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수주 설치 후, 춘천지역의 경관 변화 연구

        심재연 ( Sim Jaeyoaun ),차순철 ( Cha Soonchul )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1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영역 안에 편입된 춘천지역은 중앙정부의 행정 제도의 변화에 따라 우수주, 수약주, 삭주, 광해주, 춘주로 변화하였지만, 지방행정 중심 지역의 기능을 지속해서 유지하였다. 즉, 춘천지역은 8세기 이후 당시 주치가 설치되면서 신라왕경과 대비되는 지방도시가 만들어졌으며, 이후 고려시대까지 방리가 유지되면서 관청, 사찰 그리고 생활유적과 생산유적이 위치하며, 외곽지역에는 경작지와 분묘가 확인된다. 이러한 모습은 신라왕경의 공간배치와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점에서 당시 지방도시의 경관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춘천의 방리 공간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들에 대한 종합적인 집성과 검토, 비교가 필요하며, 도시 외곽에 대한 조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The Chuncheon region, which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of Silla, changed its na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centr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ystem, but continued to function as a local administrative center. In other words, in the Chuncheon area, a local city was created in contrast to the royal capital of Silla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capital at the time after the 8th century. Afterwards, as the banri was maintained until the Goryeo Dynasty, government offices, temples, and relics of living and production were located, and farmland and production sites were located in the outskirts. The grave is confirmed. Since this appearance shows the same spatial arrangement as the Royal Capitals in Silla,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landscape of the local city at the time. In order to restore the Bang-ri system of Chuncheon at the time, a comprehensive compilation, review, and comparison of the materials surveyed to date are necessary, and the survey needs to be expanded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 KCI등재

        춘천 천전리유적의 “반구상경작유구” 재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춘천 천전리유적 조사 결과, “구상경작유구(溝狀耕作遺構)”, “반구상경작유구(半球狀耕作遺構)”, “소혈수혈군”으로 명명된 경작유구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반구상경작유구”의 진위(眞僞)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반구상경작유구”와 유사한 현상이 초원지역 중에 인간의 간섭이 없는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것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일본 열도에서 확인되는 「うね田」와 일제강점기에 관찰·보고된 평안북도 철산군 일원의 두둑재배법·휴립재배법(畦立栽培法)을 재검토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 “반구상경작유구”와는 평면 형태와 농법이 다른 것임을 확인하였다. 초원지역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현상과 민족지 자료를 종합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에서 확인된 “반구상경작유구”는 경작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향후, 경작유구의 진위는 다양한 고고학적 조사 방법과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교차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o-called‘ hemispherical cultivation features’ that were identified at the site of Cheonjeon-ri in Chuncheon. Such‘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were confirmed to be similar in nature to the phenomena found distributed in grassland areas which are found nearby rivers in the absence of human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e-examination of the‘ うね田’ identified o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duduk cultivation method and resting cultivation method of Cheolsan-gun, in Pyonganbuk-do Province (observation and reports of which had been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were different in terms of cross-section and planar form.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phenomena and ethnographic data identified in prairie river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remains of farming. It was also proposed that, in the future, the cross-validation of the authenticity of ‘cultivation features’ should take place by adopting variou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s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성백제기의 영동 · 영서

