adjusted the basic orientation of it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t each important junc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Korea based it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on liberal democracy, market econom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the values underlying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That orientation enable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Forty years later, the Cold War came to an end. Former communist countries rushed to seek reform and liberalization. It looked possible to expand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to the whole world. This time, Korea declared its “Northern Policy” aimed at normalizing relations with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e policy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ccelerate Korea’s economic growth. Unfortunately, that era is coming to an end.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is meeting with huge challenges. President Biden calls these challenges a fight “between democracy and autocracy.” German Chancellor Olaf Scholz calls them “Zeitenwende,” meaning an inflection point in history. Korea has to brace itself for fundamental changes in the security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world and the Indo-Pacific. It was against such a backdrop that Korea declared its Indo-Pacific Strategy on Dec. 28, last year. The declar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for Korea to work to preserve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and concludes with nine core lines of effort that need to be made. The first core line is “Building regional order based on norms and rules”; “In realizing the vision for a free Indo-Pacific, the Republic of Korea is committed to partnering with like-minded countries that share the values of freedom, the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as well as international norm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the Indo-Pacific reg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do a lot of homework to advance the “Strategy”; broadening public support for the “Strategy”; establishing the whole of the government governance system for implementation; ability to deal with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maintaining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with countries not sharing our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