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지역 빗물이용시설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안상수 ( Sang-su An ),위환 ( Whan Wi ),윤상훈 ( Sang-hoon Yoon ),장서은 ( Seo-eun Jang ),정숙경 ( Suk-kyoung Jeong ),조영관 ( Young-gwan Cho ),김은선 ( Eun-sun Kim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6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9 No.2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quality as pH, color, turbidity, EC (electronic conductivity) and heavy metals in Gwangju area, 43 samples were collected at initial rainfall amounts over 3 mm/day during March to October in 2015. For 32 samples over 5 mm/day rainfall amount, pH was 4.8~6.5, and turbidity, color and NH3-N were 0.77~97.88 NTU, 4~16 degree, 0.6~12.0 mg/L, respectively, which are exceeding the drinking water standard. Heavy metals (except for Fe, Zn and Cu),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Concentrations of color and turbidity in rainwater were decreased contrarily to the lapsed time at the storage,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Zn was not so much changed compare to the initial state. Particulate matter (PM10) in air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pH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urbidity, color and EC in rainwater. Seasonal variation showed that pH, DO, turbidity, color and EC in spring was lower than in summer with the influence of rainfall frequency and amount. Rainwater quality of pH, color and turbidity was lowered depending on the lapsed time for 10 days. pH was a little higher at concrete storage tank than at FRP storage tank because alkaline compound as CaCO3 flow out of the concrete surface, whereas turbidity was a little higher at FRP storage tank than at concrete storage tank.

      • KCI등재후보

        광주지역 음용 지하수 중 미네랄성분의 분포

        안상수 ( Sang Su An ),강영주 ( Yeong Ju Kang ),위환 ( Hwan Wi ),김종민 ( Jong Min Kim ),이윤국 ( Youn Goog Lee ),박옥현 ( Ok Hyun Park ),박종태 ( Jong Tea Park ),백계진 ( Ke Jin Paik ) 한국환경분석학회 2009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2 No.3

        Samples of ground water using as potable resources were collected in the five districts of Gwangju city.. Anionic and cationic substances in ground water were monitored to review the compliance as a drinking water source. Average distribution of anionic ingredients in the ground water by district was Donggu>Bukgu>Namgu>Seogu>Gwangsangu. Average distribution of inorganic substances on the ground water by district was Seogu>Donggu>Bukgu>Namgu>Gwangsangu. The highest contents of anionic substance were detected in Donggu and the lowest in Gwangsangu. The contents of anionic matter by district was Cl->SO4(2-)>NO3-N>F-. The highest contents of minerals were in Donggu. The result of contents of cationics by area was Na>Ca>Mg>K. There was close correlation among the minerals (Na, Ca, Mg, K). In case of Na, Ca, Mg and 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atisfied with the water standards of UK and twice higher than the drinking water sold in Gwangju.

      • KCI등재

        광주광역시 대기오염측정소 주변 교통량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이대행,안상수,송형명,박옥현,박강수,서광엽,조영관,김은선,Lee, Dae-Haeng,An, Sang-Su,Song, Hyeong-Myeong,Park, Ok-Hyun,Park, Kang-Soo,Seo, Gwang-Yeob,Cho, Young-Gwan,Kim, Eun-Su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Vehicular emissions are one of the main sources of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air pollutants and traffic volume in order to identify causes of air pollution in Gwangju. Methods: Using traffic volumes and ai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2002 to 2012 from nine stations (seven urban areas, two roadside areas), especially at three sites where traffic volumes were hi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between air pollutants as PM-10 (particulate matter), $NO_2$, $SO_2$, CO and $O_3$ at the stations and traffic volumes near the air monitoring stations. Results: Due to traffic volume and distance between the station and the traffic road,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at roadside areas were higher than at urban areas, with the exception of $O_3$. The concentration of $O_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with those of other gas materials as $NO_2$, $SO_2$, and CO in winter (p<0.001) and spring (p<0.05).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7 to 20, 2012, excluding periods of yellow dust, smog and rainy season, the ratio of $NO/(NO+NO_2)$ showed the highest value 0.57 and 0.40 at Unam and Chipyeong of two roadside stations, followed by 0.35 at Nongseong with vehicular effec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raffic volume and $O_3$, CO, $NO_2$ became higher when the data on mist and haze days were excluded, than when all hourly data were used in that period, at the three sites of Unam, Chipyeong, and Nongseong. Conclusions: Air quality showed a considerable effect from vehicles at roadside areas compared to in urban areas. Air pollutant diminishment strategies need to be aggressively adopted in order to protect atmospheric environment.