        심재연(Sim, Jae yoaun)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e of Hanseongbaekjae in the Youngdong-Youngseo region. 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 of Stone-mound-tombs in the up and mid stream of Han River revealed that whereas Hanseongbaekjae-style pottery was found in the upstream of Bukhangang Valley, relatively different style of pottery was found from the Stone-mound-tombs in the upstream of Namhangang Valley. This difference between water systems explains the widening cultural difference between Youngdong and Youngseo regions, indicating cultural differences specific to the upstream of Namhangang and Bukhangan Valley. As far as the plane pattern of housing sites during the 3rd and 4th centuries was concemed, that of Youngdong region changed to the oblong shape in some areas, with some of yeoja-type(呂字形)and cheolja type(凸字形) houses remaining. On the contrary, existing yeoja and cheolja type houses continued to be found in the Youngseo region. What is noteworthy at this points is that a kitchen range was used, which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iron in the basin of Hongcheongang Valley. In the case of the Namhangang Valley, there have been only two found, and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wait for more materials to be released. The group who used plain coarse pottery of the the Youngdong-Youngseo Region was 'Yae(濊)" which appears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the Mohe tribe(말갈) in the "Basic Annals of Baekjae(百濟本紀)" of the same book is believed to be "Yae" as well. The 'Yae" group seems to have been assimilated with Shilla rapidly, as the Youngdong region began exchanges with Shilla in the Youngnam region in the mid and late 4th century. The Youngseo region is believed to have begun to fall by Kogureo which expanded its territory toward south at the end of 4th century. Meanwhile, 'proto more tribe pottery' excavated from Udu-dong and Pungnabtoseong showed continued exchange with this region, although it is uncertain since the death of 'Tuanjie - Krounovka Culture (Okjeo) in the northeast region. 이글은 漢城百濟期嶺東·領西地域의 문화상을 밝히는 작업이다. 특히 한강 중상류지역 적석총의 분포와 성격을 살펴보면 北漢江中·上流域의 경우 漢城百濟 樣式의 土器가출현하는 것에 비하여 南漢江 上流地域의 積石緣에서는 한성백제와는 다소 異質的인 양상이 확인된다. 아마도 이러한 水系간의 차이는 時期差를 반영하는 동시에 각 집단의 문화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領東 · 領西地域間의 文化的인 差異가 점차 深化되어가는 過程과 軟를 같이하는 것으로 南漢江·北漢江上流地域의 文化的인 地域性의 差異를 보여주는 것이다. 3~4세기대의 주거 양태를 住居 平面 形態 變化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嶺東地域은 각 지역별로 長方形住居址로 변화하거나 재래의 여자형·철자형 주거지가 잔존히는 양상을 보인다. 嶺西地域은 기존 여자형·철자형 주거지가 조영되고 있다. 다만 부뚜막의 채용이 주목되는데 洪川江流域은 鐵生産과 관련지어 보았고 남힌강유역의 경우는 2기에 지나지 않아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야할것으로 보인다. 領東·嶺西地域의 硬質無文土器를사용하던 集團은 『三國志』에 보이는 ‘滅’ 이며『三國史記』 本紀에 보이는 ‘蘇騙’ 도 ‘滅’ 로 보인다. 이 滅集團은 嶺東地域의 경우 4세기 중후반경에 嶺南新羅와의 交涉을 시작하면서 급속히 新羅化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이며 嶺西地域은 4세기 말 高句麗의 南進에 따라 해체되어 나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동북지방의 團結-끄로우노프카文化(決沮)의 소멸이후의 양상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牛頭洞과 風納土城 출토 ‘原蘇觸土器’ 의 존재를 볼 때 이 지역과의 교류는 꾸준히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영동지역 철기시대 마을의 변천

        심재연(Sim Jae yoau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3

        강원지역은 발굴조사가 수량면에서 크게 증가하였지만 마을의 전체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은 드물다. 때문에 시기별 마을의 변화 양상을 살피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영동지역은 강릉 안인리유적 조사 이후, 초당ㆍ강문동유적, 병산동유적, 동해 송정동유적이 중ㆍ소규모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대략적인 마을의 윤곽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은 영동지역의 철기시대 마을 중에 대략적인 윤곽을 파악할 수 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변천과정을 살피고자 작성하였다. 우선, 영동지역의 철기시대 마을 중에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포남동유적을 살펴보았다. 이후 초당동 1ㆍ2사구 일원이 이른 시기의 주거가 형성되었고 그 이후 제2ㆍ4사구지대로 마을이 확장됨을 살펴보았다. 특히, 4사구 지대는 제1ㆍ2사구지대가 매장공간으로 변화함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마을공간임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4사구지대의 주민으로는 고분군을 조영하거나 성토대지유구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세력이 아니어서 신라의 영역화와 더불어 남대천 북안 포남동과 옥천동일원에 마을이 새롭게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傳濊國土城'의 상한은 신라의 영역화가 진행되는 5세기대로 볼 수 있다. 한편, 강릉 병산동유적, 안인리유적은 각 마을별로 고분군이 입지하는 것으로 보아 상한은 철기시대까지 소급되지만 신라의 영역화하는 과정의 양상은 초당동일원에 거주하던 집단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동해 송정동유적은 처음 마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후 남ㆍ동쪽으로 마을이 확장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송정동유적은 신라의 영역화 과정에서 철기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마을로 전화되었고 중심지는 지금의 삼척읍내로 이동한 것으로 보았다. 이처럼 영동지역 철기시대 마을은 신라의 진출에 따라 전통사회가 해체되어 가는 과정은 다양한 양태로 전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settlements distributed in the Yeongdong region have increased; however, there are few sites of which entire aspects can be understood. It is because most of the excavations have been either small-scale excavations or linear excavations conducted by road construction. Therefore, Gangneung Aninri site is the only site whose settlement has been able to be roughly known, and Gangneung ChodangㆍGangmun-dong site, Byeongsan-dong site, or Donghae Songjeong-dong site has revealed its general outline through small- or medium-scale researches. The entire scale of the settlement has not been able to be known, but this study reexamined the upper limit of the Iron Age in the Yeongdong region with the subject of Ponam-dong site. Based on the pieces of iron excavated from the residence, we can assume that the earliest site in the Gangneung region should be Ponam-dong site, but the overall aspects of the site are still not clear. Later, the settlement was formed around the 1st and the 2nd dune of Chodang-dong, and then, around the 2nd and 4th dune, especially around the 4th dune, the settlement was built about the mid- or late 4th century. And a part of the 1st and 2nd dune where the previous settlement was formed turned into burial space. The initial aspects of the ancient tomb site around Chodang-dong proceeded in connection with Silla's territorialization. And it seems that new settlements came to be built around Ponam-dong and Okcheon-dong. Moreover, it is thought that the burial space used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settlements should be the ancient tomb site of Chodang-dong. And 'Jeonryeguk Toseong (傳濊國土城)' was built after the emergence of the new settlements, so the study estimates that the upper limit should be around the 5th century when Silla's territorialization was done a lot. Meanwhile, from the fact that Gangneung Byeongsan-dong site and Aninri site has their own ancient tomb site in them, we can see that Silla's territorialization proceeded in mutually favorable ways unlike what was done by the groups residing around Chodang-dong. As for the Donghae Songjeong-dong site, it seems that the areas where the settlement was formed first should be the east side of Donghae Railway station and the west side of the road site in the center of Songjeong-dong. After that, the settlement seemed to expand to the south and the east. Later, as Silla's territorialization made much progress, the settlement became specialized in making ironware, and the central area moved to the inside of present Samcheok-eup.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we can assume that the settlements of the Iron Age in the Yeongdong region developed in diverse aspects in the process that Silla expanded and the traditional society became deconstructed.

