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수업비평 경험 과정에 대한 자기연구

        심준석(Jun Seok Shim),김진희(Jin Hee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비평 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을 자기연구로 기술하는데 있다. 약 4년간 한 교사의 삶에서 ``수업비평``이 가장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면서 자기회상, 자기성찰, 자기관찰, 면담, 문헌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수업비평 경험은 무지-앎-실천-새로운 앎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비평 과정에서 발견한 교사의 수업비평 재개념 차원은 타인 지향적, 자기 지향적인 두 가지가 공존하고 있었다. 수업비평의 탐구 과정은 교사 개인의 수업 전문성 및 동료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앎``의 원천임을 발견하였다. 교사가 경험한 수업비평과정에서의 재개념은 학문적 이론보다는 교사 개인의 삶에서 ``수업 대화``라는 실제적인 이론을 형성하게 해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비평은 교사 삶에서 지속적인 수업대화로 이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o class critique experience in teacher life. Class critique has been broadened to discuss different approaches both inside and outside in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first theoretically explored a teacher level of class critique and categories of class critique proce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lleagues, texts, and experiences in class critique. Taxonomic analysis was used. This paper is specifically a detailed analysis of four class critique processes that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experienced; 1) ignorance, 2) knowing, 3) practice and 4) new knowing. This paper explored two levels of class critique: directed type and self-directed type.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critique at the level of transformation by a teacher.

      • KCI등재후보

        수업 비평 경험의 교사 이야기

        심준석(Jun-seok Shim),김진희(Jin-hee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4 No.-

        This paper is a storied of reflective practice in research and practice experience of class criticism i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My journey is to write storytelling started to learn class criticism in informal learning community. The experience of class criticism was perceived through self-study and autoethnograph approaches for years.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was stimulated me to perceive reflective teacher through class criticism, learning making the meaning of the learned phenomena and constructing a critical reflexive picture to shape my behaviour, attitude in social and cultural settings. Class criticism learning was an important aspect of practicing the previously learned phenomena to mould the behaviour to accustom with the situation. Class criticism provided me with benefits to understand and learn in terms of initiating the paradigm shift of thought, feelings and acting in connecting context. This self-reflection research is presented as a potential vehicle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own class consciousness and to enhance their capacity their own critical texts of research and practice. 이 글은 교사의 수업 비평 경험을 기술하였다. 한 교사의 수업 비평에 대한 생각과 사적인 경험이 학교의 안과 밖에서 어떤 맥락으로 연결되었는지를 고백적 이야기로 해체하였다. 먼저 교사가 수업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수업 비평이라는 새로운 수업보기 여정을 교사 연구자인 나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비평 여정은 주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비평 모임과 학교 안에서 동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업 비평 여정에서 다룬 다양한 매체들은 수업 비평 상식을 넓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비평의 강도가 담긴 수업 비평 지도가 생성되었다. 수업 비평 지도는 비평의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타인 지향적인 것, 자기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모두 수업 비평의 한 방법으로 보았지만 자기 지향에 의미를 둘 필요가 있다. 이는 수업을 이해하고, 개선하려는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수업을 이해한다는 것은 비평의 안목이 있어야 가능하다. 또한 교사에게는 비평적인 수업보기나 타인과의 소통으로 수업 고민을 해결하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반성과 자기 성장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자신에게 실천지식으로 피드백 된다.

      • KCI등재
      • 멀티미디어 기기를 위한 지능형 입출력 서브시스템

        장형규,원유집,류재민,심준석,세르게이 볼데브,Jang, Hyung-Kyu,Won, Yoo-Jip,Ryu, Jae-Min,Shim, Jun-Seok,Boldyrev, Serguei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3 No.1

        지능형 디스크는 이전에 호스트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던 입출력 관련 연산 작업을 디스크 상에서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인 입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입출력 시스템이 가지는 한계와 하위 호환성 문제로 인하여 지능형 디스크를 직접적으로 현실화시키기는 어려워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입출력 시스템과 하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섹터 정보만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부하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크의 동작을 멀티미디어 재생에 동적으로 최적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입출력 부하로부터 멀티미디어 부하를 지능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기계 학습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스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부스팅 알고리즘을 통해 구축된 최종 학습기를 이용하여 최근에 발생한 입출력 부하가 멀티미디어 부하라면, 디스크는 보다 많은 섹터를 미리 읽음으로써 멀티미디어 부하에 대한 디스크 활용율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지능형 입출력 서브 시스템을 차후에 멀티미디어 기기에 탑재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에 존재시킴으로써 호스트에 부가되는 부하없이 멀티미디어 데이타 재생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크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저자원 모바일 기기에서 보다 고화질의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The intelligent disk can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I/O subsystem by processing the I/O operations in the disk side. At present time, however, realizing the intelligent disk seems to be impossible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I/O subsystem and the lack of the backward compatibility with the traditional I/O interface scheme.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model for the intelligent disk that dynamically optimizes the I/O subsystem using the information that is only related to the physical sector. In this way, the proposed model does not break the compatibility with the traditional I/O interface scheme. For these works, the boosting algorithm that upgrades a weak learner by repeating teaming is used. If the last learner classifies a recent I/O workload as the multimedia workload, the disk reads more sectors. Also, by embedding this functionality as a firmware or a embedded OS within the disk, the overall I/O subsystem can be operated more efficiently without the additional workload.

      • KCI등재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비평: 교사 배움 공동체 사례

        김진희 ( Jin Hee Kim ),최원준 ( Won Jun Choi ),심준석 ( Jun Seok Sh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이 글은 수업 전문가로 불리는 교사들이 수업을 배우기 위해 일상에서 나타난 실천의 내용을 내러티브 방법론으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의 기제와 원리, 초점, 방법, 타당도 과정을 따라가며 수업경험의 비평과 재비평을 실행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비평이 교사로서의 자신(self)에 대한 개념을 가르치는 자로서, 또는 복합적인 경험을 조직하는 주체로서의 관계 속에 놓여 있음을 인식함으로써 실천가능하다는 것을 탐색하였다. 교사의 배움 공동체에서 수업 비평을 잘 한다는 것이 결국 어떠한 것인지를 개인의 경험, 동료와의 관계, 환경적 맥락에 두고 논의하였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giving much attention toward the narrative methods of thought` in education field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 criticism of narrative inquiry in the community of teacher learning practice. I introduced Kang`s method of narrative and attempted to describe narrative inquirer who implement class principle, focus, method, and validity by framework. I discussed the ways in which narrative inquirer implements the community of learning by teacher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