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우울증 관리를 위한 에딘버러 검사의 유용성

        안치석 ( Chi Seok Ahn ),강문선 ( Moon Sun Kang ),박선영 ( Sun Young Park ),최영락 ( Young Rak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1

        목적: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흔한 질환으로 산모 및 신생아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출산 후 외래에서 EPDS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후우울증 발생의 위험이 있는 산모를 확인하고 산과적 관련인자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출산한 산모 중 2014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3개월 동안 30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EPDS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EPDS 검사는 한국형(K-EPDS)을 사용하였으며, 10점 이상을 EPDS 양성 산모로 분류하고, 정신건강의학과적 정밀진단 평가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유하였다. 각 산모의 의무기록지를 찾아 산과적 관련인자에 따른 EPDS 점수를 비교하여 양성 산모와 관련된 요인을 찾아 보았다. 결과: EPDS 점수 10점 이상은 84명으로 조사대상 출산모 중 27.8% (84/302)가 EPDS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산모 나이를 포함하여 산후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인자를 확인하였는데, 이 중 아기 출생 체중이 4.0 kg 이상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EPDS 설문조사는 출산 후 60일 이내에 시행할 때 양성율이 높았다. 양성 산모 중단지 3명(3.6%)만이 정신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정밀 진단 후 상담과 약물치료를 받았다. 결론: EPDS 설문조사는 산후우울증을 관리하기 위한 사전 검사로서 유용한 방법이다. 출산모를 대상으로 EPDS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EPDS 양성 산모에게 정신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유하는 것도 중요하다. Objective: Postpartum depression (PPD) is a common postnatal problem. PPD has a negative influence on maternal functioning and child development. We examined the result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after delivery. Methods: Three hundred two postpartum mothe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EPDS was completed and scored at postpartum visits. Mothers whose score was 10 or more were classified as an EPDS positive for PPD. We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and determined risk factors for positive EPDS result. Results: The positive rate of EPDS was 27.8% (84/302). Among various factors, a newborn’s body weight more than 4.0 kg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positive result. The positive rate of EPD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performed within postpartum 60 days than after postpartum 60 days. Among positive 84 women, only 3 mothers visited a psychiatric clinic for furthe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PD. Conclusion: The EPDS was a useful tool for PPD screening. Obstetricians should consider an EPDS for effective screening of PPD. It would be the next important issue to encourage a screening positive mother to visit a psychiatric clinic.

      • KCI등재

        난소내 혈관상피성장인자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의 발현 양상

        노재숙(Jae Sook Roh),강지연(Ji Yeon Kang),지일운(Ill Woon Ji),정은환(Eun Hwan Jeong),안치석(Chi Seok Ahn),김학순(Hak Soo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2

        N/A Objective: The ovarian cycle is characterized by repeating patterns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at accompany follicular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and regression of the corpus luteum (CL). That angiogenesi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Angiogenesis is supposed to be regulat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e goal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refor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VEGF was changed in the normally cycling human ovary. We also investigated VEGF expression in the regressed CL (ie, nonfunctiong CL) of normal term pregnancy to define the association with steroidogenic activity. To our knowledge there is no report available on VEGF expression in the CL of term pregnancy. Methods: We assessed VEGF expression in ovaries obtained from, 26-42 yr of age, and from patients undergoing hysterectomy and salpingo-oophorectomy for nonendocrinological or nonovarian disorders. Tissue samples from premenopausal women included specimens from follicular (n=4) and luteal (n 4) phases. In addition, we studied ovarian specimens from pregnant women (n=3).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VEGF was performed using a rabbit poly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human VEGF. Results: These data demonstrate a development-related VEGF expression in the follicle and indirectly show that VEGF expression may be up to the existence of LH-receptor. And also, VEGF was overexpressed in the regressed CL of pregnant women compared with the functioning CL of nonpregnant cycl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nsity of VEGF expression is not correlated with steroidogenic activity, although both of them are stimulated by LH.

