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불교의 ‘선악불이(善惡不二)’에 대한 이해 - 『육조단경』을 중심으로

        안옥선(An Ok-sun)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non-duality of good and evil," its theoretical foundation, and an ethical attitude required by it.<BR>  This paper finds three meanings of "non-duality of good and evil." First, it means that good and evil are not different because their nature is empty. Second, it means that good and evil always appear together. We cannot say one without the other. Third, good and evil depend on each other, and exist only in a manner of a middle way being a pair. These three meanings are not actually different. They differ only in their ways of explanation.<BR>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non-duality of good and evil" is found in the true nature of self. The true nature of self generates good and evil in the way of being a pair to each other: It includes latent goodness even in evil. Good and evil are being relative and non-dual, and share goodness in the true nature of self. In fact, everything including good and evil exists only in the way of being relative and non-dual because all of them emerge from the true nature of self.<BR>  An attitude of practicing good required by the non-dual nature of good and evil is a middle way. Practicing good in the middle way means to be aware that good assumes evil and evil does good, and they arise and cease mutually. Furthermore, it means to practice good in an attitude not attached to both good and evil, and to see both form and emptiness of good and evil. This middle way of practicing good does neither mean non-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nor mean beyond good and evil. It means proper practice of good based on a proper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Therefore, "non-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is a misunderstanding.<BR>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se two. The non-dual nature of good and evil asks us not to absolutize good and evil. It teaches us not to attach to both good and evil.

      • KCI등재

        업설에 나타난 불교 생명관의 한 특징 : 인간과 동물의 평등

        안옥선(An Ok-Sun)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89 No.-

        이 논문은 초기불교의 '업(kamma)에 따른 윤회(sa?s?ra)' 개념을 분석해 봄으로써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평등(sam?natta/equality)으로 설명한다. 업에 따른 윤회설에는 두 가지 의미의 평등이 함축되어 있다는 것이 필자의 주된 주장이다. 첫째, 동물과 인간은 동물계와 인간계를 쌍방적으로 이동하며, 이동에 있어서는 도덕성이라는 공통기준의 적용을 받는다는 점에서 양자는 평등하다. 이러한 평등개념 속에는 도덕성을 매개로 한 동물과 인간간 연속성에 대한 인식, 이러한 연속성의 인식에 근거한 양자간 동질성/유사성에 대한 강조, 그리고 이러한 강조에 근거한 양자간 동일시에 대한 요청이 내포되어 있다. 이 마지막 단계에서는 동일시에 대한 호소를 통하여 동물에 대한 '나와 같은' 존중으로서의 평등을 요청한다. 둘째, 업에 따른 윤회설은 도덕성에 있어서 동물과 인간간 차이를 인정하고 그에 따라 대우해야 한다고 봄으로써 '차등적 평등'을 말한다. 이러한 차등적 평등개념 속에는 도덕성 구현의 정도차에 근거한 양자의 불연속성에 대한 인식이 내포되어 있다. 도덕성과 연속성이 양자의 평등의 근거로 인지되었다면, 도덕성 구현에 있어서의 차이와 불연속성은 양자간 차등의 근거로 인지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업에 따른 윤회설은 주요 틀로서는 평등을 함축하고 부가적으로는 차등을 함축함으로써 동물과 인간간 '차등적 평등'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차등적 평등이 열등한 동물에 대한 차별(discrimination)이 아니라 진정한 평등의 한 실현형태로서 동물생명에 대한 '존중'으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equality between animals and humans by analyzing the notion of karma and rebirth theory in early Buddhism. The author argues that karma and rebirth theory implies two meanings of equality. First, animals and humans are equal in the sense that they move into the realm of animals and the realm of humans mutually, and in moving they follow their degree of moral achievement. This notion of equality includes the continuity between them based on their morality, an emphasis on their similarity based on their continuity, and a requirement of identification between them. At the last stage of this way of thinking, equality is required as an attitude of respecting animals through identifying oneself with animals. Second, karma and rebirth theory tells inequal equality by recognizing and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animals and humans in achieving morality. This notion of inequal equality includes discontinuity between them in achieving morality. The difference of moral achievement and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m are recognized as the bases of inequality while their morality and continuity are recognized as the bases of equality. In conclusion, karma and rebirth theory suggests 'inequal equality' that takes equality as a firm framework and takes inequality as a supplementary consider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is inequal inequality does not intend to discriminate morally inferior animals. Rather, it aims to respect animal life as realization of a true form of equality.