      • 광주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특성을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윤상훈 ( Sang Hoon Yoon ),정숙경 ( Suk Kyeong Jeong ),위환 ( Whan Wi ),안상수 ( Sang Su An ),장서은 ( Seo Eun Jang ),조영관 ( Young Gwan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광주천은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를 통과한 후 영산강과 만나는 길이 약 20km의 지방하천이다.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을 통해 부족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유지용수 명목으로 주암호 호소수, 영산강 하천수, 그리고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수 등이 다량 방류되고 있다. 그러나이에 대한 생태학적 영향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환경부 주관의 전국자연환경조사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따른 대규모 생태조사시 광주천은 2~3지점 포함되어 조사되고 있으며, 과거 광주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분포조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더욱이 세계적인 물관리 패러다임이 생물·생태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광주천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그 일환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3회에걸쳐 현장조사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2014년 10월 30일, 2차 조사는 2015년2월 4일, 3차 조사는 2015년 4월 22일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지점은 교란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부터 5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지점 1~3은 상류지역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수 방류구 , 주암호 호소수 방류구, 영산강 하천수 방류구가 설치되어 있다. 지점 4는 중류지역으로 다른 하천이 유입되는 지점이다. 지점 5는 하류지점으로 영산강과 합류되는 지점이다. 대조군으로는 광주천이 발원하는 무등산 제2수원지 상류 계곡 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4문 7강 16목 31과 50종이 확인되었다. 곤충류가 39종 (88.1%), 비곤충류가 11종 (11.9%)으로 나타났다. 곤충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48.1%, 날도래목(Tricoptera)이 28.3%를 차지하였고 파리목(Dipteria), 딱정벌레목(Coleoptera) 순이었다. 평균 개체수는 지점 1에서 586개체, 지점 2에서 348개체, 지점 3은 187개체, 지점 4는 184개체, 지점 5에서는 58개체였다. 분류된 종과 개체수에대한 군집분석 결과, 각 지점별 우점종은 지점 1과 2에서는 부채하루살이(Epeorus pellusidus Brodsky), 지점 3에서는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지점 4와 5에서는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Linnaeus)로 나타났다.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62로 5개 지점에서 모두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H``)는 평균 2.18로 4, 5지점에서 다소 낮게 분석되었다. 종풍부도지수(RI)는 평균 2.33으로 지점 1에서 평균 3.35, 지점 5에서 1.14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균등도지수(J``)는 평균 0.62를 나타내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기는 하나 그 차가 크지 않았다. 하천 수질상태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있는 비내성 범주 지수(EPT)를 조사한 결과 지점 1에서 86.0%, 지점 2는 85.4%, 지점 3은 61.5%, 지점 4는 54.0%그리고 지점 5에서 46.9%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광주천에 대한 향후 지속적인 수생태 건강성 평가연구의 일환으로 지방하천에 대한 체계적인 생물조사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관점에서 하천에 대한 수질관리를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하거리가 짧고 도시의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하천 수량이 줄어들며 다양한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상존하는 광주천에서는 이화학적 수질조사는 그 한계가 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서생물 이용한 생태학적 수질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도심하천 유지용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대한 영향 연구