      • KCI등재

        강원지역 청동유물의 출토 맥락 검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2

        강원지역 청동기시대 유적 조사 사례의 증가로 그 필요성이 대두되어 기존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 기증품의 출토 맥락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한 결과, 맥락적으로 출토지를 인정할 수 있는 사례와 없는 사례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발굴품 중 유물의 용도를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이에, 청동제 유물의 조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무비판적으로 인용되었던 발견매장문화재신고된 유물의 출토 맥락을 검토하는 작업의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강원지역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에 대한 재검토가 청동기시대 유물만이 아니라 모든 시대와 지역, 모든 유물이 해당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ronze Age sites discovered in the Gangwon region has illuminated the need to re-examine the contexts in which bronze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had originally been found. A re-examination has revealed cases in which the believed-to-be discovery contexts were in fact wrong. A re-examination of the function of bronze artifacts was also attempted. This attempt has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finds contexts of artifacts not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s needed. In addition. it may be argued that such a re-evaluation is required for all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regardless of type, period, or region.

      • KCI등재

        “濊國古城”과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의 調査

        심재연(Sim, Jae-Yoa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0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통치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문서의 대략적인 사항이나 지역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에 그치고 있다.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일제강점기 문서가 공개됨에 따라 강릉지역의 “전예국고성”과 관련된 문서를 확인하였다. 확인한 문서는 아리미쓰 교이치의 「출장복명서」와 「지정관련 강릉토성」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검토와 일제강점기 「조선국유철도 12개년 계획」에 따른 동해선의 건설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리미쓰 교이치의 “전예국고성”의 조사는 「조선국유철도 12개년 계획」에 의하여 수립된 동해선의 건설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일제강점기에 동해선의 건설을 위하여 강릉지역 주민들의 정서 속에 있는 “전예국고성”과 “강릉읍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철도건설에 있어 “전예국고성”의 서벽과 북벽을 훼손하지 않는 방법으로 진행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해방 이후에 완성된 강릉 구간의 철도 건설은 “전예국고성”의 훼손을 가져오지 않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문화재수탈은 극심하였다는 사실을 상쇄할 수는 없다. It is well known that there has been various research on the documents written during the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simply stood at stating the overall contents of documents. After the National Museum recently released documents from Japanese colonial era, documents on the former earthen fortification, Ye-Guk were checked. The documents viewed were ‘a trip report of Arimith Gyoichi and a script on ‘the earthen fortification Gang-neung and its designation’. These document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process of building East-sea railway in the 12-year-long Josun state-owned railway project. The result showed the survey of Arimith Gyoichi on the former Ye-Guk fortress was closely related to the building process of East-sea railway. In shor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 the establishment of East-sea railway,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rmer Ye-Guk fortress and Gang-neung fortress in the memory of people in Gang-neung. Following the survey, a construction method seems to have been devised not to damage the western and northern walls of the former Ye-Guk fortress. As a result of this effort, the construction of railway after liberation of Korea did not cause damage to the former Ye-Guk fortress.

