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지민(Shin, Ji-Min),이은경(Lea, Eunkyoung),양난미(Yang, Nan-M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진로문제를 통해 대학생의 행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의 일에 충만함을 느끼고 헌신하도록 하는 목적의식을 의미하는 진로소명에 초점을 두어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3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소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두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상대적인 영향력은 진로소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 사이를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ir career choices, which is the major concern for college students. To be specific,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calling(a sense of purpose that makes one dedicated to one’s work)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For this study, 313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about career call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The result is that both career call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life-satisfaction. Of the two factors, career calling had relatively more impact on life-satisfaction.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life-satisfaction.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이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지민(Jeemin Shin),김희경(Heekyung Kim)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복지지출 증가에 따른 재정악화 우려에 대해 총량적 복지지출의 양적 조정보다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사회투자형 복지지출과 재정건전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자치구 결산자료의 사회복지 항목에서 취약계층 지원, 보육・가족 및 여성, 노동, 청소년, 노인일자리 지원에 대한 지출을 세출결산액으로 나누어 사회투자형 복지지출 비율을 구하고 이것이 재정건전성을 설명하는 지표인 통합재정수지비율과 통합유동부채비율을 개선하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였다. 중심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투자형 복지지출비율은 통합재정수지비율을 증가시키며, 세부적으로 취약계층 지원과 보육・가족 및 여성・청소년 지출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투자형 복지지출비율은 통합유동부채비율을 감소시키며 세부적으로 취약계층지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지출이 재정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nditure and fiscal soundness, based on concerns about financial deterioration caused by increased welfare expenditure and the national-level prior research that the financial soundness can be improved through social investment-type welfare expenditure rather than quantitative adjustment of total welfare expenditure. This study assumed that social investment-type welfare expendi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fiscal soundness. The investment-type welfare expenditure was calculated by dividing expenditures for childcare, family, women, labor, youth, and job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e social welfare category by the amount of expenditure for local government. The integrated fiscal balance ratio and the integrated current debt ratio were used as indicators of fiscal soun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investment-type welfare expenditure ratio increase the integrated fiscal balance ratio, and in detail, support for the vulnerable, childcare, family, and women and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social investment-type welfare expenditure ratio decreased the integrated current debt ratio, and in detail, support for the vulner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on welfare expenditure and fiscal soundness of local governments.

      • YOLO 기반 저시력자를 위한 체외진단의료기기 판독 시스템

        신지민 ( Ji-min Shin ),백유진 ( Yu-jin Paek ),우다현 ( Da-hyeon Woo ),윤영인 ( Young-in Yun ),임빈 ( Bin Lim ),김민희 ( Min-hee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본 논문은 저시력자를 위한 체외진단 의료기기 결과 판독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YOLOv8n 객체 탐지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라즈베리파이4B+에서 홈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하였다. 사용자는 음성 및 물리 버튼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고, 동작 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촬영하여 학습된 모델로 결과를 판독하고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판독 결과물과 함께 검사 일시 및 의료기기 종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편의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中庸을 통한 筆墨의 교차와 융합