      • KCI우수등재

        불교덕윤리에서 성품의 중심개념으로서 ‘행’(sankhāra)

        안옥선(An, Ok-sun)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불교덕윤리의 문제들 중의 하나인 성품에 대한 해명의 시도이다. 성품에 해당하는 상응개념을 오온, 오온 중에서도 특히 행(sankhāra/行)이라고 보고 그 의미를 구명한다. 행의 일반적 의미는 ‘조작작용과 그 결과로서 현상전체’로 규정된다. 특히 오온의 맥락에서의 행은 현상/산출물을 전제한 ‘조작작용’이다. 행은 ‘조작작용’이라는 독특성을 가지면서도 오온의 보편속성을 공유한다. 즉 행은 조건적으로 발생하며 다른 오온과 함께 작용하고, 무상(anicca)·고(dukkha)·무아(anatta)를 속성으로 한다. 중생은 무지로 인하여 다른 오온에 집착하듯이 행에 대해서도 집착한다. 그래서 중생에게 행은 ‘집착되고 있는 행’이다. 성품으로서의 행의 작용은 세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로 오온조작으로서의 행은 이미 조작된 오온을 재조작함으로써 오온의 작용방식과 형태를 결정짓는다. (재)조작은 여전히 탐진치에 의한 (재)조작일 수도 있고 무탐진치의 (재)조작일 수도 있다. (재)조작에 있어서는 탐진치의 유무에 따라 중생과 아라한으로 나뉜다. 둘째로 의도로서의 행은 경험/현상세계에서 혹은 신구의 행위영역에서 의도로 작용한다. 의도는 특히 선을 체화하며 이상적인 성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면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선의 체화가 완성적일 때 의도는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된다. 의도하지 않아도 선이 저절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셋째로 행은 신구의 업/행위로서 작용한다. 성품의 관점에서 살펴본 행의 이러한 세 가지 작용은 하나의 통일적 심리작용이다. 행의 한 가지 작용이 오온조작 작용으로도 설명되고, 경험이나 신구의 행위에서의 의도로서도 설명되고, 신구의 행위/업으로서도 설명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 세 가지 행은 공통적으로 지멸되어야 할 속성을 자기 속에 내포하고 있어서 지멸의 대상이다. 그 지멸의 지점이 성품의 완성상태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ankhāra as an equivalent concept of character in Buddhist virtue ethics. The general meaning of sankhāra is defined as forming and phenomena. Especially, sankhāra means ’forming’ in the context of the five aggregates postulating phenomena. Sankhāra plays a particular role and yet it has the common nature of the five aggregates: anicca, dukkha, and anatta. Common people attach to sankhāra just as they do to the other four aggregates due to their ignorance. Thus, sankhāra is attached sankhāra for them. The function of sankhāra as a character is explained by three things. 1) Sankhāra as forming the five aggregates decides the way of their function and the mode of forming them. Forming can be done either by greed/hatred/confusion or by non-greed/hatred/confusion. The presence and the absence of greed/hatred/confusion are equivalent to the common people and arahats. 2) Sankhāra as an intention functions as an intention in the realm of bodily actions, talks, and thoughts. Particularly, intention plays the essential role in embodying a good character. However, intention is not needed any more when embodying good is completed. For good comes to be realized naturally without intention. 3) Sankhāra functions as bodily actions, talks, and thoughts. These three functions of sankhāra are one unified psychological activity. This one function of sankhāra is explained into the three: the function of forming the five aggregates, of the intention of the three actions of body, talk, and thought, and of action/kamma of the three actions. What is important is that all three sankhāras are supposed to cease because they contain samāric attributions.

