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이야기 그림검사(DAS)에 나타난 정서 비교 분석

        안정아(An, Jung Ah),김은영(Kim, Eun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15세 기준)의 주관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DAS)에 나타난 정서적인 요소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기의 정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분명함을 알 수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의 부적 정서와 정적 정서는 모두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나 DAS의 경우 여학생의 정서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의 정서 요인과 DAS의 정서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도출되지 않았다. 셋째, 정적인 정서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모두와 상관이 있고 특히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b-factors constitu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emotional factors shown in the DAS o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age of 15).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s of adolescence were clear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o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found to be high in 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expressed emotional content more positively than male students in the DA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emotional scale of DAS. Third,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were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had a particularly larg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KCI등재

        사립유치원 중간관리자의 개인배경변인 및 원장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

        안정은 ( Jung Eun An ),권연희 ( Yeon Hee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중간관리자가 느끼는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개인배경변인 및 원장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 지역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서 임의 선정된 중간관리자 201명이었다. 질문지를 통해 원장의 의사결정유형, 중간관리자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중간관리자의 개인배경변인 중 이들이 주임교사 직급으로 근무하고, 학급수가 많고, 학급을 담당하고 있을 경우에 역할갈등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낮았다. 다음으로 원장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중간관리자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이 정하고 중간관리자는 원장이 정한대로 추진하게 하는 조종형일 때 가장 높은 역할갈등 및 낮은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원장이 중간관리자와 함께 의사결정을 하는 참여형일 때 가장 낮은 역할갈등과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factors and principal’s decision-making types in the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managers at a private kindergarten. Participants were 201 private kindergarten middle manager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Middle manag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style, thei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for middle managers were discovered to exist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 factors including job position, the years of middle manager’s career, total numbers of class, charge of class. And the differences i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for middle manager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types, especially for participation type group with the lowest role conflict an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산 종개속 (Barbatula) 어류의 유전적 다양성 특성 연구

        안정현 ( Jung-hyun An ),유정남 ( Jeong-nam Yu ),김병직 ( Byung-jik Kim ),배양섭 ( Yang-seop Bae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우리나라에는 잉어목 Cypriniformes 종개과 Nemacheilidae에 속하는 종개속 (genus Barbatula) 어류로 종개 B. toni와 대륙종개 B. nuda의 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최근 서식환경의 변화와 자연재해에 의한 인위적 도입 등으로 고유 분포역이 훼손되면서 종의 계통지리학적 경계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의 Cytochrome b 염기서열에 근거한 유전자형 네트워크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과, 한반도 주변의 종개속 어류를 포함한 계통 유연관계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종개속 어류의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종개와 대륙종개에서 각각 3개와 29개의 유전자형을 획득하였으며, 종개 그룹, 한강 대륙종개 그룹, 동해 대륙종개 그룹의 3개 단계통을 확인하였다. 각 그룹 간 변이사이트는 10~24%로 높은 유전자 변이율을 보였으며, 특히 동해 대륙종개 그룹은 한강 대륙종개 그룹이나 종개 그룹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의 종들과 독립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어 종 수준으로 분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wo stone loaches (Nemacheilidae, Cypriniformes), Barbatula toni (Dybowski, 1869) and B. nuda (Bleeker, 1864), have been recognized in the Korean waters to date. Recently, due to indiscriminate artificial introduction as well as the change of their habitats induced by natural disasters, it seems to be concerned about the damage of species-specific geographic boundaries. We examined the genetic difference of two Korean Barbatula species by the haplotype network based on the Cytochrome b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m including Barbatula fishes occurr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ree and 29 haplotypes were obtained from B. toni and B. nuda, respectively, and totally three clades comprising “toni group”, “nuda hangang group”, and “nuda donghae group” were identified. The sequence variable sites among them was 10~24%, showing a difference of interspecific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atter group, especially, forms an independent cluster discriminating with other two groups as well as the Chinese, Japanese, Russian, and European Barbatula speci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specific level divergence.

      • KCI등재

        제주도 남부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농어목 망둑어과 한국첫기록종, Callogobius shunkan

        안정현 ( Jung-hyun An ),김병직 ( Byung-jik Kim ),김상길 ( Sang-kil Kim ) 한국어류학회 2020 韓國魚類學會誌 Vol.32 No.4

