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총수익성 프리미엄

        안제욱(Jae-Ouk Ahn),김규영(Kyou-Yung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6

        연구는 총자산이익률이 횡단면 상에서 기대수익률을 잘 설명한다는 Novy-Marx(2013)을 따라 한국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기간은 1995년 7월에서 2013년 6월까지 18년 동안이고 한국주식시장에 상장된 431개의 제조기업을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대수익률을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총자산이익률, 영업이익, 영업현금흐름, 장부가/시가 비율, 기업규모, 과거 1개월 전의 성과, 그리고 12개월에서 2개월 전 사이의 성과를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Fama-MacBeth(1973)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채택된 독립변수들 중에서 총자산이익률의 기대수익률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ama and French(2006)를 이용하여 총자산이익률과 장부가/시가비율로 정렬하여 각각 5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자산이익률로 정렬한 것이 장부가/시가 비율로 정렬한 것보다 평균수익률과 포트폴리오간 차이의 수익률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자산이익률과 기업규모를 이용하여 각각 4개의 포트폴리오로 구분하여 총 16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기업규모를 통제한 후 총자산이익률이 낮은 기업과 총자산이익률이 높은 기업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총자산이익률과 장부가/시가 비율을 이용하여 각각 4개의 포트폴리오로 구분하여 총 16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장부가/시가 비율을 통제한 후 총자산 이익률이 낮은 기업과 총자산이익률이 높은 기업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we test whether or not the so-called gross profitability premium exists in the Korean stock market along the lines of Novy-Marx(2013). The number of sample firms in the study is 431, all of which are manufacturing firms that had been traded on the Korea Exchange in a period from July 1995 to June 2013. Using the methodology by Fama and MacBeth(1973), we find that the gross profitability, measured by gross profit-to-assets,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the cross-section of average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Profitable firms are shown to generate significantly higher returns than unprofitable firms do.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re exists the gross profitability premium in the Korean stock market.

      • 자산성장률의 기대수익률에 대한 예측 능력

        안제욱(Je-Ouk AHN),김규영(Kyou Yung KIM)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0 아태경상저널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성장률이 기대수익률을 추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분석하여 기대수익률의 결정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Cooper, Gulen and Schill(2008)과 같이 자산성장률이 횡단면 수익률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ama and French(1993)의 3요인 변수 a의d 횡단면 수익률의 설명력보다 자산성장률 a의d 횡단면 수익률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장부가/시가 비율보다는 그 설명력이 약간 낮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자산성장률이 횡단면수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자산성장 a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차변 항목에서는 유동자산, 유형자산, 대변 항목에서는 유동부채, 유보이익, 그리고 채권에 의한 자본조달이 기대수익률을 설명하고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sset growth effects in stock returns by examining the cross-sectional relation between firm asset growth and stock returns in Korea. The sample firms are se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1983 and June 2008.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we compare asset growth rates (along with a BM ratio and firm size) to stock returns, and find that the asset growth rates a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Second, the efficiency of the predictor variable, asset growth, appears to b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Fama and French's 3-factor model. Third, we sort firms by firm size and a B/M ratio in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and fin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asset growth in the cross-sectional returns varies depending on those characteristics. Fourth, asset growth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explains the time-series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but the explanatory power is lower than that of the Fama-French model.

      • KCI등재

        주식 기대수익률의 횡단면에 관한 실증연구

        김규영(Kyou-Yung Kim),안제욱(Je-Ouk A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3

        This paper analyzes the cross-sectional determinants of expected stock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Based on Bali, Cakici, and Whitelaw(2011), we run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by using firm-level data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The sample firms are se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1997 and June 2010. The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maximum daily returns variable (MAX)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expected stock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Specifically, the Max factor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with future stock returns. Second, investors in the Korean stock market have a preference for some stocks with maximum daily returns during the previous months. And their preference strongly appears to continue into the next month. Third, after controlling some variables such as Size effect, BM ratio, MOM and Beta, the MAX factor has the explanatory power enough to predict future stock returns. Fama and French (1993)가 베타(BETA), 기업규모 요인(SMB), 장부가/시가 요인(HML) 등의 3요인 모형을 구성하여 이들 요인이 기업의 주식 기대수익률을 설명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한 이래, 횡단면 상에서 주식 기대수익률을 설명하려는 실증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Bali, Cakici, and Whitelaw(2011)를 따라 한국 주식시장에서 일별최대수익률이 기대수익률을 설명하는 요인인지의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별최대수익률은 미래의 기대수익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체계적인 변동성 요인으로 미래 기대수익률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별최대수익률을 갖는 주식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은 다음 달에도 일별최대수익률을 갖는 주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일별최대수익률, 베타, 기업규모, 장부가/시가 그리고 모멘텀 요인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별최대수익률은 미래의 주식수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 모멘텀효과는 정말 존재하는가?

        김규영(Kyou-Yung Kim),안제욱(Jae-Ouk A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Novy-Marx(2011)는 과거 6개월 동안 주가가 상승한 주식들은 전년도 전반기에 성과가 좋지 않았고, 전년도 전반에 높은 성과를 보였던 주식들은 과거 6개월 동안 주가가 하락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는 과거 12개월에서 7개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측정된 중장기적 성과가 최근의 과거 성과보다 더 나은 평균수익률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배경 하에 한국주식시장에서 반대투자전략의 성과에 중장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과 단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중장기적 과거 누적수익률과 단기적 과거 누적수익률, 기업규모 그리고 장부가/시가 비율 등을 독립변수로 월별 주식수익률을 종속변수로 선택하여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장기적 과거 누적수익률과 단기적 과거 누적수익률이 월별주식수익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고 있다. 둘째, 중장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과 단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은 시장위험프리미엄, Fama and French의 3요인 등의 체계적 위험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셋째, 단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과 중장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을 이용하여 16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단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 등을 통제한 결과, 한국주식시장에서 반대투자전략의 성과는 단기적 과거 포트폴리오 성과요인에 의거하고 있다. In this paper we try to test whether the so-called momentum effect does exist in the Korean stock market by using a new methodology based on Novy-Marx(2011). Our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stock retur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hort-term cumulative stock returns as well as the medium- to long-term cumulative stock returns. Second, we find that the short-term and the medium- to long-term portfolio performance factor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ystematic risk factor such as the market beta, size and book to market ratios. Third, we find that the contrarian strategy is more useful than the momentum strategy in the Korean stock market.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 good performance of the contrarian strategy is based on the short-term portfolio performance.

      • 베타를 이용한 주식투자전략은 초과수익률을 달성하는가?

        김규영(Kyou-Yung Kim),안제욱(Jae-Ouk A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05

        본 연구에서는 베타를 이용한 주식투자전략이 초과수익률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한국주식시장에서 베타의 상대적 기대수익률 설명력을 다른 변수 두 가지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베타를 이용한 투자전략에 초과수익률 달성여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주식시장에서 기대수익률을 잘 설명하고 있는 변수로 지목된 베타, 기업규모, 장부가/시가 비율의 상대적 설명력을 비교하여 평가하는 데 있다. Fama-MacBeth(1973)의 횡단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 베타의 상대적 설명력은 기업규모, 장부가/시가비율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타를 이용한 주식투자전략은 초과수익률의 달성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한계를 노정할 것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Does the portfolio investment strategy based on the so-called beta information result in expected stock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In this context, the paper evaluates the power of beta relative to firm size or book-to-market ratio in the determina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The paper finds that the power of beta is considerably limited compared to firm size or book-to-market ratio. Therefore,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investment strategy using beta information is not so successful without considering the other two explanatory variabl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