        신지민(Shin, Ji Mi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본 연구는 양식과 그 기법의 범주를 나누고 규정하기 어려운 현대 미술에서, 동양회화의 근간이 되어온 필묵(筆墨)이 어떠한 의미로 자리하고 있는지 그 가치를 모색해 보고 필과 묵을 분리하고 반복하고 교차함으로써 탈(脫)전통의 융합적 필묵 운용과 그에 따른 조형적 가치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동양회화에서의 필묵의 전통적 흐름을 살펴보면 필(筆)을 중요시 여기기도 하고 먹(墨)을 필(筆)에 귀납시키기도 하였으며, 먹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필과 먹의 가치와 의미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현대에 이르면서 시대적 배경과 환경, 서구의 영향 등으로 전통을 혁신하려는 분위기가 성행하게 되었고, 이는 작가 고유의 창작 의지와 더불어 ‘먹’이 전통적으로 중요시되었던 ‘필’을 넘어 그 위상을 높이고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오늘날의 탈(脫)경계적・탈(脫)전통적 회화는 필묵이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야만 하는 상황에 이르게 하였다. 이렇게 다변화하는 현대 미술계의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필묵의 반복과 교차를 통한 탈전통의 융합적 필묵을 획득하기 위해, 격변하던 시대 속에 생성된 근대적 필묵이 전통을 넘어 어떻게 혁신을 이루어 왔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근대 이후의 필묵을 중심으로 중국의 해상화파(海上畫派)의 근대 필묵, 석도(石濤) 필묵의 재해석, 오관중(吳冠中)의 혁신적 필묵 등을 살펴보고, 한국 수묵의 근대적 필묵으로 사경산수의 이상범과 변관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묵은 끊임없이 혁신되고 발전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한국 필묵의 현대화를 구현한 작품들과 그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유교 사상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중용(中庸)’을 연구작품의 내재적 의미로 삼고 있다. ‘중용’은 인간 행위의 이상적 기준으로 ‘중(中)’이란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이 꼭 알맞은 것을 말하며, ‘용(庸)’은 언제나 변함없이 바른 것을 말한다. 특히, 중용사상의 중심개념인 ‘중화(中和)’와 ‘성자자성(誠者自成)’은 연구자의 작품과 그 과정 안에 내재되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절도(節)에 알맞은 융합적 필묵의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반복과 교차의 필묵을 실천해가며 조화로운 필묵의 조형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은 필과 먹을 분리하여 탈(脫)전통적・(脫)탈중복적 필묵으로 반복과 교차를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필묵의 운용과 조형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앞으로의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 명료한 방향성과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데,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value of ink brush, which have been a foundation of Oriental painting, in respect to morden art in which the category of styles and techniques are difficult to classify and define. Also this study seeks to acquire the operation technique of ink brush in the unity of de-tradition as well as its subsequent formative value through separation, repetition, and crossover of brush and ink. If we examine the traditional flow of ink brush in Oriental paintings, brush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ink was induced to the brush. Also there were processes of new perceptions of focusing on the ink. Through such processes, one can see that the value and meaning of ink brush has changed. Beginn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t has become prevalent to seek innov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im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this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of and advancement of “ink” along with the unique will of creation of an artist while exceeding the status of a “brush”, which was taken as being important traditionally. In this situation, in today’s painting, which is beyond borders and is de-traditional, there is a need for renewal and advancement of brush and ink. In this ever diversifying contemporary art world, the researcher reviewed how modern ink brush, which have been created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have realized innovation by going beyond their tradition to accomplish the unity of brush and ink of de-tradit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crossover of ink brush.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k brush of China and Korea after the modern ag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modern ink brush of the Shanghai School of China, the re-interpretation of ink brush of the Shi Tao, and the innovative ink brush of Wu GuanZhong. Also the researcher looked into Yi Sang Bom and Byun Kwan Sik of the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as modern ink brush examples of Korean ink painting. Through this, ink brush were discovered as indispensable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advancemen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some trends and paintings on which the modernization of Korean ink brush has been materialized. The researcher took the inherent meaning of the research work as “中庸(Zhongyong)” , which may be the key to Confucian ideology. Zhongyong refers to an ideal standard of human behavior, and “中(Zhong)” means something that is arguably suitable without being excessive or lacking whereas “庸(Yong)” means being always correct. Above all, “中和(Zhonghe)” and “誠者自成(Chengzhezicheng)”, which are the key concepts of Zhongyong ideology, become a foundation while being inherent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is aims to obtain the harmonious formativeness of ink brush by practicing a brush and ink of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out ceasing toward the completion of ink brush in a unity suitable for moderation. Based on this, from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e new operation of ink brush and formative possibilities were deduced by uniting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 ink brush that moves away from tradition and 中鋒(Zhongfeng). This process became a precious opportunity for the future works of the researcher to establish a clear direction and identity.

      • KCI등재

        여행 유튜브 속성이 몰입,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사용자의 개인 성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신지민 ( Shin Ji-min ),최규환 ( Choi Kyu-hwan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여행 유튜브 시청 경험이 있는 유튜브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몰입,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도출함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행 유튜브 속성을 독립변수로 몰입, 지속사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개인 성향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과거 1년 동안 여행 유튜브 시청 경험이 있는 유튜브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SNS를 이용하여 주변 지인들에게 확산시키는 비확률 표본추출법의 하나인 눈덩이 표본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였다. 2019. 12. 25-2020.1.25.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7부의 설문지를 배포, 수집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39부를 제외한 288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 유튜브 속성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 유튜브의 정보성, 독창성, 크리에이터 매력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이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행 유튜브 속성, 몰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 성향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기 있는 여행 유튜브 제작과 효과적인 관광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관광지 홍보를 통하여, 국내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avel YouTube attributes on flow and continuous using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research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data was collected online for a one month period from December 25, 2019 to January 25, 2020. A total of 32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88 were accounted for as valid responses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ravel YouTube attributes generated a positive effect on Flow. Additionally, among the attributes of travel YouTube informativeness, creativeness, and creator attractiveness were determined to influenc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continuous using intention. Third, the results also established that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ing intention.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travel YouTube and flow, personality trait has a moderating effec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ravel YouTube content that can be selected by users should be produced and that domestic tourist attractions be actively promoted to encourage domestic tourism.

