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자기자비척도(K-SCS-Y)의 요인구조 재탐색: 부분제약 목표회전을 이용하여

        안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Neff 외(2020)가 개발한 청소년용 자기자비척도(SCS-Y)를 한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청소년용자기자비척도(K-SCS-Y)의 요인구조를 재탐색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 지역의 중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전통적인 탐색적 요인분석과 부분제약 목표회전 요인분석을 통해분석하여 최적 요인 모형을 탐색하였다. 부분제약 목표회전 요인분석은 Self-Compassion Scale(SCS-Y)(Neff et al., 2020)의요인구조에 근거하여, 요인별 지표변인인 문항들은 자유모수로 추정하고, 다른 문항들은 0에 가까운 수로 제약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전통적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SCS-Y의 5요인 모형 및 6요인 모형이 모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척도인 Neff 외(2020)의 SCS-Y의 요인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부분제약 목표회전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SCS-Y의 요인의개수가 SCS-Y와 동일하게 6개로 나타났으며, 요인별 지표변수 문항도 원척도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 K-SCS-Y의 요인구조로 Neff(2003)의 자기자비 개념과 동일한 6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자기자비 연구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태용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the construct of “Korean Midlife Resilience” was exa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resilienc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both Midlife and Korean culture. The construct of resilience was divided into two types - ‘Internal protective factor(IPF)’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EPF),’ - which led to two subscales. This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500 Korean adults in midlif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PF scale consisted of 4 factors(26 items). The four factors were ‘Pursuit of Meaning and Perseverance,’ ‘New Challenge and steady effort of Self-Development,’ ‘Self-Care,’ and the ‘Pursuit of Harmonious Relationships.’ The EPF scale consisted of 3 factors(14 items). The three factors were ‘Family support’, ‘Social Economic Status and Social System for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econd, the fit of factor struct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different sample of 1000 Korean adults in midlife, reveal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both subscales were appropriate. Also,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isting resilience scales such as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RS)’. In addition,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The Middle Years Life Satisfaction Scale’. However, it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In conclusion, this scale showed adequat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needed to measure Korean midlife resilience.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는 중년기 한국인의 발달특성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적응유연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적응유연성, 중년기 발달특성,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중년기 한국인에 대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의 잠정적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을 내적보호요인과 외적보호요인으로 나누고, 각각을 별도의 예비척도로 제작하였다. 본 예비척도는 이후 전국의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4요인(의미추구 및 좌절 인내, 새로운 도전과 계속적인 자기계발, 자기 돌보기, 조화로운 관계추구) 26문항의 내적 보호요인척도와 3요인(가족지지, 사회경제적 지지환경, 가족 이외의 사회적지지) 14문항의 외적 보호요인척도를 완성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완성된 척도로 전국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요인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본 척도는 심리적 탄력성척도(The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 RS), 심리적 안녕감척도(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중년기 생활만족척도(The Middle Years Life Satisfaction Scale)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본 척도는 중년기 한국인의 적응유연성 측정에 필요한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완성된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예측요인의 영향 및 결과변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안태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predictors and outcomes. Methods: Using the longitudinal survey on school dropout youth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rom the 2nd to 5th, a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rajectories of social stigma, effects of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Results: First, three distinct trajectories of social stigma were identified as follows: ‘Mid-level maintenance type,’ ‘High-level increase type,’ and ‘Low-level reduction type’ based on the change of social stigma. Seco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barriers, ego resilience, and parental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each latent trajectory class. In contrast, a level of adaptation before dropping out of school and career perception at the beginning of dropping out of school. Third, in examining how different trajectories were associated with adaptation(depression, gam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gam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ach social stigma trajectory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tervention focusing on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stigma trajectorie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out-of-school adolesc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유형을 확인하고 발달 궤적 유형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및 발달 궤적 유형에 따른 적응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의 파악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 1~5차 년도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을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은 ‘중수준-유지 유형’, ‘고수준-증가 유형’ 및 ‘저수준-감소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진로장애, 자아탄력성, 부모지지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학업 중단 이전 적응 양상이나 학업 중단 초기 진로 인식이 사회적 낙인감의 초기치 수준 및 변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에 따른 적응 결과 변인(우울, 게임중독, 삶의 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발달 궤적 별 우울, 게임중독 및 삶의 만족도 수준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수준-증가 유형’, ‘중수준-유지 유형’, ‘저수준-감소 유형’ 순으로 우울, 게임중독 수준이 높았고, ‘저수준-감소 유형’, ‘중수준-유지 유형’, ‘고수준-증가 유형’ 순으로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 조력을 위해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유형을 파악하고 이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가족기능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배려성의 매개효과

        안태용,노영천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defending or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0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p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FACESⅢ), car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We applied the procedures in Preacher and Hayes(2008) on testing multiple medication models to conduct the main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care, the higher the defending behavior.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care, the lower the bystanding behavior. Second, the care perfec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defending or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가족기능과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배려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5, 6학년) 460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척도, 배려성척도,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족기능과 배려성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또래괴롭힘 방관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배려성이 가족기능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증진 및 방관행동의 감소에 가족기능의 역할이 중요하며, 아동의 배려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배려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안태용,김홍석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Parents attachment, Self-Esteem and Care. We applied the procedures in Preacher and Hayes(2008) on testing multiple medication models to conduct the main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paternal attachment. Second, the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esteem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paternal attachment. Third, the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 Forth, the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or maternal attachment and the care. Finally,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배려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부애착, 모애착, 자존감, 배려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Preacher와 Hayes(2008)의 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배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애착이 부애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려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자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애착이 부애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존감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은 배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배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결과가 의미하는 바와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