        윤상훈 ( Sang-hoon Yoon ),양윤철 ( Sun-jung Kim ),김선정 ( Yoon-cheol Yang ),이세행 ( Se-haeng Lee ),송형명 ( Hyeong-myeong Song ),안상수 ( Sang-su An ),이경석 ( Kyoung-seok Lee ),이대행 ( Dae-haeng Lee ),서광엽 ( Gwang-yeob Se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광주천은 과거 급격히 도심화가 진행되고 각종 오·폐수가여과 없이 유입되면서 붉은색 실지렁이가 사는 오염된 도심하천의 전형적인 모습을 나타냈었다. 그러던 중 2004년부터 광주천 자연생태 하천정비사업을 시작으로 수질정화 및 광주천변 도심공원 사업을 통해서 점차 수질이 양호해지고, 어류나 조류 등 물을 기대어 살아가는 생물들도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광주의 도심을 지나는 광주천 역시 도시의 팽창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로 강우시 많은 양의 빗물이 곧바로 하수관거를 통해 하천으로 유출되어 토양을 통해 지하로 스며드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하천 수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생겼다. 광주시에서는 이러한 광주천의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물을 재처리하여 광주천상류로 보내 방류하고, 섬진강 수계인 주암호 호소수와 영산강의 하천수도 끌어와 광주천에 방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처리수와 주암호 호소수가 광주천에 방류되는 지점에서 이화학적 수질과 더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군집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광주천 유지용수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4회에 걸쳐현장조사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2015년 10월 15일, 2차 조사는 2016년 1월 12일, 3차 조사는 2016년 4월 25일, 4차 조사는 2016년 5월 27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총 9개 지점으로 지점 A1~A3 등 3지점은 증심사천으로 상류에서 하수처리장 처리수가 방류되고, B1~C 등 6개 지점은 광주천으로 하수처리장 처리수와 주암호호소수의 영향을 받았다. 조사결과 총 5문 7강 13목 28과 440종 6,823개체/㎡이 확인되었다. 곤충류가 33종 2,762개체/㎡, 비곤충류가 11종 4,061 개체/㎡로 나타났다.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15종 1,286개체/㎡, 날도래목(Tricoptera)이 7종 913개체/㎡, 파리목(Dipteria) 6종 420개체/㎡, 잠자리목(Odonata) 4종 5개체/㎡, 딱정벌레목(Coleoptera) 1종 137개체/㎡이었다. 평균 개체수는 지점 1에서 586개체, 지점 2에서 348개체, 지점 3은 187개체, 지점 4는 184개체, 지점 5에서는 58개체였다. 분류된종과 개체수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우점종은 부채하루살이(Epeorus pellusidus Brodsky),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Linnaeus), 물벌레(Asellus hilgendorfii), 줄날도래(Hydropsyche kozhantschikovi Martynov)로 나타났다.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47~0.97 범위로 증심사천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다양도지수(H``)는 0.41~3.24 범위로 주암호 호소수 방류구 지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저서동물지수(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를 이용한 수환경 평가시 증심사천 A2지점이 환경상태 ‘매우 나쁨’으로 조사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좋음’에서 ‘매우 좋음’ 상태를 나타내었다. 수서곤충류의 먹이 섭식형태에 따라 섭식기능군(Functional Feeding Group; FFG)을 분류하였는데 모든 지점에서 주워먹는 무리 (Gethering-collectors; GC)가 평균 49.9%로 가장 많았고 걸러먹는 무리(Filtering-collectors;FG)가 29.0%을 나타내었다. 이화학적 수질과 생물학적 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시BOD, COD, TP, DTP, TN 등이 우점도지수(DI)와는 양의상관성,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I)와 균등도지수(J’)와는 음의 상관성 등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광주천에 대한 인위적인 하천유지용수의 영향을 물속의 저서동물조사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관점에서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수원수로 이용되는 주암호 호소수가 방류되는 지점은 생물학적으로 환경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하수처리장 처리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은 그렇지 못하였다.

