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디자인의 창의적 조형을 위한 컨셉모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공간디자인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공간을 디자인해 나가는 단계는 매우 중요한 반면에, 많은 학생들이 고민하고 어렵게 느끼고 있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개념을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적 방법으로 컨셉 모델(concept model)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상적 공간디자인 개념을 3차원의 컨셉 모델로 해석하여 이를 매개로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컨셉 모델의 유용성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컨셉 모델의 활용은 공간 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용하다고 나타났다. 디자인 개념을 컨셉 모델로 표현하는 방법은 5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는데, 모티브를 통한 형태화, 언어적 의미의 형상화, 이미지의 변형, 하나의 과정/상황을 형상화, 다른 분야(음악,문학,IT)와의 융합적 해석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컨셉 모델을 통한 형태적 해석이 공간디자인의 조형적 표현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나타났으며, 공간디자인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공간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공간이라는 큰 규모의 압박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형태적 스터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컨셉 모델은 공간디자인 교육의 효과적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While it is vital to set creative design concepts and interpret them formatively for spatial design, many students have troubles doing this procedure. This study suggests use of concept models as a mediation means by which to apply the design concept used for spatial design process to spac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abstract concept of spatial design as a 3-D concept model, by mediation of which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applying it to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usability & types of concept models. Through thi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enabling more creative spatial design are explored.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utilization of concept models is found useful to students learning spatial design. 5 categories of methods by which to express design concepts in the form of concept models are analyzed; morphologization via motifs, embodiment of linguistic meanings, imagery transformation, embodiment of a process/situation and convergent interpretation in conjunction to other fields(music, literature, IT). These results reveal the advantage that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via conceptual models ease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space design, and that it eases the difficulty beginners learning spatial design have.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learners can have formative studies in relatively liberal manner, freed of large-scale pressure imposed upon them by space. Accordingly,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conceptual models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ool for education of spatial design.

      • KCI등재

        19세기말 신여성 담론과 조지 이저튼의 “처녀지”에 나타난 모녀 갈등

        안소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Mother-Daughter Conflict in Fin-de-SiècleNew Woman Discourse and George Egerton’s “Virgin Soil”Somi Ah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ad George Egerton’s “Virgin Soil” (1894) as a New Woman text, which mirrors the fin-de-siècle cross-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the Old and the New Woman. In other word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New Woman is projected onto Egerton’s depiction of the broken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Woman mother and the New Woman daughter. This study first explores Egerton’s New Woman contemporaries’ thoughts on this generational tension and then connects them to Egerton’s portrayal of the tension between the old-fashioned Old Woman mother and the revolutionary New Woman daughter.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that Egerton shows how the conflict is ultimately resolved and the New Woman implements her ideals of social reform when the Old Woman mother abandons her long-held conservatism and accepts the New Woman daughter’s longing to make progress outside the patriarchal marriage frame. Key Words: George Egerton, Virgin Soil, Fin de Siècle, New Woman, Mother/Daughter Conflict 19세기말 신여성 담론과 조지 이저튼의 “처녀지”에 나타난 모녀 갈등안 소 미* 요약: 본 연구는 조지 이저튼의 단편소설인 “처녀지”(1894)를 19세기말 구여성과 신여성 간의 세대 갈등을 반영하는 신여성 텍스트로 읽어내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신여성 등장이라는 당시 역사적 컨텍스트가 이저튼의 텍스트 내 구여성 어머니와 신여성 딸의 갈등 관계 묘사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동시대 신여성 작가들이 세대갈등에 대해 형성한 담론을 짚어본 후에, 이를 보수적인 구여성 어머니와 이에 반항하는 신여성 딸이 형성하는 갈등 관계에 대한 이저튼의 묘사와 연결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구여성 어머니가 먼저 보수적인 태도를 버리고, 가부장제를 넘어서고자 하는 신여성 딸의 열망을 수용할 때 비로소 갈등이 해결되고 신여성의 사회 개혁 이상이 관철될 수 있음을 이저튼이 시사하고 있다고 결론 내리고자 한다. 핵심어: 조지 이저튼, 처녀지, 세기말, 신여성, 모녀갈등 □ Received: Jan. 28, 2022, Revised: Feb. 10, 2022, Accepted: Feb. 20, 2022* Professor, Pusan National Univ.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Email: somiahn135@gmail.co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팬데믹과 젠더 분쟁 시대의 교양 교육

