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내 커뮤니케이션이 구성원 열의에 미치는 영향 -기업 구성원의 성별, 근속연수, 기업규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신호창 ( Hochang Shin ),최지영 ( Jiyoung Choi ) 한국PR학회 2015 PR연구 Vol.19 No.3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employee engagement(Affective, Voluntary, Participative Change) and internal communication(Sharing Core Values, Clarity in Work Communication, Effective Communication Campaign) by considering how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se relations. The result of survey conducted shows that there is a close and powerful relations between internal communication and employee engagement.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the other two demographic factors(years of service and size of company) were demonstrated to have som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Specifically relation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weak association in employees who have been working more than 6 years compared to employees with less than 6 years of service. The research also demonstrated that the effectiveness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group of large company than those in the small or medium-sized company.

      • KCI우수등재

        은행 간 인수ㆍ합병에 따른 조직문화의 통합과 사내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신호창(Hochang Shin),노형신(Hyungshin Roh) 한국언론학회 2010 한국언론학보 Vol.5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gnition difference of member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ternal communication based on organizational integration which has been reached through merger and acquisition between banks since IMF bailout. It conducted a survey of 174 employees in the three banks: A bank merged and acquired between domestic banks, B bank merged and acquired between domestic banks of an equivalent condition, and C bank merged under a foreign bank.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members of the acquired company have been perceived to be more negative on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lso perceived that internal communication has been weaker since the merger. People believ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 positively changed after the merger as they perceived that the information from communication channels is enough. In addition, after the organizational integration, the cognition on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ationality about the two cultures, organization-oriented and member-oriented, comes to the same result. The more they think the two cultures are rational, the more they perceive positive about ‘pride about a company’, ‘development of a company’, and ‘increase in benefits’ and also recognize that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corporate culture and the occurrence of maladjustment will be less likely to happen.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외국인유학생 관련 쟁점에 대한 상황인식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이준영(Junyoung Yi),신호창(Hochang Sh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8 정치정보연구 Vol.21 No.3

        최근 한국 대학의 국제화로 인해 대학 캠퍼스 내 외국인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 관련 쟁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위기 즉 사건이나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생의 쟁점에 대한 상황인식을 공중관계학(Public Relations)의 쟁점관리(Issue Management)와 공중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 of Public)을 통해 한국 학생(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요인과 세분화된 공중별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학생공중의 정보처리에는 유치관리 문제인식, 사회문화 문제인식, 유치관리 관여인식, 사회문화 관여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추구의 경우 전통·온라인 미디어, 캠퍼스 내 미디어, 사회문화 문제인식, 사회문화 제약인식, 유치관리 관여인식, 사회문화 관여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 분류 그룹별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경우 일반행동 공중과 숙명행동 공중 그리고 문제직면 공중과 제약인식 공중 그룹 간 차이(문제직면 공중, 제약인식 공중>일반행동 공중, 숙명행동 공중)가 존재하였다. 즉 문제직면 공중과 제약인식 공중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쟁점 정보처리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추구의 경우 문제직면 공중, 제약인식 공중, 숙명행동 공중, 일반행동 공중 순 차이(문제직면 공중>제약인식 공중>숙명행동 공중>일반행동 공중)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직면 공중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쟁점 정보추구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관련 쟁점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국내학생 공중의 상황에 따른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 국내학생과 외국인 유학생간의 쟁점을 해소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정부와 대학 등 조직차원에서도 국내학생 공중의 동의를 구하면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정책을 펼쳐나갈 수 있는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conducted 431 domestic students for examine situational cogni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ur in foreign students related issu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policy issues problem recognition, society cultural issues problem recognition, policy issues involvement, society cultural issues involvement affected information processing behaviour. second, mass media, campus use media, society cultural issues problem recognition, society cultural issues constrain recognition, policy issues involvement, society cultural issues involvement affec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Third, each segmenting publics communication behavior had different. In particular, information processing behaviour problem-facing public and constrained public had different from fatalistic public and routine public. Furthermore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had different each four public. The stud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issue management related to foreign students and to resolve the issu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through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strategies. Besides government and university need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to represent foreign students policies while seeking consent from Korea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을 적용한 저출산 극복 PR캠페인 전략연구

