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oT 기반 소방시설관리시스템에서 소방설비 식별체계 연구
안윤영(Yoon Young An),정상진(Sangjin Jeong),김성혜(Sung Hei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소방설비의 오작동 및 미작동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이 심각해지고 있으나 증가하고 있는 소방설비의 점검을 주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oT 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은 건물 및 공장 등과 같이 건축물 단위로 설치되고 다수의 소방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소방설비의 식별체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방설비의 식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소방설비의 식별자를 정의하고, 식별자 운용관리 절차를 정의한다. 소방설비의 식별자는 소방설비가 설치되는 위치, 소방설비의 종류, 관리주체, 소방설비 구조 등을 포함하도록 정의하여 관리자가 소방설비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소방시설관리시스템에서는 소방설비별 데이터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소방설비의 설치 및 교체 시 식별자를 추가, 삭제가 편리하도록 식별자 운용관리 절차를 정의한다. 제안된 식별체계는 IoT 기반의 소방설비뿐 아니라 화재경보제어기(수신기)에 연결되는 기존의 소방설비에도 적용가능하다.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이 설치되는 건축물에는 소방설비 이외에 전기설비, 공조설비 등과 같이 다양한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통적인 식별자 구성으로 정의된다면 IoT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축물에 연관된 다른 도메인 시스템 간의 연동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전기설비가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기안전시스템과 소방시설관리시스템 간에 연동이 가능하다면 화재에 따른 신속한 소방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식별체계는 건축물 내의 타 설비들에도 적용 가능한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ABR 흐름 제어를 위한 이진 피드백 스위치의 효율적인 구현 방식
김병철(Byung Chul Kim),조유제(You Ze Cho),안윤영(Yoon Young An),권율(Y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5 No.9
In order to support the available bit rate (ABR) flow control in ATM networks, a binary feedback switch would be employed particularly in LAN environments, because it can be simply implemented in conventional ATM switches. In this paper, in terms of the explicit forward congestion indication (EFCI)-bit setting,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a binary feedback switch are classified into EFCI/IP (Input Processing) and EFCI/OP (Output Processing). Also, an efficient implementation method of a binary feedback switch, called EFCI/RELAY, is proposed, which can minimize the feedback delay of a congestion information by avoiding queueing delay at each switch in multiple-hop environments. Furthermore, a congestion detecting scheme using queue length and the sign of its growth is proposed for a rapid prediction of congestion statu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FCI/RELAY method exhibits a better performance than existing schemes in terms of queue length and link utilization, and its performance can be much more improved if the proposed congestion detection method is employed together. ATM 망에서 ABR (Available Bit Rate) 흐름 제어를 위한 이전 피드백 (bmaI γ feedback) 스위치는 기존의 ATM 스위치에서 쉽게 구현이 가능하여 LAN 환경에서 많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피드백 (binary feedback) 스위치의 구현 방식을 데이타 셀의 EFCI (Explicit Forward Congestion Indication) 비트 설정 방식에 따라 EFCI/IP (ERCI with Input Processing) 방식과 EFCI/OP (EFCI with Output Processing) 방식으로 분류하고, 다중 노드 환경에서 큐잉에 의한 폭주 정보의 전달 지연을 최소화한 EFCI/RELAY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큐 길이와 이에 대한 증감 상태를 이용하여 신속한 폭주 예측이 가능한 새로운 폭주 판단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EFCI/RELAY 방식은 다중 노드 환경에서 큐 길이와 링크 이용 효율면에서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특히 새로 제안된 폭주 판단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더욱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IoT 기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시스템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현향 분석
정상진(Sangjin Jeong),안윤영(Yoon Young An),김성혜(Sung Hei Kim),심태형(Taehyoung Shim),선경재(Kyoungjae Su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최근 발생한 다수의 화재사고로 인하여 소방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점검대상 소방설비 수의 증가로 인해 소방점검을 위한 시간과 인원의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소방시설 작동여부는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규모에 큰 영향을 주지만, 고가의 소방시설을 설치하여도 관리가 되지 않아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방치되는 사례가 많다. 현실적으로 소방시설이 설치된 모든 건축물을 점검할 수 없으므로 IoT 등의 기술을 활용해 건축물 수나, 소방시설 점검자 수와 무관하게 소방시설 정상작동 상태의 점검이 가능한 시스템의 도입을 통한 원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개발 및 실증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증 결과 소방설비의 제조사 및 제품군별 출력정보가 상이하여 통일된 수집항목 설정과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상존하였다. 향후 다양한 업체에서 개발될 소방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의 연동을 위해 IoT 기반 소방관리시스템의 핵심 기능 및 수집데이터의 표준화 요구사항이 도출되었다. 현재 국내 소방시설 관련 제조사와 연구기관들이 협업하여 IoT 기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요소기술의 국내표준화를 추진중이다. 국내 표준화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IoT 공개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소방설비 관리 서비스 분야에 적합한 표준을 개발중이다. 또한, 국내 기술 기반의 국제표준화를 동시에 추진하여 IoT 기반 소방관리시스템의 서비스 사례와 요구사항, 참조구조 및 인터페이스, IoT 소방설비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관련 표준화 로드맵 기반 표준화 계획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진행중인 국내외 표준화 동향을 기술한다.
B-ISDN 망에서 공통선 신호 기능의 구현 및 성능 평가
이우섭,김화숙,안윤영,권율,Rhee, Woo-Seop,Kim, Hwa-Suk,An, Yoon-Young,Kwon, Yool 한국통신학회 199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3 No.5
미래의 통신 망을 위한 서비스 망들은 ATM을 기반으로 하는 B-ISDN 망으로 통합될 것이며 이러한 서버스 망들은 사용자 요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전달 망으로 공통선 선호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ITU-T 에서는 기존의 N-ISDN 공통선 신호의 MTP 신호 계층을 대신하여 B-ISDN 선호 계층들이 권고되었다. 본 논문 에서는 B-ISDN 공중망의 ATM 교환 시스탬에 구현된 공통선 선호 기능에 대해 각 선호 계층별 특성, 기능 및 실현 구조등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SAAL 계층은 linked-list와 단위 프레임 길이를 사용하는 SSCOP 송수신 버퍼 구조를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MTP-3b 계층에 대해서도 ATM 교환 시스템 구조에 따른 실현 구조 및 내부 라우팅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B-ISDN 도입 초기에 나타나는 기존의 N-ISDN 망과 B-ISDN의 SS No.7 연동에 대한 효율적인 연동 구조로서 회선 관련 신호망은 대응 모드만을 사용하는 ISUP/B-ISUP 레벨 연동을 제안하였다. Service networks for the future communication networks will be combined by the B-ISDN networks. These service networks also will use SS No.7 as the signaling transport network for the control of user requriement service. Therefore, ITU-T recommended B-ISDN signaling layers for SS No.7 as a substitute for N-ISDN MTP signaling lay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each signaling layer of SS No.7, which are adapted to ATM switching system, and evaluate a performance. The structure of SSCOP transmission buffer using a linked list and an unit frame length is proposed for SAAL layer and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internal routing method according to the ATM switching system are also proposed for MTP-3b layer. Additionally, we propose the ISUP/B-ISUP level interworking structure using only associated mode, which are presented in the first stage of B-ISDN as the effective internatworking structure of SS No.7 for the circuit related signaling network between the existing N-ISDN networks and B-ISDN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