        안소미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실천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팬데믹 이후 원격으로 두 차례 진행한 학부 영문학 교양 과목“사랑과 성과 영문학”의 예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 대학생들의 젠더 갈등이 원격 교양 과목에 미치는 현실적 어려움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및 한계에 대해 살펴보려 하는 것이다. 필자는 남녀 대학생들이 함께 수업을 들으면서 수업에 대한 자신들의 느낌과 생각을 진솔하게 나누는 토론 방식을 통해 크리티컬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를 고취시켜야 하는 문제 제기식 교육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그 과정에서 현 한국 사회의 젠더 갈등이 간과할 수 없는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을 절감하였기에, “사랑과 성과 영문학” 강좌 운영을 통해 학습자들이 불안감 없이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는 원격 토론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색하게 되었다. 샬롯 브론테(Charlotte Brontë)의 『제인 에어』(Jane Eyre)나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과 같은 19세기 여성 영문학 텍스트 속 연애나 결혼, 젠더 이슈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간 토론 및 게시판 토론을 고루 활용해본 결과, 수강생들이 불안감 없이 편안하게 젠더 관련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는 정제된 글로 쓰여진 서로의 생각을 일정 기간 동안 공유하고 이에 대한 숙고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게시판 토론이 즉각적으로 진행되는 실시간 토론보다 훨씬 유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게시판을 활용한 토론 방식을 운영할 경우, 수강생들이 다른 학생들이 남긴 의견을 시간을 두고 면밀하게 정독하면서 본인의 생각과 타 수강생들의 의견을 비교, 대조하는 사고 과정을 거쳐 본인의 본래 생각을 다른 학생들에게 맞추어 수정해가는 문제점을 나타내기도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향후 교양교육에서의 보완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KCI등재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Design methods for space has changed over time. The present requires a new paradigmatic shift emphasizing creativity, beyond the ancient way to follow steadfast rules and the modern methods pursuing rationality and efficiency. This new paradigm cannot be created out of nothing, but should be foun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and hitherto methodologies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al trend of spatial design perspective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various creative design methodologies of renowned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to analyze major features of the methods from the applications in actual cases. For this, documentary method and case study method are applied. The result shows that the design approach methods for creative spatial design consists of 6 categories, which are application of patterns from nature, rational research based approaches, response to site, reinterpretation of classic architectural theories, adoptive approaches with music, paintings, and mathematics, and generative process including scaling, folding, morphing, diagram, datascape and etc.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methods are analyzed through case analyses, which can be summarized in terms of ‘creative imitation,’ ‘convergence,’ and ‘digit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how to design for creative space, and suggests various types of design approach methods for creative education. 공간을 디자인하는 방법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아름다움을 중요시하고, 정해진 건축적 원칙을 따르던 고대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을 강조하는 근대의 패러다임으로부터 창의력을 강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디자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인류의 과거로부터 시도된 공간디자인 방법에서 그 바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맥락에서 공간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의 흐름을 분석하고, 유명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이 시도한 여러 창의적 디자인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례를 통해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접근 방법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과 건축가와 학생작품사례를 통한 사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연으로부터의 패턴을 활용하는 방법, 합리적 조사를 근거로 조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공간이 속한 대지에 순응하거나 대비되는 방법, 고전 건축물의 원칙을 재해석하는 방법, 음악, 미술, 수학 등 다른 분야의 특징을 차용하는 방법, 폴딩, 몰핑, 스케일링, 다이어그램, 데이터스케이프 등을 포함하는 사물이나 현상이 생성되는 과정을 통한 방법으로 6가지 범주의 접근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디자인 접근 방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으로 활용되는 디자인 접근방법의 특징이 분석되었는데, ‘창의적 모방’, ‘융합’, ‘디지털’ 로 요약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간디자인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 방법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고, 창의적 디자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유형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 KCI등재

        The Rise of the Modern Suitress in the Countryside in Sarah Grand’s “Eugenia: A Modern Maiden and a Man Amazed”

        안소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23 영미문학페미니즘 Vol.31 No.3

        This article discusses Sarah Grand’s “Eugenia” (1894), a short story where a rural heiress heroine ousts a degenerate urban suitor from her community and marries a healthy farmer, who would not pose a risk to her health and would help her become a strong mother to a better race. Most of all, the plot of “Eugenia” is thus a new courtship one where the heroine turns herself into a suitress. That is, instead of waiting for the suitors’ marriage proposals, she herself indeed performs courtship activities, taking the lead in the entire process whereby heterosexual romance develops into a marriage that is safe and stable for her offspring as well as herself. This article ultimately argues that Grand conflates eugenics and the New Womanhood through her rural and thus modern heroine’s female-centered romance.

      • KCI등재

        Post-Menopausal Vampirism in “Good Lady Ducayne”

        안소미 신영어영문학회 2022 신영어영문학 Vol.81 No.-

        This article discusses Mary Elizabeth Braddon’s depiction of post-menopausal vampirism in “Good Lady Ducayne” (1896)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lthough the story focuses on a young girl’s suffering and growth, the subplot features a post-menopausal lady who uses her elderliness as well as wealth and social standing to steal the young heroine’s blood.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elderly female antagonist’s immense power and influence are a result of her post-menopausal liberation from conventional feminine roles arising from marriage and motherhood. In doing so, the article sitauates the old antagonist’s symbolic vampirism in the fin-de-siècle context of the evolution of both modern medicine (the rise of blood transfusion, gynecology, and eugenics) and the New Woman culture. Ultimately, it argues that Braddon’s hyperbolical depiction of the post-menopausal old woman challenge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ized female life course in the Victorian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