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심미영(M. Y. Sim),안성아(S. A. Ah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는 외부신체 장애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과 삶의 질의 차이를 장애유형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경증의 경우 일의 내용에서만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높은 것과는 달리 중증의 경우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발전 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도 중증의 경우 가족, 거주지, 일에 대한 삶의 질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 만족이 삶의 질 분석결과, 직업만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의미 있는 영향을 나타내어 직업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인가족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Sim, Mi Young),안성아(Ahn, Seong A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로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스트레스 대처방안 및 가족탄력성 향상을 통한 장애인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장애인가족의 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가족탄력성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장애인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해 장애인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의 제공 및 가족탄력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s on providing basic data of supporting system for improvement of disabled family adaptation abilities through promoting family resilience and counter measures for family stress through verifying indirect effect of family resilience from the effecting relation by the stress of disabled family and analysing effect of experienced stress by family of disabled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adaptation. Below is summarized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ffect of disabled family's stress on family resilience, stress of disabled family effects negatively to the family resilience and higher stress of disabled family make lower family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family resilience effects static and direct effects on family adaptation, family resilience is presented as to forecast meaningfully the family adaptation. Higher family resilience make higher adaptation of families. Third, direct effect of family stress on family adaptation has no meaningful effect, But,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mediation effect are verified with family resilience.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심미영(Sim, Mi Young),염동문(Yeum, Dong Moon),전재명(Jeon, Jae Myeong),박정배(Park, Jung Ba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이용자가 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주관적 인식유형별 이용자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제고와 올바른 가치정립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은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사회적 기업 가치 옹호형’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기 보다는 정부보조와 후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사회적 기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정당성을 주장하는 옹호의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제2유형은 ‘사회적 기업의 사회경제 지향형’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창출과 이윤창출을 통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인간관계 중심으로 운영하기보다는 시장원리 중심으로 운영해야한다고 보고 있다. 제3유형은 ‘사회적 기업의 역할기능 이중형’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이윤창출보다는 지역주민을 위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행복을 나누는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불투명 경영과 납세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유형은 ‘사회적 기업의 불신형’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부정하지는 않지만 부정적인 시각과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의 주관성에 기초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In this ;exploratory study, Q methodology is applied to type the subjective recognition on how consumers view social enterprises and identify consumer characteristics to the types of subjective recognition in order to find the ways to increas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by raising awareness about social enterprises and establishing the proper values. From the study,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enterprise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No.1 type is ‘Support for value of social enterprise type." In this type,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recognized as very positive, and not to be profit-generating, but government’s aid and sponsorship should be done first in order to vitalize social enterprises. No.2 type is "social economy oriented for social enterprises type.’ social enterprises should create job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create profits to provide social services. they view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focus on market-principle centered rather than focus on human-relationship centered. No.3 type is "Dual role features of social enterprises type.’ In this type, they recognize it as the enterprises that share happiness with second-class citizens and care for the local people, but not to create profits. However, they recognize it as not practicing open and aboveboard management, as well as not fulfilling liability of taxation. No.4 type is ‘Distrust in social enterprises type." this type repudiate about social enterprises but have a negative view towards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meaning for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social enterprise based on consumers’ subjectivity.

      • KCI등재

        노인학대피해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Mi-Young Sim),박희서(Hwie-Se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3

        이 연구는 노인학대 피해경험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분포해 있는 2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상담을 했던 학대피해노인 270명을 대상으로 노인학대 피해경험과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노인학대 피해 경험은 피해노인의 정신건강에 유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s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 abus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For this study, we sampled 270 of the elder abuse experience who has received council services for the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der abuse experience affect the mental health significantly and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 abuse experience and the mental health. This study suggest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base of the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양성평등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심미영(Sim, Mi Youn),안성아(Ahn, Seong Ah),이둘녀(Lee, Dool Nye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양성평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대학생들이 양성평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주관적 인식유형별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양성평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과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25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으며, 35명의 P표본을 선정한 후 Q-분류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양성평등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유형 1은 ‘양성평등 적극적 지지형’ 이라 명명하였다. 유형 2는 ‘사회적 통념속의 양성평등 추구형’, 유형 3은 ‘사회적 통념속의 탄력적 수용형’, 유형 4 ‘양성평등속의 능력 추구형’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유형들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5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주관성에 기초한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의 탐색을 통한 양성평등 교육과 정책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research to seek policy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right values about gender equality and the improvemen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subjective perception types and apprehending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gender e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from applying Q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25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Q-classification was conducted after selecting P specimens of 35 people from considering majors, ages, and gender of students. At the analysis result, subjectivity o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ype 1: ‘actively supporting gender equality type’, type 2: ‘gender equality seeking type in the social convention’, type 3: ‘elastic receiving-type in the social convention’, and type 4: ‘ability to pursue gender equality in the form’. The whole explanation power of the four types was 57%.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meaning in exploring consciousness on gender equality based on subje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Sim, Mi-Young),이둘녀(Lee, Dool Ny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부적영향,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에도 부적영향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학교적응에 정적영향을, 사회적 능력도 학교적응에 정적영향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방향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입의 밑바탕이 되어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ress had overall nega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on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For the indirect effects, both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have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ir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directions of school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tress coping and social adjustment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노인이미지의 매개효과-

        심미영 ( Miyoung Sim ),서보준 ( Boojun Seo ),정정숙 ( Jungsuk J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노인자원봉사경험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과 노인부양의식의 관계에 있어서 노인이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여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 있는 28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20.0) 및 AMOS(20.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인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mage of the elde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and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o achieve this, 285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were finally analyzed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West Gyeongnam area from May 1 to May 30, 2018. The analysis was made with SPSS(20.0) and AMOS(20.0) programs and ou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had an impact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Second, it appeared that the image of the elderl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improv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