      • KCI등재

        동해 송정동유적으로 본 “실직국”에 대한 단상(斷想)

        심재연 ( Sim¸ Jae-yoa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동해 송정동유적은 “실직국(悉直國)”의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신라의 실직주(悉直州) 설치와 “실직국”의 상호 연관성을 살피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직국”의 영역을 신라통일기 이후에 형성된 삼척의 영현(領縣)을 근거로 고고학적 유적을 배치하는 것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실직국”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실직국”의 영역으로 비정된 유적을 중심으로 지역성을 보여주는 유물과 유구의 양식이 변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헌에 등장하는 “임둔”과 “예”를 근거로 종족성을 논하기에는 고고학적 물질 자료에 한계가 있다. 삼척 일원에 존재하였다고 전해지는 “실직국”은 동해 송정동유적의 집단이 영남지역 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던 시기의 모습이 신라(사로국)인에게 투영된 것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mains of Songjeong-dong in the DONGHAESI have been known as an important ruins proving the existence of “Siljik-guk” (悉直國).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Silla’s Siljikju and “Siljikuk”.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rea of “Siljik-guk” based on Samcheok’s Ling County(領縣), which was formed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present a research methodology to prove the existence of “Siljik-guk” in the future. Do.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archaeological material data to discuss ethnicity based on “Lintun(臨屯)” and “Ye(濊)” in the literature. The “Siljik-guk”, which is said to exist in the entire Samcheok area, is believed to reflect the reflection of the Silla(Saro-guk) people of the period when the group at the Songjeong-dong ruins had active interaction with the Yeongnam area.

      • KCI등재

        토기로 본 고대 북방과 한국 문화 -폴체·원말갈·말갈계토기를 중심으로-

        심재연 ( Sim Jae-yoa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7

        한반도에 형성되고 발전하던 문화는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서면서 주변 집단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전하여 왔다. 특히, 철기시대에는 중국과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한반도 동북지역과도 끊임없이 이루어졌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런데 삼국 정립시기부터 신라가 통일을 이르는 고대의 상호작용은 문헌을 중심으로 한 삼국의 갈등과 중국과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한반도 중부지역은 철기시대 이래로 진행되었던 한반도 동북지역과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중부지역은 전통적인 경질무문토기문화가 각 지역에 영위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문화와 동북지역과 이루어진 상호작용의 증거는 주거유적과 관방유적에 동반되는 폴체계토기와 ‘원말갈토기’를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상호작용의 증거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해당하는 고고자료이지만 함경도지역에서 확인되는 발해고분군에 동반되는 토기들과 비교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고고문화의 대부분이 발해 문화로 알려져 있어 고구려와 관련된 것들도 있다고 판단되어 소속 시기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전형적인 靺鞨罐이 성립되기 전의 동북 지역 문화는 공백기가 존재하고 있다. 이 공백기에 대하여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보이는 토기류가 동반된 주거지와 관방유적의 정치한 편년을 통하여 보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고대 한반도는 중국과의 관계가 주로 연구되었지만 한반도 동북지역과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6세기경에 조성된 춘천 중도동유적 토광묘에 동반된 말갈관을 통하여 극적으로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Korean Peninsula coming into the Iron Age, it made continuous advancement through ceaseless interaction with the groups surrounding the region. In particular, in the Iron Age, together with the interaction with China, the studies are done on the interaction with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from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Three Kingdom to the time of Silla unifying the region, most studies are concentrated to find out the conflict of the Three Kingdom and relationship with China in the ancient time. However, the mid-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d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Iron Age. The mid-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traditional hard-plain pottery earthenware culture existing in each region. The interaction of this culture and the northeastern region has been confirmed around the earthenware accompanied in the residential areas and the fortress relics. The evidence of this interaction may be found ou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ancient relics confirmed in the Hamgyeong-do area. However, most of the ancient culture in the region is known as the Balhae culture that the review on the period for this time frame is required. Up to this point,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was mainly studi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China but the interaction with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ontinuously made. This type of interaction is shown through Toho Museum(靺鞨罐) accompanies in the Jungdo-dong Relic Togwang Tomb in Chuncheon as built in the 6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