      • KCI등재

        무등산 주요 탐방로에서 테르펜 분포특성 연구

        이대행,김민희,박옥현,박강수,안상수,서희정,진승현,정원삼,강영주,안기완,김은선,Lee, Dae-Haeng,Kim, Min-Hee,Park, Ok-Hyun,Park, Kang-Soo,An, Sang-Su,Seo, Hee-Jeong,Jin, Seung-Hyun,Jeong, Won-Sam,Kang, Yeong-Ju,An, Ki-Wan,Kim, Eun-Su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9 No.3

        Objectives: A great number of people visit forests for their bountiful healing factors. We investigated the quantity of terpen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 with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Mt. Mudeung in order to support public health. Methods: The terpene amounts were investigated along 11 main trails using stainless steel tube packed by Tenax TA (150 mg) and Carbopack B (130 mg) during March to November 2012. Terpene amounts of 20 species (${\alpha}$-pinene, camphene, etc.), and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Results: Terpene of 16 species was released from the forest and total terpene amounts were 2,080 pptv at the site of Chamaecyparis obtusa, the highest among 11 sites, nearby the first reservoir on Mt. Mudeung. Terpene concentrations in the forest were nine to 23 times higher than found in urban areas. Total terpene amount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and oxygen (p<0.01) with $R^2$ of 0.345, 0.369, 0.591, 0.145, respectively, from April to July.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in the fores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rpene amounts and showed statistical insignificance with p-values of 0.118 and 0.233,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mounts of terpene around Mt. Mudeung are indeed higher, so visitors may enjoy a therapeutic walk in the forest with a healing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e forest was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human health.

      • KCI등재

        소독방법에 따른 실내수영장 수질 특성 -브롬산염, 클로레이트, 염소이온을 중심으로-

        조광운 ( Gwang Un Jo ),이세행 ( Se Haeng Lee ),위환 ( Whan Wi ),윤상훈 ( Sang Hoon Yoon ),김난희 ( Nan Hee Kim ),안상수 ( Sang Soo An ),정숙경 ( Suk Kyeong Jung ),김동수 ( Dong Su Kim ),조영관 ( Young Gwan Cho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5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8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the indoor swimming pool water according to the type of disinfection. The method of disinfection has a on-site oxidant generation, sodium hypochlorite and artificial seawater electrolysis that the salt was put in the pool directly. The on-site oxidant generation and sodium hypochlorite in the disinfectant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bromate and chlorate. The bromate and chlorate containing the disinfectant is the cause of detection in a swimming pool. Maximum concentration of bromate in swimming pool waters was 1.365 mg/L at on-site oxidant generation and maximum concentration of chlorate was 36.00 mg/L at sodium hypochlorite. Therefor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bromate and chlorate in swimming pool water, it is necessary to use the disinfectant containing the less quantity of bromate and chlorate and to exchange of swimming pool water frequently.

      • KCI등재

        공공장소 정수기 수질에 대한 미생물학적 검토

        박옥현 ( Ok Hyun Park ),김종민 ( Jong Min Kim ),김연희 ( Yun Hee Kim ),안상수 ( Sang Su An ),이윤국 ( Youn Goog Lee ),배석진 ( Seok Jin Bae ),강영주 ( Yeong Ju Kang ),백계진 ( Kye Jin Paik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2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5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for microorganisms of water purifiers set up public places used lots of people which in public office, welfare facilities, public bath, school. The water purifiers were installed near the entrance and where they are easily found. None of them were installed at where they should not be installed at the locations stated by law. Heterotrophic plate count at public office, welfare facilities, public bath, school was 0~3,700 CFU/mL, 0~3,400 CFU/mL, 0~3,500 CFU/mL, 0~2,300 CFU/mL respectively. Total coliforms was not detected at public office and school, but found at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bath. Fecal coliforms was not detected anywhere. The rates bellowing the drinking water quality at public office, welfare facilities, pubic bath, school are 36%, 28.7%, 22.9%, 9.5% respectively. Spec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public office water purifiers was Micrococcus Luteus, Sphingomonas paucimobilis, Ralstonia mannitolilvtica, Pseudomonas fluorescens etc. Most of bacteria found during the testing are common bacteria that exist in typical liv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