        방성곤(Bang, Sunggon),신호창(Shin, Hocha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3 정치정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국가 경쟁력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인구감소와 함께 고령화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 저출산 문제에 대한 PR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루닉(Grunig)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을 적용하여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20-30대 직장인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예측하고 나아가 커뮤니케이션의 최종 목적인 태도와 행동까지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저출산 PR캠페인의 전략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인식 가운데 개인적 차원의 문제인식이 높고 개인적 차원의 제약인식이 낮을 때 공중의 정보추구 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에도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무엇보다 출산 태도와 출산의도에 미치는 ‘정보처리’의 영향력을 발견한 점이다. 저출산이라는 사안에서 지금까지 간과해온 정보처리 특성이 성공적인 PR전략을 위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ublic Relations approach on the low fertility problem, a threatening fact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its cause of population decreased and aging society. The study aims to predict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20 to 30 years old women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create the tactical fertility inducing PR campaign strategy by examine the communication flow to the behavior and attitude by applying Grunig’s Situational Theory. Result shows that increasing public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s notified as the personal dimensional problem recognition rises and the constraint recognition falls. Also, the same pattern is shown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the discovery of the impact of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purpose and attitude of childbir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has no influence on the behavior and attitude. This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process characteristics could be an important variabl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PR strategy.

      • KCI등재

        결핵에 대한 낙인과 발병 공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유선욱(Yoo, Sunwook),신호창(Shin, Hochang),노형신(Roh, Hyungshin),조성은(Jo, Seonge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3

        본 연구는 결핵 치료의 방해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논의가 부족했던 낙인과 결핵 발병 시 공개할 의도(disclosure of TB)에 대해 탐구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결핵과 관련된 인식과 감정, 지식, 낙인 및 병 역할행동에 있어 연령대 그룹별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결핵 캠페인에서 세분화 전략을 실시하여 낙인을 줄이고 치료행동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낙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을 다루어야 할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도록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건강신념요인, 감정요인, 지식요인으로 구분하여 탐구하였다. 특히, 낙인을 줄이기 위해서 결핵에 대한 지식의 제고가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식과 낙인의 관계는 실증적으로 밝혀진 바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어떠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지에 따라 낙인화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지식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과 낙인 유형에 따라 결핵발병 시 공개의도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신념변인으로는 취약성과 효능감에서 연령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했고, 모든 지식 유형(감염 및 발병, 예방, 증상, 치료)에서 10대, 20∼30대, 40∼50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낙인 인식 역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강해지고, 낙인 인식의 유형(표시, 책임, 위험, 그룹 라벨링) 모두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핵 발병 시, 가족에게 공개할 의도에 있어서는 가족에게 공개할 의도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나, 친구나 주변인에 공개할 의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 효능감, 두려움, 지식 변인군의 영향력은 연령대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지식의 유형에 따라 낙인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연령대별로 낙인의 유형이 결핵공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다르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핵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전략 수립 시 지식 및 낙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감염적 질환 관리에 있어서 지식 및 낙인의 역할과 유형이 재고찰되어야 함을 이론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캠페인 전략과 메시지 수립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health belief factors, fear as emotion, knowledge, stigma and disclosure intention of TB as sick role behavior differ depending on age groups and emphasi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igma and the disclosure intention of tuberculosis(TB) which are intervening factors of tuberculosis treatment. It also and explores the strategic approach to reduce stigma and enhance disclosure of TB for treatment behavior by implementing target segmented tuberculosis campaig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further researches the effects of four knowledge types and four stigma types on TB stigma and intention of disclosure of TB.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vulnerability and efficacy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it showe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knowledge types (infection and cause of TB, prevention, symptom, and treatment) and all stigma types among on the three age groups(10s, 20∼30s, 40∼50s). Regarding the effects on stigma,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risk, efficacy belief, fear and knowledge types affect on stigma differently by the age groups.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 four types of stigma’s effects on the intention of disclosure of tuberculosis differs depending on age groups. This empirical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emotion, knowledge, stigma of TB by ages and especially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education programs or campaign strategies for tuberculosis prevention and control. In addition, it theoretically suggests reconsidering the different role of knowledge type in stigma and disclosure intention, and the different effects of stigma types in the aspect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on the need to focus on different age groups when planning campaign strategies and delivering mess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