      • KCI등재

        특집 2 : 생태적 삶의 태도로서 "동일시"와 "동체자비"

        안옥선 ( Ok Sun 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이 논문은 심층생태학자 네스(A. Naess)의 ``동일시(identification)``와 불교의 ``동체자비(同體慈悲)``를 비교·검토함으로써 두 개념 간 유사성을 밝힌다. 동일시는 우주의 모든 존재를 자신으로 간주해 감으로써 그들을 자신처럼 존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시의 대상을 확장시켜 감으로써 개체적 자아인 작은 자아(self)는 큰 자아(Self)가 된다. 동체자비는 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적 실상을 인식하고 그들을 자신으로 여겨 자신처럼 보살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밝히는 동일시와 동체자비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동일시와 동체자비는 ``우주의 모든 존재는 유기적으로 연관된 하나``라는 전일적 존재론(holistic ontology)에 근거한 인지적 실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 공감도 중시한다. 동일시와 동체자비의 실천 속에서 개체생명의 개별성은 존중되고 모든 존재들은 상호의존적으로 상생한다. 동일시와 동체자비의 실천 속에서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구분은 무의미하게 된다. 동일시와 동체자비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자아실현(Self-realization)과 해탈이라는 최고선이 달성된다. 이러한 동일시와 동체자비가 하나의 생태적 삶의 태도로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입장이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some similarities between identification of Naess and great compassion of Buddhism in a comparative way. Identification means that one respects all beings of the universe by taking them as oneself. Individuals transform themselves from a self into a big Self by extending objects identified. Great compassion means that one realizes interdependence of all beings, takes them as oneself, and cares them just like oneself. This paper reveals the following similarities. Identification and great compassion are based on holistic ontology that considers everything as interconnected one. So they are a cognitive practice. Yet they put emphasis on emotional sympathy. In identification and great compassion, individuality of each life is respected and all beings help each other interdependently. Identification and great compassion nullify the duality of self-benefit and other-benefit. Through identification and great compassion, the ultimate goal of Self-realization and enlightenment are achieved. This paper suggests that identification of Naess and great compassion of Buddhism can be chosen as an attitude of ecological life.

      • KCI등재후보

        불교생태학에서 존재 평등의 근거

        안옥선(An Ok-Sun)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0 No.-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the theory of dependent-arising and non-self as the foundation of equality of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cology. All beings including humans are epistemologically equal because they are mutually interrelated and they consist of only five aggregates without the self. Here equality does not mean to treat all beings without considering their distinctiveness. It is equality as “respect” considering their distinctiveness. In order to argue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formula of dependent-arising, the 12 chains, and the theory of non-self in early Buddhist texts.<BR>  The author sees that the 12 chains as an application of the formula of dependent-arising present mutually dependent interrelatedness of all beings. She sees that all pairs of the 12 chains including the pair of consciousness and name-form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mutual relatedness. This interpretation is possible when the pairs are understood not in terms of time but of logic. According to this understanding, mutual dependence of dependent-arising means that all beings are equal because each being takes their own places and plays their own unique roles in one holistic life process.<BR>  Humans and all beings equally consist of mere five aggregates or four elements and have no self. They all together have the nature of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n-self. They are not mine, not I, and not my self. This common nature of all beings says that all existences in the world are equal because they have the same nature of five aggregates and non-self. This nature is not only a matter of understanding but also a matter of an ethical practice with regard to equality.

      • KCI등재후보

        불교윤리와 현대윤리학의 만남

        안옥선(An Aok-Sun)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 how Buddhist ethics has been understood in the west.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wo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Buddhist ethics. One difficulty is that the scope, meaning, and role of Buddhist ethics cannot be easily defined. The other difficulty is that Buddhist ethics cannot be easily explained in a comprehensive manner due to its diversity and complexity in its content and nature. These same difficulties also appear when we understand Buddhist ethics in terms of contemporary ethical theories. Consequently, it is not easy to point out some similarities between Buddhist ethics and comtemporary ethical theorie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Buddhist ethics in a comprehensive manner.<BR>  A most favored theoretical framework explaining Buddhist ethics is virtue ethics. Most western scholars consider Buddhist ethics as virtue ethics. But there are some disagreements among them with regard to what type of virtue ethics fits to Buddhism. The author also thinks that virtue ethics is a best theoretical framework explaining Buddhist ethics in a most comprehensive way. According to the author, Buddhist ethics rejects both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taking a moral law as absolute and classical utilitarianism taking utility as the sole criterion of good.

