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입지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안영웅,임윤택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by service factors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spatial and economic equity among social stratum. A gravity potential model was used for accessibility analysis. As a result accessibility of central areas such as Dong-gu, Jung-gu, and Seo-gu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Yuseong-gu and Daedeok-gu located on the outskirts. For equity analysis, the official land prices of Daejeon as a whole was divided into 10 grades and accessibility by service factors was compared.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essi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1st to 3rd grade areas where the official land prices were low.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hows an imbalance between spatial and economic and policy considerations are required according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요인별 접근성의 공간적, 경제적 계층간 형평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접근성 분석에는 중력 포텐셜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전광역시의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동구, 중구, 서구의 접근성이 외곽에 위치하는 유성구, 대덕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형평성 분석을 위해 대전광역시 전체의 공시지가를 10개 등급으로 나누어 요인별 접근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공시지가가 낮은 1등급 ~ 3등급 지역일수록 공공도서관에의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분포는 공간적·경제적 계층간 불균형을 띄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 KCI등재

        대전시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안영웅(Yeoung-Ung An),임윤택(Yountaik Leem),이상호(Sang H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소방, 방재, 방범 등과 같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보장성 서비스들은 거주지의 위치나 개인의 지위, 소득 등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방서비스의 분포가 공간적·계층적으로 평등하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공간적 형평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시 내 모든 거주지에 대해 소방서비스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접근성 분석 결과와 함께 각 지역의 저소득층 분포현황 및 예측 소득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방서비스의 소외지역이 소득계층의 분포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분 이내에 소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역의 면적은 대전시 전체의 46.2%였으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98.0%로 나타났다. 5분 이내에 소방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지역의 노령연금 수급자 비율은 52.7%로 대전시 평균인 7.14%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한 소방서비스의 제공이 5분을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서비스 도달이 지연되는 지역일수록 예측 소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전시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경제적 취약계층이 균등한 도시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Essential urban services that protect citizens lives and property such as firefighting, disaster and crime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equally to all citizens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personal status, and income. This paper analyzes the equality of firefighting services in spatial and social perspectiv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the accessibility of fire service was analyzed for all settlements in the city.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low-income class and forecasted income each region were compared to analyze whether the area where fire fighting service in 5 minutes wa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income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rea where fir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in 5 minutes was 46.2% of Daejeon, and 98.0% of the population lived in this area. The proportion of old-age pensioners living in the area where fire service cant be provided within 5 minutes was 52.7%, reise than the average of 7.14% in Daejeon. In addition, in areas where the provision of firefighting services exceeds five minutes, the forecasted income tends to be lower in areas where service arrival is delay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conomically vulnerable people living in the outskirts of Daejeon are not provided with equal urban services, and policy consideration is required accordingly.

      • KCI등재

        스마트그린 어촌 표준모델 수립 및 적용 방안 연구

        조성수,백효진,안영웅,김희영,임윤택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mart and green service for the standard model focused on fishing villages and to suggest an application plan. The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pread and disseminated to fishing villages New Deal areas. This model was designed to enable sustainable management as well as integrating the service model and operating model. The service model was composed of a general service for solving general problems in fishing villages and a customized (specialized) service for solving problems in targeting site. The operational standard model was designed as a circulatory structure for discovering new services and improving standard model services through feedback as well as operation/management of the entire data lifecycle such as collection, stor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data derived from the service standard model. The application plan of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was prepared through the standard mod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roadmap according to phase such as project preparation phase (short-term), implementation phase (medium-term), and plan spread phase (long-term).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smart region to revitalize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plan which is to utilize the smart infra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e.g. eup, myun, si, gun and gu) to provide and manage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에 적합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은 전국 어촌뉴딜 지역에 확산 및보급 가능하며, 서비스모델과 운영모델을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서비스의 제공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운영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서비스 모델은 어촌 일반문제 해결을 위한일반서비스와 대상지 문제 해결형 맞춤(특화)서비스로 구성하였다. 운영 표준모델은 서비스 표준모델에서 도출된 서비스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가공, 활용 등 데이터 전주기 운영/관리와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발굴 및 표준모델 서비스 개선의 선순환 구조로 설계하였다. 스마트그린 어촌 적용 방안은 사업준비단계(단기), 실행단계(중기), 확산단계(장기)에 따라 표준모델정립과 확산 로드맵을 통해 마련되었다. 특히, 스마트그린 어촌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위해 읍ㆍ 면(또는 시ㆍ군ㆍ구)의 중심의 인프라 거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지역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