      • KCI등재

        가짜뉴스의 수용 그 설명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지민 ( Jimin Shin ),이성식 ( Seongsi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설명 요인은 정치경향요인으로 정치성향과 정치이견회피행위, 사회심리요인으로 사회적 동조와 사회불안, 개인정보요인으로 정보처리성향과 미디어 리터러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러 요인들 중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가 부(-)적으로 가짜뉴스 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종속변인을 반정부 가짜뉴스, 친정부 가짜뉴스, 정치와 무관한 기타 가짜뉴스로 분류하고 그 수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친정부 가짜뉴스에 대해 정치성향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그 결과 진보 성향을 가진 응답자일수록 친정부적 가짜뉴스를 더 사실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도 친정부 가짜뉴스 수용에 유의미한 설명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그 결과의 함의를 논의해 본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explanatory factors can have effects on acceptance behavior of fake news. Those factors include polit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ideology, partisan selective avoidanc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social conformity, social anxiety and personal information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tendencies, media literacy. Using data from 201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s of almost all factors are not significant, but media literacy only has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behavior of fake news. In addition, when we also divided the acceptance behavior of fake news into three type, it is shown that progressive ideologies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behaviors of pro-government fake news. Based on these results, solutions were discussed for problems of fake news.

      • 글로벌 소비지향성과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태도 연구

        Jimin Shin(신지민),Insik Jeong(정인식),Yunjae Bae(배윤재),Hyoeun Cho(조효은)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nsumption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global brands in international markets. Previous literatures have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onsumer characteristics on global brand attitude and explained why consumers across countries prefer global brands over local brands. Despite of these efforts, most of the empirical studies in this area were focused on the context of developed markets, not emerging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our existing knowledge by comparing two dissimilar contexts of international markets; developed and emerging. We propose that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global consumption orientation, consumer cosmopolitanism, and consumer ethnocentrism may be critical fa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global brand attitudes of both developed and emerging market consumers.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we surveyed 126 consumers from Korea (developed market) and Indonesia (emerging market) who have experienced global brands in skin/body care and sports shoes industry.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s are more globally oriented and have more preferences on global brands over local brands, whereas the Indonesians have relatively lower positive global brand attitudes since they are more ethnocentric. We also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nsumption orientation and global brand attitude and that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e greater with a high level of consumer cosmopolitanism, especially for Koreans. In contrast, the high level of consumer ethnocentrism has no mitigating effect, rather directly decreases the positive global brand attitude.

      • KCI등재

        일가정 양립 갈등 및 영향요인에 대한 성별 비교연구

        김희경(Kim, Hee Kyong),신지민(Shin, Jee Min)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기존 일가정 양립에 대한 논의가 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및 모성보호에 초점을 두어 논의되어왔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가정 양립에 있어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남녀 모두를 조사대상으로 포함한 2020년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그 차이를 탐색하였다. 또한 2020년 이후 대면접촉이 제한되고 재택근무가 일상화되었던 COVID-19 재난상황이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일가정 양립 갈등을 느끼며 가사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조직문화를 남성은 보다 수평적으로, 여성은 보다 수직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에 대해 육아휴직을 제외하고 여성이 더 활용하기 어렵다고 느꼈다. 그리고 일가정 양립 갈등의 영향요인으로 남성은 마지막 자녀의 연령, 수직적 조직문화, 맞벌이, 근무시간 순으로, 여성은 마지막 자녀의 연령, 자녀의 수, 월평균 임금, 수직적 조직문화, 근무시간 순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 수는 여성에게만 주요한 갈등 요인으로 나타나는 점을 통해 아직까지 가정에서의 육아 및 돌봄 책임이 주로 여성에게 부과되는 현실을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COVID-19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집단은 개인 및 가족적 요인보다 근로 및 조직적 요인의 영향이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재난상황에서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의 지원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재난상황에서 육아휴직 또는 돌봄휴직이 일가정 갈등을 줄이는데 유의하므로 재난상황에서의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의 사용 지침을 구체화하고 이용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male and female managers in 2020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influencing factors in COVID-19. In the 2020 data,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was confirmed, and the effects of individual·family factors, labor·organization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were analyzed. As a result, women feel a higher work-family conflict than men, being more likely to leave the labor market due to household chores. In addition, women felt more vertically than me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work-family balance support system was more difficult to use for women except for parental leave. Additionally, Men’s youngest child age, vertical organizational culture, dual income, working hours, and Women’s youngest child age, number of children, wages, vertical organizational culture, working hours affected the work-family conflict. The fixed gender role increased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women, so household-related factors had a great influence on women. Last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up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has a relatively limited impact of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and a strong impact of labor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uppor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a disaster situation. In addition, since parental leave or caring leave reduces family conflicts in disaster situations, guidelines for the use of the family balance support system in disaster situations should be specified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