      • KCI우수등재

        평등, 자유, 자비의 실천으로서의 ‘화쟁’

        안옥선(Ok-Sun An)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원효의 ‘화쟁’(和諍) 개념이 유엔 인권 선언에 명시된 인권의 세 가지 기초이념-자유, 평등, 인류애-에 상응하는 실천적 측면을 갖는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화쟁은 원효가 독창적으로 발전시킨 개념으로서 불교 사상과 정신을 충실히 반영한 개념이지만, 현대의 인권이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세 가지 기초이념에 상응하는 자유, 평등, 자비를 내포한다. 화쟁에 내포된 자유, 평등, 자비의 실천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1) 화쟁은 일심의 모든 존재 중에서도 인간 존재가 평등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드러내고자 하는 인식활동이다. 즉 모든 존재의 평등을 말하면서도 특히 인간평등을 강조하는 인식활동이다. 중생조차도 최소한 ‘최소치의 깨달음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각자(覺者)와 평등하듯이,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2) 말에 의존하면서도 말에 집착하지 않는(혹은 말을 버리는) 화쟁의 전략은 말에 걸림이 없는 자유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긍정과 부정, 동의와 비동의, 시비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서 화쟁은 상(相)이나 경계에 집착하지 않고 삼계(三界) 자체에 대해서도 집착하지 않는 심무유주(心無有住)의 자유를 지향한다. 3) ‘지’(智)와 ‘정’(情)으로 분석되는 화쟁의 내적 논리구조에서 상대의 정서나 마음을 배려하는 ‘정’은 자비의 실천이다. 상대의 주장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이나 상대에 대한 무조건적 인정을 요구하는 ‘정’은 진여심(眞如心)의 존재로서 인간에 대한 절대적 신뢰 위에서 상대를 정언명령적으로 포용하는 자비의 실천이다. 그런데 화쟁의 이러한 자유, 평등, 자비는 현재의 서구적 인권에서 추구되고 있는 그것과는 다른 문화적ㆍ사상적ㆍ역사적 배경 속에서 발전되었으며 그 내용과 궁극 목적이 같지만은 않다. 따라서 앞으로 유사성은 물론 그 차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인권이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불교윤리에 있어서 자기애와 타자애의 상호적 실천

        안옥선(Ok-Sun An)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6 No.-

        본 논문은 초기불교에 나타난 자기애(attapiya)와 타자애(parapiya)의 상호성을 밝힌 글이다. 붓다는 (참된) 자기애를 ‘신구의 선행’으로 규정하면서도, 자연적 정념으로서의 보다 보편적 자기애를 인정한다. 그는 보다 보편적인 자기애에 근거하여 타자애를 호소한다. 다른 한편 그는 타자애를 통한 자기애를 호소한다. 자기애와 타자애는 대립ㆍ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성은 자기애의 한 실천형태인 자기보호(attarakkhita)의 개념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참된) 자기보호 또한 신구의 선행으로 규정되며, 자기보호에 의해서 타자를 보호한다고 말해진다. 또한 타자보호(pararakkhita)에 의해 자기를 보호한다고도 말해진다. 그래서 자기보호와 타자보호는 상호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있어서 필자는 초기경전에 나타난 ‘자기애’의 개념과 타자애를 나타내는 ‘자애’(mett?)의 개념을 분석한다. 이 두 개념을 차례로 고찰한 후, 이들간 상호성을 밝힌다. 자기애와 타자애의 이러한 상호성은 인식적으로는 자타불이(自他不二)를 나타내는 연기, 공, 무아, 무상(無常), 무상(無相) 등의 불교 진리관의 필연적 귀결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윤리적으로는 불교도덕의 이념인 ‘자리이타의 자비’ 혹은 ‘동체 자비’를 충실히 드러낸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