      • 임신중 모체혈청 α-Fetoprotein 및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동태와 중앙값 설정에 관한 연구

        김학순,정은환,안치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임신중 유전 질환 및 선천성 기형을 조기에 발견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임신 중기 모체 혈청내 alpha-fetoprotein(MSAFP) 및 β-hCG(MSHCG)를 이용한 선별검사의 효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임신 중기 MSAFP, MSHCG의 증가, 감소를 각 산모에 적용할때 유의해야할 사항은 각 임신 주수에 따른 측정치가 검사방법, 산모의 신체적 요인, 질환 유무 등에 영향을 받고 또한 측정치의 중앙값 및 상하 경계치의 설정 범위에 따라 결과 해석에 차이가 초래된다. 그러므로 환자 특성에 따른 각 병원 고유의 자체 측정치가 필요하게 되고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본 자료의 정리가 요구된다. 이에 저자는 임신 제 15주에서 19주 사이의 건강한 산모를 대상으로 MSAFP, MSHCG를 측정하여 각 주수별 측정치의 중앙값을 구하고 임신 주수에 따른 측정치의 동태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각 주수에 따라 중앙값을 기준으로 배수(MoM)의 범위를 환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전 질환 및 선천성 기형을 예방하고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의 일환으로MSAFP 및 MSHCG 측정치의 독자적 자료 구축이 가능하리라 여겨지며, 향후 확장된 연구를 통해 전 산모를 대상으로 한 선별검사 결과의 해석에 있어 판독의 기초 자료로서 유용성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MSAFP and MSHCG are commonly used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ngenital anomalies or genetic disorders in pregnancy. However, some factors including the patient's gestational age and assay condition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interpretation an individual levels. Thus, we feel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our protocol as an effective screening method. We determined median value of MSAFP and MSHCG from healthy mothers at 15 to 19 weeks gestation. The median values of MSAFP and MSHCG for each week of gestation were as follows : 21.8 ng/㎖ and 18,196 mIU/㎖(15 week), 29.2 and 13,562(16 week), 31.6 and 9,048(17 week), 42.2 and 9.454(18 week), 43.5 and 6,853(19 week) respectively. Multiples of median calculations using usual cut-off points are established.

      • Clinical Analysis on Ectopic Pregnancy

        Ahn, Chi Seok,Ahn, Kwang Hwa,Lee, Pyl Ryang,Kim, Hak Soon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1

        자궁외 임신은 임상에서 비교적 익숙하게 접하는 질환으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본원의 사정상 경험이 극히 제한된 실정이다. 자궁외 임신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최근의 괄목할 만한 발전으로 각 병원의 다양한 임상 경험 및 충분한 자료의 축적이 요구되고 있다. 비록 제한된 관찰이긴 하나 자궁외임신의 일반적인 임상 양상을 이해하고 향후에 보다 광범위한 분석을 계획하고자 그 기본 자료로써 본원 개원 이후 본 교실에서 경험하고 성공적인 치료가 되었던 35예의 자궁외 임신을 환자의 임상, 수술 소견에 따라 분석하였다. Despite of numerous reports on ectopic pregnancy in other hospitals, we have still extremely limited experiences. The recent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y urge us to found on our own basic database. For the purpose of this,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irty-five ectopic pregnancies treated at our hospital. Although it is very limited observations, yet we hop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ctopic pregnancy and construct the extended findings in future.