        우리나라 연안성 어류자원 미발굴 분류군 탐색을 위해 제주도 남부 연안해역에서 SCUBA를 이용한 수중조사 과정 중 2015년 9월 수심 약 15미터에서 망둑어과 한국첫기록종인 Callogobius shunkan 2개체 (표준 체장 54.9~66.1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은 살아있을 때 암갈색 바탕에 등지느러미 기저부에서 시작하는 3개의 흑갈색 안상반문이 있는 점, 두부 감각관과 잘 발달된 피습에 공기열이 배열되어 있는 점 (특히 비공과 안와 후방에 공기열이 있는 점), 배지느러미막이 잘 발달된 점, 흑갈색 바탕의 체색에 백색 반점이 산재하는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 국명으로 ‘주름망둑’을 제안한다. We described the first record of Callogobius shunkan from Korea, based on two specimens (54.9~66.1 mm in standard length)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These specimens were characterized by prominent papillae ridges on the head, including postnasal and postorbital rows, well-developed pelvic frenum, dark brownish head, scattered whitish flecks on the body, and three blackish spots on the basal portion of dorsal fins. We proposed a new Korean name, “Ju-reum-mang-dug” for the specie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정은(Jung Eun An),이효빈(Hyo Bin Lee),권연희(Yeon Hee Kwon)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by utiliz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mong four-year-olds. Methods: A total of 52 four-year-olds(control group 26, experimental group 26) attending two classes at D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ll participants individually took a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strument and rated their self-regulation with a teacher.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COVA in the way of sett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nd post-test score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First, the total and subarea of self-regul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car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elf- regula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 KCI등재

        비공의 형태적 특징으로 재검토한 한국산 종개속 어류의 분포 특성

        안정현 ( Jung-Hyun An ),김병직 ( Byung-jik Kim ),배양섭 ( Yang-seop Bae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서 채집된 총 1,366개체의 표본을 이용하여 비공 (nostrils)의 상태에 따라서 우리나라 종개속 어류2종의 분포 양상을 재검토하였다. 비공과 관련된 분류형질은 매우 안정적으로 전비공 (anterior nostril)과 후비공 (posterior nostril)이 분리된 상태와 서로 연접된 상태의 두 가지 형질상태가 관찰되었다. 양 비공이 서로 분리된 종개 (Barbatula toni)는 강원도 속초 이북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남한강 지류인 어곡천 및 경기도 안성천에 분포하는 반면, 양 비공이 서로 연접하는 대륙종개 (B. nuda)는 서·남해로 유입하는 임진강, 한강, 낙동강과 양양남대천에서 경북 울진군의 방율천에 이르는 동해 독립하천에 분포하였다. 특히, 어곡천과 강릉 연곡천의 경우 동일 수계 내에서 종개와 대륙종개가 함께 출현하여 주목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산 종개속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 규명 연구뿐 아니라 지역 어류상이나 어류 군집 분석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ates of nostrils in the Barbatula species comprising 1,366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major river system in Kore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wo Korean Barbatula species was reviewed. The taxonomic character related to nostrils in Barbatula was very stable and two character states (widely separated and closely set) were observed in the present materials. B. toni (Dybowski, 1869) with widely separated nostrils distributes in the streams flowing into the East Sea north of Sokcho, Gangwon-do Province; Eogokcheon Stream, a tributary of Namhangang River; and Anseongcheon Stream, Gyeonggi-do Province, whereas B. nuda (Bleeker, 1864) with closely set occurs in most river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including Nakdonggang River as well as in the Yangyangnamdaecheon Stream, Gangwon-do Province south to Bangyulcheon Stream, Gyeongbukdo Province, flowing into the East Sea as previously reported with some exception. Especially, both Barbatula species were co-occurred in the Yeongokcheon Stream, Gangwon-do Province and Eogokcheon Stream. The present results will provide a useful guide to study the regional fish fauna or fish community analysis as well as to clarify the taxonomical status of the Korean Barbatula specie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들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안정화 ( An Jung-hwa ),조한익 ( Cho Han-i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들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논문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석·박사 학위논문 6편, 학술논문 37편 등 43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어능력의 효과 크기는 1.057로 통제집단에 비해서 실험집단의 효과크기가 35.47% 높게 나타났다.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수용언어능력의 효과크기는 1.127(36.90%)로 나타났고, 표현언어능력의 효과크기는 1.109(36.48%)로 나타났다. 조절변인인 논문형태, 발행연도, 학교급, 장애유형, 회기별 시간, 총시간, 훈련 총 횟수, 주당 횟수, 처치기간,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당 횟수를 제외하고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수용언어능력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발행연도, 학교급, 장애유형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표현언어능력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교급, 주당 횟수를 제외하고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들의 효과가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가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effect sizes of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on linguistic ability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meta-analysis. In this analysis, several moderator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 sizes were explored and tested. The moderator variables examined here were forms of paper, years of issues, disability types, intervention programs, total sessions, weekly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s.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43 studies of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on linguistic ability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were comprised of doctoral and master theses and 37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17. In the analysis,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mete-analysis, the estimated effect sizes were corrected using Trim and Fill method. So, the corrected effect sizes c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oderate effect size, indicating tha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djusting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linguistic ability. Results showed tha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on linguistic ability was largely effectiv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Moderator variables such as forms of paper, years of issues, disability types, school grades, therapy programs, total sessions, weekly sessions, time per s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heterogene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searchers discussed the relevance of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