      • 임산부에서 임신성 당뇨병 선별을 위한 50g, 1시간 당부하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안치석,정은환,강석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5 忠北醫大學術誌 Vol.5 No.2

        당뇨병은 임신중 당대사의 생리적 변화가 과도하게 이루어져 유발되는 질환으로, 임신중에 처음으로 발견되거나 시작되는 다양한 정도의 glucose intolerance로 정의된다. 임신성 당뇨병에 이환된 경우 주산기 사망률이 증가하고, 거대아, 출산증 심각한 태아와 산모의 손상, 제왕절개술, 신생아 고빌리루빈증, 저칼슘증 및 저혈당 등의 위험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임신성 당뇨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선별 검사를 통하지 알고는 진단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 등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제 24주에서 제 28주 사이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 빈도 및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 적절한 산전 관리의 지침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전체 연구 대상 임산부중 임신성 당뇨의 발생 빈도는 5.6 %였고, 산모의 연령과 임신력, 혈당 측정치가 증가할수록 임신성 당뇨의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분만 당시 산모와 태아의 예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50 g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선별된 산초 군과 정상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원에 내원한 임산부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 빈도와 임상적 양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50 g 경구 당부하 검사가 임신성 당뇨병의 선별검사로서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Gestational diabetes may be harmful to pregnancy in a number of ways. There are many adverse maternal and perinatal effects associated with diabetic pregnancy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y. Screening for gestational diabetes in pregnant women is clinically importa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ral glucose screening test and its relation with fetal outcome, we performed 50 gm oral glucose screening tests between 24 and 28 weeks' gestation in pregnant women. Patients with an abnormal glucose screening test underwent an 10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overall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was 5.6 %. The incidence of abnormal GT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 parity, or glucose levels after G57 of pregnant wome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bnormal G57 value and maternal or fetal outcomes. This result suggests that 50 g glucose screening test is useful and simple method for the screening of gestational diabetes.

      • Elevated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in Cleft Lip and Palate

        Ahn, Chi-Seok,Roh, Jae-Sook,Jeong, Eun-Hwan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태아의 구개열 및 구순열은 결손부위의 크기가 작아서 일상적인 산전초음파 검사로는 놓치기 쉬운 기형이다. 임신 18주 및 23주에 검사한 산모혈청 알파-태아단백질은 각각 3.03, 4.19 MoM으로 상승되어 있는 산모에서 정밀 초음파검사로 태아의 구개열 및 구순열을 산전진단하였으며, 다른 부위의 기형은 발견되지 않아 부모의 결정에 따라 임신을 유지하고 만삭에 자연분만하여 확인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산모의 혈청 알파-태아단백질은 결손부위가 작은 태아기형을 조기발견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size of defect is too small, cleft lip and palate is easily missed during routine prenat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e present a case of elevated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MSAFP) in cleft lip and palate. MSAFP at the 18th and 23th week were 3.03 and 4.19 multiples of median, respectively. Defect of upper lip and hard palate was clearly visible on ultrasonography. MSAFP may prove to be a useful marker for the prenatal detection of the facial cleft.

      • Two Cases of Ovarian Pregnancy

        Kim, Hak Soon,Kang, Seok Won,Ahn, Kwang Hwa,Ahn, Chi Seok,Lee, Pyl Ryang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1

        자궁외 임신의 일종인 난소임신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본원에서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pregnancy is rare. We experienced two cases of ovarian pregnancy and report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 p53 발현에 대한 정량적 분석

        이태수,정은환,성노현,안치석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4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5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10 define the role of computerized quantitative analysis in evaluation for overexpression of p53 by immunohistochemistry. Total and labeled cells were counted automaticall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software for color-image analysis. In 16 uterine cervical carcinomas, the p53 labeling index calculated by computerized quantitative analysis was 9.22%±8.70% and by visual analysis 5.90±6.51%.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uterized quantitative analysis may be valuable in objective interpretation o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53 and reliable than conventional ways of visual analysis.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원발성 융모막암종 1예

        김학순,안광화,엄재호,안치석,이필량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4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5 No.2

        Pure, nongestational ovarian choriocarcinomas is extremely rare. Most ovarian choriocarcinoma are combined with other malignant germ cell tumors or can arise as a metastaais from a primary gestational choriocarcinoma.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ovarian choriocarcinoma that probably was associated with a past history of the mixture! of germ cell tumor and present i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